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감염질환

바이러스 감염 (1)

기본 개념

홍역 (Measles, Rubeola)

  • 임상양상

    • 전파: 비말(droplet)을 통해 전파되며 전염력이 매우 높음 (감수성 있는 접촉자의 90% 이상 발병).

    • 잠복기: 8~12일.

    • 전구기 (Prodromal stage): 3~5일간 지속되며, 기침(cough), 콧물(coryza), 결막염(conjunctivitis)의 3C 증상이 특징적임

    • 코플릭 반점 (Koplik spot): 전구기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소견으로, 첫째 아래 어금니 맞은편 볼 점막에 나타나는 회백색의 모래알 크기 반점임. 발진이 나타나기 1~4일 전에 발생하여 발진 시작 후 2~3일 내에 소실

    • 발진기: 전형적인 홍반성 구진상 발진이 목 뒤, 귀 뒤에서 시작하여 3일에 걸쳐 몸통, 팔다리 순서로 퍼짐. (cephalocaudal progression)

    • 발진이 작은 겨 껍질 모양으로 벗겨짐 (손발제외), 착색되나 7일 이내 소실

  • 합병증

    • 가장 흔한 합병증: 중이염, 기관지 폐렴.

    • 신경계 합병증: 뇌염, 아급성 경화성 전뇌염(Subacute Sclerosing Panencephalitis, SSPE)이 있음.

    • SSPE: 홍역 감염 후 평균 7~10년 뒤에 발생하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 지능 저하, 행동 변화, 간대성 근경련(myoclonus) 등의 증상을 보임.

  • 진단 및 치료

    • 진단: 특징적인 임상 양상(3C, Koplik 반점, 발진)으로 진단 가능. 혈청에서 홍역 특이 IgM 항체 검출로 확진

    • 치료: 대증요법, 비타민 A

  • 예방

    • 소아 기본 예방 접종 (MMR)

    • 발진이 나타난 후 4일까지 격리 필요

    • 감수성이 있는 사람이 노출된 경우 72시간 내 백신접종 또는 6일 이내 IG 근주
      (IG: 6개월미만 유아, 임산부, 면역저하자 등 백신을 맞지 못하는 경우)

    • 홍역이 유행할 경우/홍역 유행지역으로 여행예정일 때

      • 6-11개월 소아: 가속접종 시행, 이는 기본 예방접종 횟수에 포함하지 않음

      • 12-15개월 소아: 1차접종과 최소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2차접종을 앞당겨 시행

풍진 (Rubella, German Measles)

  • 임상양상

    • 일반적으로 증상이 경미함.

    • 림프절 비대: 후경부, 후두부, 귀 뒤 림프절의 통증을 동반한 종창이 먼저 발생

    • 발진: 얼굴에서 시작하여 전신으로 빠르게 퍼지는 연분홍색의 반점상 구진. 홍역보다 색이 옅고 발진 입자도 작음. (색소침착, 낙설, 출혈반은 없음)

    • Forchheimer spots: 연구개에 나타나는 점상 출혈반

  • 합병증

    • 선천성 풍진 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CRS): 임신 초기의 임부가 감염될 경우 태아에게 심각한 기형(농아, 백내장, 심장 기형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진단 및 치료

    • 진단: 임상양상 및 풍진 특이 IgM 검출 또는 IgG 항체가의 4배 이상 상승

    • 치료: 대증 요법

유행성 이하선염 (Mumps, 볼거리)

  • 임상양상

    • 이하선염 (Parotitis): 한쪽 또는 양쪽 이하선(침샘)의 종창과 통증이 특징적. 70%에서 양측성으로 발생

    • 이하선 종창은 턱뼈의 후방 경계, 유양돌기, 광대뼈 주변에서 관찰됨

  • 합병증

    • 수막뇌염 (Meningoencephalitis): 가장 흔한 합병증. 발열, 두통, 경부 강직 등의 증상.

    • 고환염 및 부고환염 (Orchitis, Epididymitis): 사춘기 이후 남성에서 30-40% 발생. 대부분 자연 회복하며 불임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묾

    • 난소염 (Oophoritis): 사춘기 이후 여성에서 발생 가능.

