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신생아의 진찰
신생아 진찰의 일반 원칙 및 활력징후
신생아 진찰의 핵심은 선천 기형 및 분만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정상적인 생리적 변이와 병적인 상태를 감별하는 데 있다. 신생아의 초진은 출생 후 가능한 한 빨리 시행하고, 늦어도 24시간 이내에 두번째 자세한 진찰을 시행한다.
전반적 관찰: 아기의 자세, 활동성, 울음소리, 피부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활력 징후: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를 파악하는 기본 지표
심박수: 정상 범위는 120-160회/분. 수면 시 90회/분, 울 때 180회/분까지 변동 가능함.
호흡수: 정상 범위는 30-60회/분. 불규칙한 주기성 호흡(periodic breathing)은 미숙아에서 정상적으로 관찰될 수 있음.
체온: 직장 체온 기준 36.5-37.5℃를 정상으로 간주
전신 부종: 조산아, 중증 태아 적혈모구증, 비면역 태아수종, 선천 신증 등
국소적 부종: 림프계의 선천 기형, 하나 이상의 사지부종의 경우 터너증후군 가능성 큼
피부 (Skin)
정상 소견: 얇고 부드러우며, 분만 직후에는 태지로 덮여 있음.
말단 청색증 (Acrocyanosis): 손발이 푸른색을 띠는 현상으로, 출생 초기에 흔하며 보통 정상임.
대리석양 피부 (Cutis marmorata): 추위에 노출 시 피부가 그물 모양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일시적임.
흔한 양성 피부 소견
몽고반점 (Mongolian spot): 주로 둔부나 등 아래쪽에 나타나는 푸른 반점. 수년에 걸쳐 자연 소실됨
할리퀸 색조 변화: 몸의 중앙선을 경계로 이마에서 치골까지 반은 붉고 반은 창백한 소견. 일시적이며 양성 소견임
신생아 중독성 홍반 (Erythema toxicum neonatorum): 생후 2-3일경 나타나는 붉은 반점으로, 구진 내 호산구가 들어있고 얼굴, 몸통, 사지에 주로 분포. 수일 내 사라짐
일과성 신생아 농포성 흑피증 (Transient neonatal pustular melanosis): 출생 시 작은 농포로 나타나며, 터진 후 색소 침착을 남기고 소실되며, HSV나 피부 포도알균병과 같은 질환과 감별이 필요
양막띠 (amniotic band): 피부, 사지, 얼굴, 몸통의 분열을 일으킬 수 있음
지나친 skin fragility/ 관절의 hypermobility: 교원질 합성질환 의심
머리
[두개골]
두개골변형 (Molding): 질식 분만 시 산도를 통과하며 머리뼈가 겹쳐지는 현상으로, 며칠 내에 정상 모양으로 돌아옴.
산류 (Caput succedaneum): 두피 연조직의 부종으로, 봉합선을 넘어가며 경계가 불분명함. 1-2일 내 소실됨.
두혈종 (Cephalohematoma): 골막하 출혈로, 봉합선을 넘지 않으며 경계가 명확함.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흡수됨.
천문 (Fontanel):
대천문: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9-18개월에 폐쇄됨. 출생시 평균 지름은 2.0cm.
팽창 시 뇌압 상승, 함몰 시 탈수를 의심함소천문: 삼각형 모양으로, 6-8주 내에 폐쇄됨
[얼굴]
대칭성: 안면신경마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울 때의 얼굴 움직임을 관찰
이상 형태증: 선천 증후군과 자주 연관성이 있는 특징이 없는지 확인
눈 : 아기를 안고 머리를 앞뒤로 기울이면 자연적으로 눈을 뜸 (labyrinthine reflex)
결막하 출혈은 분만 중 압력으로 발생 가능하며 자연 흡수됨
동공반사, 홍채 결손증/이색증, 각막 혼탁
양안의 적색반사 (red reflex) 확인: 백색반사가 있으면 백내장, 종양(retinoblastoma), 맥락망막염, 미숙아 망막병증 의심
귀: 일측성/양측성 pre auricular skin tag는 흔함. 고막은 정상적으로 옅은 회색을 띰
코: 신생아는 주로 코로 숨을 쉬므로 비강 개방성이 중요함. 후비공 폐쇄(choanal atresia) 여부를 확인
입
구순열/구개열이나 설소대 단축증 유무를 확인
입천장에 엡스타인 진주(Epstein pearls)라는 작은 흰색 낭종이 보일 수 있으며, 정상 소견
목, 가슴, 호흡
[목]
움직임 및 대칭성: 목이 짧고 대칭적이며 움직임이 자유로워야 함.
익상경 (Webbed neck): 목이 짧고 양옆으로 피부가 날개처럼 늘어진 경우로, 터너 증후군(Turner syndrome) 등을 의심
종괴: 흉쇄유돌근의 혈종은 선천성 근성 사경(torticollis)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goiter, cystic hygorma, branchial cleft cyst, SCM mass 등 감별양측 쇄골 촉진, 골절 확인
[가슴과 호흡]
가슴 모양
종 모양(bell-shaped)이 정상이며, 좌우대칭임. 유방비대 흔함
방패 모양 가슴 (유두 사이 거리 멂)은 터너 증후군에서 보일 수 있음.
호흡 양상
주로 복식 호흡을 하며, 흉벽 함몰, 비익 호흡, 신음 호흡은 호흡 곤란의 징후
조산아는 주기호흡 (cheyne stokes breathing) 을 하거나 완전히 불규칙한 호흡을 함
청진: 양측 폐에서 기관지폐포호흡음(bronchovesicular breath sounds)이 들리는 것이 정상
[심장]
심첨 박동: 보통 좌측 4번째 늑간과 쇄골중앙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촉지됨.
