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중추신경계 질환

중추신경계 발달이상

기본 개념

신경관 결함 (Neural Tube Defects, NTDs)

  • 정의: 발달 과정 중 신경관 (neural tube)이 적절히 폐쇄되지 못해 발생하는 선천성 중추신경계 기형

  • 병태생리 및 분류

    • 일차 신경관 형성 (Primary Neurulation, GA 3~4wk): 신경관 형성 시기

      • 일차 신경관 형성 결함: 개방형 NTDs (open NTDs) 유발 (신경 조직 노출)

        • 두측 (Anterior) 결함: 무뇌증 (anencephaly), 뇌류 (encephalocele)

        • 미측 (Posterior) 결함: 수막척수류 (myelomeningocele)

    • 이차 신경관 형성 (Secondary Neurulation, 임신 5~6주): 꼬리 부분 신경관 형성

      • 이차 신경관 형성 결함: 폐쇄형 NTDs (closed NTDs) 유발 (신경 조직이 피부로 덮여 있음)

  • 원인 및 위험 요인

    • 다인성 (Multifactorial) 원인: 유전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 환경적 요인: hyperthermia, 약물 (예: valproic acid, dolutegravir), 모성 영양실조, 부적절한 엽산 수치, 모성 비만 또는 당뇨병

  • 진단: 산전검사 (태아초음파, 모체 혈청 AFP)

  • 예방: 엽산 복용


[수막척수류 (Myelomeningocele)]

  • 정의: 후방 신경관 폐쇄 부전으로 신경 조직이 척추 결함을 통해 돌출되는 개방형 NTD

  • 임상 양상 및 합병증:

    • 병변 위치: 요천추 (lumbosacral) 영역이 약 75% 차지

    • 신경학적 결손: 병변 위치에 따라 정도가 다름

      • L2 위쪽 병변: 일반적으로 보행 불가 (nonambulatory)

      • 요추 중앙 위쪽 병변: lower motor neuron sign 유발

  • 주요 증상: 장/방광 기능 부전 (incontinence), 하지 이완성 마비, 심부 건반사 소실, 하지 기형

  • 주요 동반 CNS 이상

        ▪ Chiari II 기형

        ▪ 수두증

  • 장기 합병증: 계류 척수 (tethered cord), 수척수증 (hydromyelia)


[잠재성 척수 이형성증 (Occult Spinal Dysraphism)]

  • 정의: 폐쇄형 NTD. 척추체 중앙선 결함은 있으나 척수 또는 수막의 돌출은 없음

  • 피부 증상: 병변 부위 위에 혈관종, 다모 반점 (hairy patch), 함몰 (pit), 피부 변색, 진피동 등 피부 증상 발현

  • 주요 아형

    • 선천성 진피동 (Congenital Dermal Sinus): 피부와 척수 사이의 통로

      • 임상적 중요성: 감염 확산 통로 역할을 하여 재발성 원인 불명의 수막염의 단서가 될 수 있음

      • 수막류 (Meningocele): 수막이 탈출했으나 척수는 정상 위치. 계류 척수 동반 가능성으로 척추관 탐색 필요

  • 진단

    • MRI, 초음파 등의 영상 검사


소아과 총론 > 선천성 기형 > 신경관 결손 및 중추신경계 단원 참고

피질 발달 이상

A. 소두증 (Microcephaly)

  • 정의: 머리 둘레가 평균보다 2–3 SD 이상 작음

  • 분류

    • 일차성 (Primary/Genetic): 신경 세포 증식 결함 (예: Microcephaly vera, 염색체 증후군)

    • 이차성/후천성 (Secondary/Acquired): 파괴적 사건이나 환경적 요인 (예: TORCH 감염, 모성 알코올/약물, 저산소-허혈성 손상)

  • 진단

    • 가족력, 부모/형제 머리 둘레 측정

    • 영상 검사: MRI (lissencephaly, polymicrogyria 등 구조적 이상 확인), CT (뇌내 석회화)


B. 거대뇌증 (Megalencephaly) 및 대두증 (Macrocephaly)

  • 정의: 뇌 무게/부피가 98th 퍼센타일 초과 (거대뇌증). 두위가 98th 퍼센타일 초과 (대두증)

  • 주요 원인

    • 가장 흔한 원인: 양성 가족성 대두증 (benign familial macrocephaly).

