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내분비 질환

생식샘저하증

기본 개념

생식샘저하증 개요

  • 정의

    • 생식샘(성선, gonad)의 기능 부전으로 성호르몬 생성 감소 및/또는 생식세포(gamete) 형성 장애가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함.

    • 기능 이상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일차성(hypergonadotropic)과 이차성(hypogonadotropic)으로 구분됨.

      • 일차성 생식샘 저하증 (Primary hypogonadism): 생식샘 자체의 문제로, 혈중 성선자극호르몬(gonadotropin)이 증가하는 고성선자극호르몬성 생식샘 저하증(hypergonadotropic hypogonadism)을 특징으로 함.

      • 이차성 생식샘 저하증 (Secondary hypogonadism):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문제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가 결핍되어 발생하는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생식샘 저하증(hypogonadotropic hypogonadism)을 의미함.

  • 원인 및 병태생리 (Etiology & Pathophysiology)

    • 일차성 생식샘 저하증 (고성선자극호르몬성)

      • 염색체 이상 (소아과 총론 > 유전질환 단원 참고)

        • 터너 증후군 (Turner syndrome, 45,X): 여아에서 가장 흔한 원인. 난소 이형성증(ovarian dysgenesis)으로 인해 난소 기능이 조기에 상실됨.

        • 클라인펠터 증후군 (Klinefelter syndrome, 47,XXY): 남아에서 가장 흔한 원인. 고환 위축 및 섬유화(hyalinization and fibrosis)로 테스토스테론 분비 장애와 무정자증 발생.

      • 생식샘 자체의 손상

        • 항암치료: 화학요법(특히 알킬화제) 및 방사선 치료는 생식샘에 직접적인 독성을 유발함.

        • 외상 및 수술: 고환 염전(testicular torsion), 잠복고환(cryptorchidism) 수술, 난소 수술 후 손상.

        • 감염: 볼거리(mumps) 후 고환염

        • 자가면역질환: 자가면역성 다선 증후군(autoimmune polyglandular syndrome) 등.

      • 효소 결핍

        • 성호르몬 합성 과정에 필요한 효소(예: 17α-hydroxylase)의 선천적 결핍.

    • 이차성 생식샘 저하증 (저성선자극호르몬성)

      • 선천성

        • 칼만 증후군 (Kallmann syndrome): GnRH 뉴런의 이동 장애로 발생하며, 후각 소실 또는 감퇴(anosmia or hyposmia)를 동반

        • 선천성 뇌하수체 저하증 (Congenital hypopituitarism): PROP1, POU1F1 등 전사 인자 유전자 돌연변이

        • 유전 질환: 프래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등

      • 후천성

        • 두개내 종양: 두개인두종(craniopharyngioma)이 가장 흔하며, 생식세포종(germinoma) 등도 원인이 됨.

        • 중추신경계 손상: 외상, 수술, 방사선 치료, 감염(뇌수막염, 뇌염) 등.

        • 만성 전신 질환: 만성 신부전, 염증성 장질환, 섭식 장애(신경성 식욕부진증), 과도한 운동 등 기능적 원인.

        • 약물: 장기간의 고용량 스테로이드, 마약성 진통제 사용

치료, 합병증, 예후

  • 치료목표: 2차 성징 발현 유도, 정상적인 성장 촉진, 골밀도 유지, 심리사회적 발달 지원

    • 성장호르몬 보충 요법: 터너증후군 등 저신장 치료가 필요한 경우

    • 성호르몬 보충 요법 (Sex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남아

        •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투여

        •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증량함 (성인 용량까지 약 2-3년에 걸쳐)

        • 주사제(Testosterone enanthate, 2-4주 간격 근육주사)가 주로 사용되며, 경피 겔, 패치 제형 등

        • 치료 시작 시기: 보통 골연령 12세 전후에 시작.

      • 여아:

        • 에스트로겐(Estrogen) 투여

        • 초저용량으로 시작하여 2-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량함

        • 경구제(conjugated equine estrogen, estradiol) 또는 경피 패치 사용 가능

        • 치료 시작 시기: 보통 골연령 11-12세 전후에 시작

        • 약 1-2년 후 또는 소퇴성 출혈(withdrawal bleeding) 발생 시 프로게스틴(progestin)을 주기적으로 추가하여 자궁내막을 보호하고 규칙적인 월경을 유도

    • 가임력 보존 (Fertility preservation)

      • 사춘기 이후, 가임력 보존을 원하는 환자에서 정자/난자 냉동 보존(cryopreservation)을 고려

      • 클라인펠터증후군의 경우고환 조직 정자 추출(TESE) 및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ICSI)을 시도할 수 있음

      • 이차성 생식샘 저하증의 경우,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MG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 재조합 FSH/LH 등을 이용한 성선자극호르몬 치료로 생식 능력 회복을 시도할 수 있음

    • 원인 질환 치료

      • 뇌종양 등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 해당 질환에 대한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치료가 우선

  • 합병증 및 예후 (Complications & Prognosis)

    • 골다공증: 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해 최대 골질량 획득에 실패하여 조기 골다공증 위험이 증가함.

    • 심혈관 질환: 성호르몬은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상지질혈증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 성기능 장애 및 불임: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발생.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