심잡음: 출생 직후 동맥관 개존 등으로 인한 일과성 심잡음은 흔함. 하지만 청색증이나 호흡 곤란을 동반하는 심잡음은 정밀 검사가 필요함.
맥박: 상지와 하지의 맥박(요골동맥과 대퇴동맥)을 동시에 촉지하여 강도와 시점을 비교함. 대퇴동맥 맥박이 약하면 대동맥 축착을 의심
복부
모양: 둥글고 약간 팽만되어 있으며, 복벽은 부드러움.
제대 (Umbilical cord): 2개의 제대동맥과 1개의 제대정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단일 제대동맥 시 신기형 동반 가능성).
제대 탈장 (Umbilical hernia): 흔하며 대부분 생후 1-2년 내에 자연 폐쇄됨. 외과 단원 참고
촉진: 간은 우측 늑골연 하방 2cm에서 촉지될 수 있음. 비장이나 신장은 보통 만져지지 않음
정상적으로 생후 24시간까지는 X선 상 직장 내 가스가 보여야 함
비정상적 복부 종괴는 반드시 초음파로 조사
낭성 복부 종괴: hydronephrosis, multi cystic kidney, 부신출혈, 담도낭종, 난소낭종, 췌장낭종
고형 복부 종괴: 신경모세포종, 간모세포종, 기형종 등
복벽결손: omphalocele, gastroschisis 감별
생식기 및 항문
남아: 음낭이나 서혜관에 양측 고환이 모두 있는지 확인. 포경(phimosis)은 정상적인 소견임. 요도구의 위치를 확인하여 요도하열(hypospadias) 유무를 관찰함.
여아: 모체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음순이 부어있고, 유백색의 질 분비물이나 소량의 질 출혈(가성 월경)이 있을 수 있고 정상적인 현상임.
초뇨: 출생시/출생 직후에 가장 많음. 신생아의 95%가 24시간 내 첫소변을 봄
항문: 위치와 개방 여부를 확인. 95% 이상의 정상 신생아는 출생 후 12~48 시간 이내에 태변을 배출함
비정상 음낭 소견: hydrocele, inguinal hernia, undescended testis
태변 지연증: DRE 및 방사선 검사 필요
사지 및 척추, 근골격계
자세 및 대칭성: 사지의 길이, 모양, 움직임이 대칭적인지 관찰함. 굴곡된 자세가 일반적임.
고관절: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DDH) 선별을 위해 모든 아기에서 Ortolani 및 Barlow 검사를 시행함.
발: 발의 모양을 관찰하여 만곡족(clubfoot) 등 기형 유무를 확인.
척추: 척추선을 따라 만져보며 척추 측만이나 이분척추 등을 확인. 둔부 주름 위쪽의 딤플(sacral dimple)이나 털(hair tuft)은 신경관 결손을 시사할 수 있음
손발가락: 다지증, 합지증, simian crease 여부 확인
[1] 홍창의 12e, pg. 259-264
신생아 신경학적 진찰 (Neurological Exam)
의식 상태 및 근긴장도: 아기의 각성 수준과 전반적인 근육의 긴장도를 평가함.
원시 반사 (Primitive reflexes): 중추신경계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며, 반사의 종류와 소실시기를 알고있는 것이 중요
Stepping reflex아기를 세워 발바닥을 바닥에 닿게 하면 발을 교대로 들어 걷는 것처럼 보이는 반사
소실시기: 1개월
Trunk incurvation reflex (Galant reflex)
아기를 엎드린 상태에서 척추 옆을 자극하면 척추가 자극받은 쪽으로 휘는 반사
소실시기: 1-2개월
Crossed extension reflex
바로 누운 아이의 한쪽 다리를 펴서 붙잡아 고정시키고 발바닥에 아픈 자극을 주면 반대쪽 다리를 구부렸다가 펴면서 내전하여 마치 아픈 자극을 제거하려는 것처럼 보이는 반응
소실 시기: 1-2개월
Rooting reflex
볼이나 입 주변을 건드리면 자극 방향으로 고개를 돌려 입을 벌리는 반사
소실시기: 3개월
Sucking reflex
입에 무언가 닿으면 빠는 행동을 하는 반사
소실시기: 3개월
Moro reflex
갑자기 아래로 떨어뜨리는 동작을 하면 팔을 벌리고 다리를 오므리는 반사, 대칭적으로 나타남
소실시기: 3개월

좌우 비대칭: 쇄골골절, 팔 신경 손상, 편마비 등 감별필요
반사소실: CNS의 심각한 기능장애를 시사 (핵황달, 패혈증, 뇌병증 등)
Grasp reflex
아기 손바닥에 손가락을 대면 꽉 쥐는 반사
소실시기: 3개월
Placing reflex
아기 발등을 탁자 모서리 등에 대면 다리를 들어 올려 탁자 위로 올리려는 반사
소실시기: 3-4개월
Tonic neck reflex
아기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면 그쪽 팔다리는 펴고 반대쪽 팔다리는 구부리는 반사
소실시기: 3-4개월
발바닥 파악 반사
손가락으로 엄지발가락 바로 아래 발바닥을 누르면 발가락과 발 앞쪽을 오므림
소실 시기: 9개월
바빈스키 반사
발바닥 가쪽에서 안쪽으로 긁으면 발가락 벌어짐
소실 시기: 10-16개월
Landau reflex
아기를 공중에 엎드리게 하면 머리와 다리를 들어 올리는 반사
소실시기: 1-2년
parachute reflex
영아의 몸통을 붙들고 갑자기 떨어뜨리는 시늉을 하면 양쪽 상지를 뻗어 방어하려는 반사
생후 6-9개월 경 나타나서 평생 지속됨
[1] 홍창의 소아과학 12e pg. 1175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