    • 유전 증후군: Sotos, Fragile X, Weaver 증후군 등 (체성 과성장 증후군)

    • 신경피부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NF1, NF2), 결절성 경화증 (TSC1, TSC2)

중앙선 결함 장애 (Disorders with Midline Defects)

A. 전뇌증 (Holoprosencephaly)

  • 정의: 전뇌 (prosencephalic) 분할 결함으로 인한 장애 (무엽성/반엽성/엽성)

    • 무엽성 (Alobar): 가장 심각, 대뇌 반구 완전 융합, 뇌량 완전 부재

  • 임상 특징: 심각한 경우 외안구 결합 (cyclopia), 단일 콧구멍 등 안면 기형 흔함. 시상하부 분할 장애 시 내분비 병증 동반

  • 원인

    • 염색체 이상 (약 60%): Trisomy 13 (m/c), Trisomy 18 등

    • 환경적 요인: 모성 당뇨병 (maternal diabetes) 위험 요소


B. 뇌량 무형성 (Agenesis of the Corpus Callosum, ACC)

  • 정의: 뇌량 (corpus callosum)의 형성 부전

  • 임상 양상: 고립된 ACC는 무증상일 수 있으나, 다른 뇌 이상 동반 시 지적 장애 및 신경학적 이상 초래.

  • 관련 증후군

    • Aicardi syndrome: ACC, 맥락망막 열공 (chorioretinal lacunae), 영아 연축 (infantile spasms), 지적 장애 (X-linked dominant, 거의 여성).

  • 영상 특징 (MRI): 측뇌실이 평행하게 주행, 제3뇌실 위치 높음, colpocephaly (후두각 확장) 동반

뇌신경 및 후두개와 이형성 (Dysgenesis of the Cranial Nerves and the Posterior Fossa)

A. 선천성 뇌신경 신경분포 이상 장애 (CCDDs)

  • Möbius 증후군: 양측성 안면 마비 (7번)외전 신경 마비 (6번)가 특징. 흡입력 약화로 수유 곤란, 자폐 스펙트럼 장애 동반 가능


B. 후두개와 장애

  • Chiari 기형 (Malformation): 소뇌 및 뇌간이 대후두공을 통해 하방 변위

    • Type I

      • 특징: 소뇌 편도 (cerebellar tonsils)만 하방 변위

      • 임상: 늦은 아동기에 증상 발현. Valsalva 기동으로 악화되는 두통

      • 합병증: 척수 공동증 (Syrinx) 동반 가능

    • Type II

      • 특징: 하부 소뇌 벌레, 편도, 연수 하방 변위

      • 수막척수류 환자의 대부분에서 동반됨

      • 합병증: 폐쇄성 수두증, 척수 공동증


  • Dandy-Walker 기형 (Malformation)

    • 특징: 제4뇌실 낭성 확장, 소뇌 벌레 형성 부전/무형성, 후두개와 확장.

    • 임상: 대부분 영아기에 수두증 발생.

    • 감별 진단: Mega cisterna magna (양성 정상 변이)와 구별 중요

    • 치료: 수두증 발생 시 낭성 공동 션트


  • Joubert 증후군 (Joubert syndrome)

    • 특징: 소뇌 벌레 형성 부전 및 구치 모양 징후 (pontomesencephalic molar tooth sign)

    • 병태: 섬모병증 (ciliopathy)

    • 임상: 근긴장 저하, 운동 실조, 특징적인 호흡 이상 (간헐적 무호흡/과호흡), 발달 지연

수두증 (Hydrocephalus)

  • 정의: CSF 순환/흡수 장애 또는 CSF 과다 생성으로 인한 상태

  • CSF 생리: CSF는 주로 맥락총 (choroid plexus)에서 생성. 흡수는 주로 거미막 융모 (arachnoid villi)에서 이루어짐

  • 분류 및 원인

    • 폐쇄성/비교통성 (Obstructive/Noncommunicating): 뇌실 내 순환 장애


      • 원인: 수도관 협착 (Aqueduct stenosis) (m/c 소아 원인), 후두개와 병변 (Chiari, Dandy-Walker), 종양

    • 비폐쇄성/교통성 (Nonobstructive/Communicating): 거미막하 수조 폐색 또는 융모 기능 부전

      • 원인: 거미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수막염

  • 임상 양상

    • 영아: 머리 둘레의 급속한 증가, bulging fontanelle, setting-sun eye sign, transillumination

    • 연장아: 두통, 구토, 기면, 성격 변화, 유두 부종

  • 진단

    • 영상 검사

      • 초음파: 개방된 천문이 있는 영아에게 유용

      • MRI: CSF 흐름 역학 및 원인 평가에 필수

    • 감별 진단: 양성 외인성 수두증 (Benign external hydrocephalus), 거대뇌증을 유발하는 대사/퇴행성 장애

  • 치료

    •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 필요

      • 뇌실-복강 션트 (Ventriculoperitoneal shunt)

      • 내시경 제3뇌실 조루술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ETV): 6개월 이상 비교통성 수두증에서 고려

  • 합병증: 션트 폐색, 세균 감염 (주로 Staphylococcus epidermidis)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