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간 샘종 (hepatic adenoma)
젊은 여자에서 주로 발생하는 양성종양
유발인자 : 경구 피임약 등
증상 : 크기가 작으면 무증상, 증상이 있다면 상복부 복통이 흔함(종양 내 출혈 or 국소 압박 때문) / 파열이 되어 복강 내 출혈이 발생하면 심한 증상을 나타냄
진단
초음파 : 다양한 에코를 가진 경계가 좋은 종괴
조영 증강 CT : 저음영으로 관찰되다, 동맥기 조영 증강 / 출혈이나 지방 성분으로 인해 heterogenous 하게 관찰될수도
MRI : 경계가 좋은 heterogenous 한 종괴로 관찰, 출혈이나 지방 성분에 대한 민감도 높음.
Tumor marker : AFP는 대개 정상이나, 악성화되면 상승할 수 있음.
치료 : HCC로의 전환 가능성, 출혈 등의 위험성 때문에 외과적 절제를 원칙으로 함. / 단, 경구 피임약 복용 중인 여성에서 증상이 없고 크기가 작으면(4cm 이하) 관찰도 가능
경구 피임약 중단, 체중감량
임신 전에 절제하는 것을 추천
파열되어 복강내 출혈 : 간동맥 색전술 → 환자가 안정되면 수술적 절제
[1] Sabiston 21e, pg. 1463
[2] 외과학 2판, pg. 958-95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