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성조숙증 개요
정의: 여아에서 8세 이전, 남아에서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는 경우
여아: 8세 전 breast budding
남아: 9세 이전 고환 용적 4mL 이상
원인 및 병태생리
중추성 성조숙증 (진성 성조숙증,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HPA dependent: HPG 축이 조기에 활성화되어 발생, 맥박성(pulsatile)으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GnRH)에 의해 시작
혈중 LH pulse 확인 (특히 수면 중), 성호르몬 농도 높음
원인: 특발성, 중추신경계 기질적 병변
말초성 성조숙증 (가성 성조숙증, Peripheral Precocious Puberty, PPP)
HPA independent: 혈중 LH, FSH 수치가 사춘기 이전 수준으로 낮음
원인: 난소 종양, 부신종양, McCune-Albright syndrome, 외인성 에스트로겐 노출, CAH, 고환종양, hCG
진성 성조숙증
원인
특발성: 여아의 90%, 남아의 50%
뇌의 기질적 병변: 시상하부 과오종, 뇌종양, 뇌수종, 감염, 뇌상, 방사선조사 등
검사 및 진단
골연령 측정: 역연령보다 2년 이상 앞서있는 경우가 많음
기저 혈청 LH, FSH, Estradiol/Testosterone 농도 측정
: 대개 LH ≥ 0.6, Estradiol ≥ 10 pg/mL, testosterone ≥ 25ng/dL
GnRH 자극검사: 확진검사
GnRH 유사체(leuprolide acetate) 주사 후 시간대별(0, 30, 60, 90, 120분)로 LH, FSH 농도 측정
최고 LH 농도 > 5.0 IU/L 시 확진
영상검사
여아 골반초음파: 자궁 및 난소크기, 난포발달, 종양 유무 확인
뇌 MRI: 모든남아, 6세 미만의 여아, 유방발달이 빨리 진행되는 여아에서 혈중 E2 농도가 30pg/mL 이상
치료
GnRH 유사체 (GnRH agonist): leuprolide acetate, triptorelin
→ 정상적인 사춘기 시작 연령까지 2차 성징의 진행을 멈추고, 골 성숙을 지연시켜 최종 성인 키의 손실을 최소화
→ 적당한 시기까지 투여하다가 중단하면 사춘기가 다시 진행되며 평균 18개월 뒤 생리가 발생뇌의 기질적 병변에 의한 성조숙증/시상하부 과오종: GnRH agonist치료 효과적
가성 성조숙증
여아 원인
McCute Albright syndrome: cafe au lait spot, 다골성 섬유 형성이상 및 성조숙증을 함께 나타내는 특징적 질환
follicular cyst
난소종양, 생식세포종, 기타 생식샘 자극 호르몬 분비 종양: granulosa-theca cell tumor (m/c)
남아 원인
CAH m/c
부신 겉질 종양, Leydig cell tumor ,hCG 분비 종양 (뇌종양, 간모세포종)
치료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우선 (종양 제거 등)
McCune-Albright 증후군: Aromatase 억제제 (Letrozole), Estrogen 수용체 차단제 (Tamoxifen)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스테로이드 보충 요법
가족성 남성 성조숙증: Androgen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 (Ketoconazole) 또는 Androgen 수용체 차단제 (Spironolactone, Bicalutamide) 사용
불완전 성조숙증
정의: 2차성징 중 유방비대, 음모, 초경 등이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분류
유방 조기 발육증 (premature thelarche): 경과관찰, 진성/가성 성조숙증의 초기상태와 감별 필요
음모 조기 발생증 (premature adrenarche): 경과관찰, CAH, PCOS, 진성 성조숙증으로의 진행 관찰
초경 조기 발생증 (premature menarche): 다른 원인의 질출혈 감별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