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신경증후군
피부 신경 증후군 (Neurocutaneous syndrome) 개요
병태생리
중추 신경계와 피부는 모두 외배엽 기원
외배엽의 분화과정에 결함이 생기면 특이한 피부증상과 신경계의 이상이 동반될 수 있음
이를 피부신경 증후군, 또는 phakomatosis 라고 부름
종류
신경섬유종증
Sturge-Weber 증후군
von Hippel-Lindau syndrome
PHASE 증후군, ataxia telangiectasia, 선모반증후군, 색소실조증, Ito 멜라닌 저하증
[1] 홍창의 12e, pg. 1222-1226
신경섬유종증 (Neurofibromatosis)
특징: 상염색체 우성 유전
종류: NF1 (→neurofibromin 단백 이상), NF2 (→merlin/schwannomin 단백 이상)
[NF 1]
진단: 다음 7개 양상 중 2개 이상 존재 시
Cafe-au-lait spot: 가장 특징적인 양상. 거의 모든 환자에서 관찰
(사춘기 이전에는 최대지름 5mm, 사춘기 이후엔 최대지름 15mm 이상인 반점 6개 이상)
주근깨: 겨드랑이 또는 서혜부
Lisch nodule: 홍채의 과오종, 2개 이상 관찰시 유의미
신경섬유종 또는 얼기형 신경섬유종 (plexiform neurofibroma): 2개 이상
신경섬유종: 고무처럼 탄성, 자주빛을 띤 작은 병변 → 사춘기 이후 발생
얼기형 신경섬유종: 신경줄기가 광범위하게 굵어진 것 → 출생시, 안와/측두 부위 호발
뼈병변: sphenoidal dysplasia, cortical thinning of long bones
시각신경교종 (Optic glioma)
1도 이내 친척의 가족력
기타 소견
뇌 MRI: 시각로, 뇌간, GP, thalamus, IC, 소뇌 등에 T2WI 신호 증강 병변
신경학적증상: 학습장애 (30%), 발작 (8%)
뇌혈관 침범: 동맥류, 모야모야병
동반 질환: pheochromocytoma, rhabdomyoma, 백혈병, Wilm’s tumor
[NF2]
진단기준: 다음 중 하나를 만족
양측 vestibular schwannoma 가 존재
편측 vestibular schwannoma 가 있는 환자가 NF-2를 가진 부모/형제/자식이 있거나 수막종/신경집종/신경교종/신경섬유종/후피막하 수정체 혼탁 중 두가지 이상이 있는 경우
[1] 홍창의 12e, pg. 1222-1226
결절 경화증 (Tuberous sclerosis)
상염색체 우성 유전
원인 유전자: TSC1 (→ hamartin 단백 이상), TSC2 (→ tuberin단백 이상)
임상양상 및 진단
확진: 주진단기준 2개 이상 or 주진단 1개 + 부진단 2개 or 유전자 돌연변이 확인
주 진단기준
cortical dysplasia: cortical tuber, cortical white matter migration line
subependymal nodule: 측뇌실로 돌출되어 촛농모양으로 관찰,석회화 가능
subependymal giant cell astrocytoma (SEGA)
얼굴의 혈관섬유종 3개 이상 or 이마의 판
손발톱 주위의 섬유종 2개 이상
hypomelanotic macule 3개 이상, 지름 5mm 이상
shagreen patch: 허리엉치 부위의 오렌지 껍질 양상의 질감 병변
retinal hamartoma: mulberry / plaquelike hamartoma, depigmented patch
cardiac rhabdomyoma
renal angiomyolipoma
pulmonary lymphangioleiomyomatosis
주요 증상: 영아 연축, 심부전/부정맥, 혈뇨 등
치료
SEGA가 동반된 영아 연축 → everolimus 가 효과적
renal AML: 3cm 이상 크기가 커지거나 지속적 출혈이 있을 경우 색전술/mTOR inhibitor
[1] 홍창의 12e, pg. 1222-1226
Sturge Weber 증후군
주요 징후
안면의 모세혈관 기형 (capillary malformation) → port-wine stain (V1을 따라 존재)
뇌경막의 혈관종
눈 혈관 이상 → 녹내장, 소눈증
원인 유전자: GNAQ 돌연변이
임상양상: 발작 (병변 반대쪽의 부분발작), 편마비, 뇌졸중양 증상, 발달지연
영상 소견: 뇌경막 혈관종, 동측의 뇌위축, 백색질이상, 뇌실질의 석회화
[1] 홍창의 12e, pg. 1222-122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