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요인 (Risk Factors): 모든 원인의 간경변증 (Cirrhosis)
임상양상: 초기엔 대부분 무증상 → 진행시 피로감, 체중감소, 식욕부진, 복부불편감 등
종양표지자: AFP > 200, PIVKA-2 (5cm이상의 간암 종양 표지자)
선별검사 : 간세포암종 고위험군(만성 B&C형 간염, 간경변증)에서 6개월마다 US, AFP
진단
비침습적 진단 (간경변 환자에서만 적용)
영상 검사: 추적검사 중 새로 발견된 1cm이상 결절에 대해 4-phase CT 또는 Dynamic MRI 시행
HCC 전형적 소견 (Radiological Hallmark): 동맥기 조영 증강 후 문맥기/지연기에서 조영제 소실 (Washout)
LI-RADS 5: HCC로 확진 가능, 조직검사 불필요
침습적 진단 (조직검사)
비간경변 환자에서 간결절 발견 시
영상 소견이 비전형적일 경우
치료 전 평가
Child-Pugh Score
ECOG 수행능력
Indocyanine Green 15분 정체율(ICG-R15)
: 간절제의 안정성 평가, ICG-R15 값이 10~14% 이내일 때 간절제가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음
Milan criteria (간 이식 가능성 평가)
[간세포암 병변 1개, 크기≤ 5cm] 또는 [간세포암 병변 3개 이하, 크기≤ 3cm]
간외 전이 및 혈관 침범 없음
[1] Harrison 22e, pg 659-666
[2] 2022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대한간암학회-국립암센터), pg.29-126
[3] BCLC staging and treatment strategy in 2022
병기 (Staging): BCLC (Barcelona Clinic Liver Cancer) Staging System
BCLC 0 (Very Early): 단일 결절 ≤ 2cm, ECOG 0, Child-Pugh A
BCLC A (Early): 단일 결절 또는 3개 이하의 결절(각 ≤ 3cm), ECOG 0, Child-Pugh A-B
BCLC B (Intermediate): 다발성 결절, ECOG 0, Child-Pugh A-B
BCLC C (Advanced): 혈관 침범(portal invasion), 림프절 전이(N1), 원격 전이(M1) 또는 암 관련 증상(ECOG 1-2)
BCLC D (Terminal): 심각한 간기능 저하 (Child-Pugh C) 또는 심한 증상 (ECOG >2)
치료
BCLC 0 & A (완치 목적)
1차 선택
간 절제술 (Resection): 간 기능 양호 & 문맥압 항진증 없을 시
간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밀란 기준(Milan criteria) 충족 시 최적 치료. (단일 5cm 이하, 3개 이하 각 3cm 이하)
국소소작술 (Ablation; RFA/MWA): 수술 비대상인 경우
보조요법: 절제/소작술 후 재발 고위험군에서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 고려
BCLC B
표준 치료: 경동맥화학색전술 (TACE)
병용요법: TACE + 더발루맙 + 베바시주맙 (PFS 개선)
BCLC C
1차 전신요법
아테졸리주맙 + 베바시주맙 (표준)
더발루맙 + 트레멜리무맙
면역치료 금기 시: 소라페닙 또는 렌바티닙
2차 전신요법 (소라페닙 진행 후): 레고라페닙, 카보잔티닙, 라무시루맙 (AFP > 400 시)
BCLC D
최선 보존적 치료 (Best Supportive Care)
[1] Harrison 22e, pg 659-666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