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뇌성마비 (Cerebral palsy)
정의 (Definition)
미성숙한 뇌(주로 만 2세 이전)에 발생한 비진행성 병변으로 인해 활동의 제한을 초래하는 운동 및 자세 발달의 장애 그룹을 지칭함.
운동 장애와 함께 감각, 인지, 의사소통, 지각, 행동의 장애 및 경련이 동반될 수 있음.
원인 및 병태생리 (Etiology & Pathophysiology)
주산기(Perinatal) 원인이 가장 흔함 (75-85%)
산전(Prenatal) 원인: 뇌 기형, 유전 증후군, 선천성 감염(TORCH), 자궁 내 허혈/저산소 손상, 모체 질환(당뇨, 갑상선기능항진증) 등
주산기(Perinatal) 원인
조산 및 저체중 출생아에서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
주산기 가사(Perinatal asphyxia), 뇌실주위 백질연화증(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VL), 뇌실 내 출혈(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핵황달 등
산후(Postnatal) 원인: 뇌수막염, 뇌염, 두부 외상, 저산소성 뇌손상 등
병태생리
손상 시기 및 부위에 따라 다양한 뇌 병변 발생.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PVL): 미숙아에서 가장 흔한 허혈성 뇌손상. 주로 운동 신경로가 지나가는 뇌실 주변 백질 손상으로 강직성 양하지마비 유발.
국소적/다초점적 허혈성 뇌손상: 주로 만삭아에서 발생. 중대뇌동맥 영역 손상 시 편마비 유발.
기저핵-시상 손상: 급성, 심각한 저산소증에 의해 발생하며 운동이상형(dystonic or choreoathetotic) 뇌성마비 유발
분류 (Classification)
운동 장애의 형태에 따른 분류가 가장 널리 사용
임상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운동 발달 지연: 목 가누기, 뒤집기, 앉기, 기기, 걷기 등 대운동 발달의 지연이 가장 흔한 초기 증상.
비정상적 근긴장도: 영아기에 근긴장 저하(floppy infant)로 시작하여 점차 강직성으로 변하는 경우가 많음
비정상적 자세 및 반사
특정 자세 선호 (예: opisthotonus)
원시 반사(모로 반사, 비대칭 긴장성 경반사 등)가 6개월 이후에도 소실되지 않고 지속됨
보호 반응(낙하산 반사 등)의 출현 지연
생후 3개월 이후에도 손을 펴지 않고 꽉 쥐고있는 모습
동반 질환
지적 장애 (50%): 사지마비형에서 빈도 높음
간질 (25-45%): 특히 편마비, 사지마비형에서 흔함
시각 장애 (60-70%): 사시, 굴절 이상, 시신경 위축 등
청각 장애 (10-25%)
위식도 역류, 연하곤란, 영양결핍
구음장애 (40-50%)
진단 (Diagnosis)
병력 청취: 주산기 위험인자, 발달과정, 가족력 등을 상세히 확인
신체 및 신경학적 진찰:
발달 평가 (Denver II 등)
자세, 근긴장도, 심부건반사, 원시반사 등 평가
비대칭적 움직임이나 특정 패턴 관찰
뇌 영상 검사
뇌 초음파: 신생아기, 특히 미숙아에서 IVH, PVL 진단에 유용
뇌 자기공명영상 (MRI): 뇌성마비의 원인 병변,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검사.
기타 검사: 유전 검사, 대사 이상 검사, 뇌파 검사(경련 동반 시), 시청각 기능 평가 등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