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췌장의 acinar cell 내에서 비정상적으로 조기 활성화된 소화 효소에 의해 autodigestion이 발생하면서 췌장 및 주변조직의 손상을 일으키는 급성 염증성 질환
원인: 담석, 알코올, 고중성지방혈증(>1000), ERCP 합병증, 약물 (azathioprine, DPP4 i) 등
임상양상
배꼽 주위/심와부 복통, 명치에서 등으로 방사통, muscle rigidity, 오심, 구토, 장음 저하
상체를 구부리면 완화되고, 똑바로 누우면 악화되는 양상의 통증
Cullen's sign: 배꼽 주위의 bruising/discoloration
Turner’s sign: flank 주변의 bruising/discoloration
검사
Amylase & lipase 증가 (정상치 3배 이상)
Leukocytosis, hyperglycemia, hemoconcentration, prerenal azotemina 등
영상: 복부 초음파 → 복부 CT (or MRI)
초음파 소견: 저에코성 이자 비대, 주변 액체 저류, 담석 등 관찰
CT 소견: 이자 비대, density 감소, 불명확한 경계, 주변 fat stranding, renal halo sign
진단기준: 다음 3가지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진단
특징적인 복통 (심와부 복통+등으로 방사통)
Serum lipase and/or amylase 3배 이상 증가
복부 영상 검사에서 acute pancreatitis 소견
질병 경과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한 경우라면 대부분 합병증 없이 호전되나, 중증 췌장염의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진행할 수 있음
입원 24시간 이내 중증도를 평가하는 지표
초기 지표: BISAP 점수 ≥3, SIRS 존재, BUN >20-25 mg/dL, Hct >44%
BISAP 점수: BUN >25, Impaired mental status, SIRS ≥2, Age >60, Pleural effusion
다기관 부전
치료
수액공급, 금식, 마약성 진통제
증상이 해소되면 가능한 빨리 경구 영양공급 (불가능하면 TPN보다 비위관 or 비공장관 등을 통한 경장 영양을 우선적으로 시행)
원인에 따른 치료
Gallstone pancreatitis
입원 후 24-48시간 이내 ERCP 시행, 입원기간 동안 쓸개절제술 고려
고중성지방혈증
중증 고혈당에 의해 고중성지방혈증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음 (DKA에서 HyperTG와 급성 췌장염이 동반되는 경우 흔함) → 인슐린 치료로 고혈당을 교정하면 중성지방도 저절로 교정됨.
평소 식습관 교정, 운동, Fibrates 등의 지질수치 저하 약물 투여
[1] Harrison 22e, pg. 2743-2750
[2] 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 급성췌장염 임상진료지침: 초기 치료, 영양지원, 회복기 치료
[3]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Guidelines: Management of Acute Pancreatitis
급성 췌장염은 괴사 발생 유무에 따라 Interstitial edematous pancreatitis (IEP) 또는 necrotizing pancreatitis로 나뉜다.
Interstitial edematous pancreatitis
localized/diffuse enlargement of pancreas with normal parenchymal enhancement
peripancreatic fat stranding, peripancreatic fluid collection
→ 발생 4주 이내에는 acute peripancreatic fluid collection을 보이며, 4주 이후 시점에는 합병증으로 pseudocyst가 발생할 수 있음
acute necrotizing pancreatitis
lack of parenchymal enhancement (좌)
peripancreatic fluid collection (acute necrotic collection, 우)
→ 발생 4주 이내에는 acute necrotic collection을 보이며, 4주 이후 시점에는 주변 괴사가 융합되어 섬유화 조직으로 둘러싸인 walled-off necrosis (WON)를 형성할 수 있음
[1] Harrison 22e, pg. 2743-2750
by
종총총
·
2025년 9월 21일
Cullen sign 이랑 Turner sign 에 대한 설명이 서로 바뀐 것 같습니다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