소아과 총론 > 신생아 관리

신생아 관리

기본 개념

분만 직후 신생아 관리 (출생~10분)

  1. 기도 확보 및 호흡 평가

  • 자세: 머리를 15° 정도 낮추어 중력에 의해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함.

  • 이물질 제거: 부드러운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여 구강과 비인두의 양수나 점액을 제거함. 코보다 입을 먼저 흡인하여 흡인 시 발생하는 자극으로 인한 흡인을 방지

  • 호흡 자극: 대부분의 신생아는 피부 자극(등 문지르기, 발바닥 때리기)만으로 첫 호흡을 시작


  1. 아프가 점수 (APGAR score)

    : 출생 후 1분5분에 신생아의 상태를 평가하는 표준화된 점수. 10점 만점이며, 5분 점수가 예후에 더 중요

  • 평가 항목 (5가지): 심박수(Heart rate), 호흡(Respiration), 근력(Muscle tone), 자극에 대한 반응(Reflex irritability), 피부색(Color)



  • 점수 해석 (1분 아프가 점수)

    • 7-10점: 정상. 특별한 처치 불필요.

    • 4-6점: 중등도 저하. 산소 공급 및 자극이 필요할 수 있음.

    • 0-3점: 심각한 저하. 즉각적인 심폐소생술 필요

  • 호흡을 시작하지 못하거나, 원인과 관계없이 태아가사, 미숙, 중추신경계 저하, 기도폐쇄 발견시 즉시 소생술 시행


  1. 보온 (Thermoregulation)

신생아는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고 피하 지방이 적어 열 손실이 매우 크며, 저체온증은 대사성 산증, 저산소증,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음

  • 분만실 온도: 20-25℃ 유지.

  • 열 손실 방지

    • 젖은 몸을 즉시 마른 수건으로 닦아줌.

    • 차가운 표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따뜻한 포로 감쌈.

    • 방사 보온기(radiant warmer) 아래에 둠.

신생아 초기 처치

  1. 신체 계측 및 활력 징후

  • 신체 계측: 체중, 신장, 두위, 흉위를 측정하여 성장 상태를 평가함.

  • 활력 징후 정상 범위

    • 체온: 36.5 ~ 37.4℃ (직장 또는 액와)

    • 심박수: 120 ~ 160회/분

    • 호흡수: 30 ~ 60회/분


  1. 제대 관리 (Umbilical Cord Care)

  • 목표: 출혈 및 감염(제대염, omphalitis) 예방.

  • 방법

    • 출생 직후 무균적으로 결찰하고 절단함.

    • 건조 제대 관리(Dry cord care)가 원칙임. 제대를 외부에 노출시켜 건조하게 유지함.

    • 과거에는 소독제(알코올 등)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건조를 지연시킬 수 있어 권장되지 않음. 감염 위험이 높은 환경에서는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을 사용하기도 함.

  • 제대는 보통 생후 1-2주 내에 자연적으로 탈락


  1. 눈 관리 (Eye Care)

  • 목표: 신생아 안염(Ophthalmia neonatorum) 예방.

  • 원인균: 임균(Gonococcus), 클라미디아(Chlamydia) 등.

  • 예방 약물

    • 임균 예방: 1% 질산은(silver nitrate) 용액. (현재는 부작용으로 잘 사용 안 함)

    • 임균 및 클라미디아 예방: 0.5%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또는 1.0%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안연고를 모든 신생아에게 투여


  1. 비타민 K 투여

  • 목표: 신생아 출혈성 질환(Hemorrhagic disease of the newborn) 예방.

  • 원인: 신생아는 장내 세균총이 미숙하고 태반을 통한 비타민 K 전달이 부족하여 비타민 K 의존성 응고인자(II, VII, IX, X)가 결핍되기 쉬움.

  • 방법: 모든 신생아에게 출생 직후 비타민 K (Phytomenadione) 1mg을 근육 주사함.



수유 및 애착형성

  • 출생 후 1시간 이내에 모유 수유를 시작하고, 첫 6개월간 완전 모유 수유를 권장

  • 일부 약물 및 감염원은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될 수 있어 주의 필요
    (소아의 영양 > 모유수유 단원 참고)

  • Parent-infant bonding: 출생 직후부터 시작되는 부모와 아기 간의 정서적 유대감으로, 아기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결정적 역할을 함

  • 캥거루 케어(Kangaroo care): 부모의 맨가슴에 아기를 안는 피부 접촉으로, 아기의 체온 유지, 심박 안정, 수면 증진, 애착 형성에 효과적임.

  • 모자동실(Rooming-in): 산모와 아기가 한 방을 사용하며, 모유 수유 성공률을 높이고 부모가 아기 돌보는 법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함

퇴원 전 검사 및 교육

  •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 생후 24-48시간 이후, 충분한 수유를 한 상태에서 발뒤꿈치 혈액을 채혈함.

    • 탠덤 매스(Tandem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페닐케톤뇨증(PKU), 갑상선기능저하증, 갈락토스혈증, 단풍당뇨증 등 수십 종의 질환을 동시에 검사함.

  • 난청 선별검사

    • 모든 신생아를 대상으로 퇴원 전 시행

    • 방법: 유발이음향방사(EOAE), 자동청성뇌간반응(AABR).

  • 예방접종: 산모의 감염여부와 관계없이 B형 간염(HBV) 1차 접종을 퇴원 전에 시행

  • 조기 퇴원 기준: 다음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생후 24-48시간 이내 조기 퇴원이 가능

    • 만삭아로, 출생체중 및 활력 징후가 안정적

    • 최소 2회 이상 성공적인 수유를 관찰

    • 소변 및 태변을 정상적으로 배출

    • 황달 등 심각한 문제가 없음

    • 퇴원 후 48-72시간 내에 외래 방문이 가능


[1] 홍창의 12e, pg. 264-26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