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의 영양

모유수유

기본 개념

모유수유 (Breastfeeding)

  • 영아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양 공급원으로 WHO는 첫 6개월간 완전 모유 수유를 권장

  • 장점

    • 영양학적 우수성: 영아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단백질, 지방, 탄수화물)가 최적의 비율로 구성됨. 특히 초유는 면역 성분이 풍부함.

    • 면역학적 이점: 분비형 IgA (secretory IgA), 락토페린(lactoferrin), 대식세포(macrophage) 등 여러 방어인자가 포함되어 감염 질환 예방에 효과적임.

    • 호르몬: 코티솔, 인슐린, 갑상샘호르몬, 성장인자 등이 포함되어 출생 직후 미숙한 장점막의 발달 촉진

    • 기타: 알레르기 질환 발생 위험 감소, 모아 애착 형성, 산모의 산후 출혈 감소 및 체중 회복에 도움


[1] 홍창의 12e, pg 63-66

모유수유의 유의사항

  • 모체측 감염질환

    • HIV, HTLV: 모유수유의 금기

      **최근 WHO, CDC 가이드라인에서는 HIV환자 중 ART 를 복용중이면서 viral load 가 충분히 suppression 되는 경우 수유 가능함을 명시하고있음

    • 활동성 결핵: 적절한 결핵 치료약을 2주간 복용할때까지 수유 중단

    • 대상포진: 유방에 활동성 병변이 존재할 경우 수유 중단, (병변을 완전히 밀폐한 후 반대측 유방으로 수유 가능)

    • HSV: 활동성 병변이 유방에 존재할 경우 수유 중단 (병변을 완전히 밀폐한 후 반대측 유방으로 수유 가능)

    • CMV: 만삭아의 경우 수유 가능 (30주 이전 출생 & 1500g 미만인 경우 감염위험 증가)

    • HBV: 출생 직후 B형 간염 면역글로불린과 백신을 접종했다면 수유를 미룰 필요는 없음

    • HCV: 모유수유를 금지할 필요는 없음

    • 항암제, 방사성의약품, 면역억제제, 코카인/헤로인: 모유수유의 금기

  • 영아측 금기

    • 갈락토스혈증

    • 기타 특수 분유가 필요한 유전 대사 이상질환 (PKU, MSUD)


[1] 홍창의 12e, pg 63-66

이유기 영양 (Weaning period nutrition)

  • 시기: 생후 4~6개월 경 시작. 너무 빠르거나 늦으면 알레르기, 영양결핍 위험이 있음
    (모유영양아는 생후 6개월간은 다른 음식을 따로 먹일 필요가 없음.

  • 목표: 고형식에 적응하고, 모유/분유만으로 부족한 영양소(특히 철분, 아연)를 보충

    **생후 4-6개월이 되면 모유, 분유에 포함된 칼슘, 철분, 구리, 아연, 비타민 D가 부족하게 됨. 철, 칼슘, 구리 등은 태아기에 축적되어 태어난 것이 모두 고갈됨

  • 방법

    • 초기: 쌀미음 등 곡류로 시작하여 채소, 과일 순으로 추가.

    • 중기 (6-8개월): 철분 보충을 위해 닭고기, 쇠고기 등 육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함.

    • 후기 (9-12개월): 점차 핑거푸드, 성인식과 유사한 형태로 전환

  • 주의사항

    • 전에는 꿀(보툴리눔균 위험), 생우유(철결핍, 알레르기 위험)는 피해야 함.

      **생우유는 철분 함량이 적고, 함유된 인이 철분 흡수를 방해하며, 철분흡수를 촉진하는 비타민 C의 함량이 적음

    • 새로운 음식은 3~5일 간격을 두고 추가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관찰


[1] 홍창의 12e, pg 72-74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