    • 췌장염 (Pancreatitis): 상복부 통증, 구토 등의 증상. 혈중 amylase, lipase 상승

  • 진단

    • 유행시기에 특징적인 임상 양상으로 진단, serum amylase 증가 확인

    • 2일보다 길게 지속되면서 원인을 모르는 경우 혈청학적 검사나 바이러스 배양으로 확진

  • 치료: 대증 요법, 진통제, 수분 및 전해질 공급

장바이러스 감염 (Enterovirus Infections)

수족구병 (Hand, Foot, and Mouth Disease)

  • 원인: Coxsackievirus A16이 가장 흔한 원인. Enterovirus 71 및 기타 Coxsackievirus도 원인이 됨.

  • 임상양상: 손, 발, 입안에 특징적인 수포성 발진이 나타남. 입안의 병변은 통증을 유발하여 식욕 부진을 일으킬 수 있음.

  • 치료: 경과관찰, 대증요법


Herpangina

  • 원인: 주로 Coxsackievirus A군이 원인.

  • 임상양상: 급성 발열, 인후통. 연구개, 편도 기둥, 목젖 등에 1-2mm 크기의 수포 및 궤양이 관찰. 3-7일 후 완전히 회복됨

  • 치료: 경과관찰, 대증요법


Poliomyelitis

  • 원인: Poliovirus 1, 2, 3형.

  • 임상양상: 90-95%는 무증상 감염. 비마비성 소아마비는 발열, 두통 등 비특이적 증상. 마비성 소아마비는 이완성 마비를 특징으로 함

  • 국가 기본 예방접종으로 우리나라는 박멸지역으로 선언


기타 질환

  • 무균성 수막염: 장바이러스는 여름철 무균성 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임.

  • 심근염, 심막염: Coxsackievirus B가 주 원인. 갑작스러운 발열과 심한 흉통이 특징.

  • 급성 출혈성 결막염: Enterovirus 70, Coxsackievirus A24가 원인

  • 위장관/비뇨기계 증상

파보바이러스 B19 감염 (Parvovirus B19 Infection)

  • 임상양상

    • 감염성 홍반 (Erythema infectiosum, 제5병): 얼굴에 뺨을 맞은 듯한 모양(slapped cheek)의 발진이 특징적. 이후 몸통과 사지에 그물 모양(lace-like)의 발진이 나타남.

    • 관절병증 (Arthropathy): 주로 성인, 특히 여성에서 대칭적인 관절통과 관절염을 유발하며 2-4주 내 소실

    • 일과성 무형성 위기 (Transient aplastic crisis): 만성 용혈성 빈혈 환자에서 적혈구 생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하여 심한 빈혈을 유발함.

    • 태아 수종 (Hydrops fetalis): 임신부가 감염 시 태아에게 전파되어 심한 빈혈과 태아 수종을 일으킬 수 있음.

  • 진단 및 치료

    • 진단: 전형적인 임상양상 및 IgM 항체 검사로 급성 감염을 진단. 면역약화자의 경우 PCR 활용

    • 치료: 대부분 대증 요법으로 호전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Herpes Simplex Virus, HSV)

  • 감염 형태: 원발 감염, 비원발 초감염, 재발 감염으로 나뉨.

  • 임상양상

    • 잇몸구내염 (Gingivostomatitis): 소아에서 가장 흔한 HSV-1 원발 감염. 고열과 함께 잇몸, 혀, 입술 등에 통증을 동반한 수포와 궤양이 발생

    • 입술 포진 (Herpes labialis): 재발성 HSV-1 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

    • 성기 포진 (Herpes genitalis): 주로 HSV-2에 의해 발생

    • 피부감염: 피부의 외상이나 상처에 감염되어 발생
      아토피피부염환자에서 발생하는 eczema herpeticum의 경우 치명적일 수 있어 전신 항바이러스제 치료 필요

  • 합병증

    • 단순포진 뇌염 (HSV encephalitis): 가장 심각한 합병증. 측두엽(temporal lobe)을 주로 침범하며, 발열, 의식 변화, 경련 등을 보임


  • 진단 및 치료

    • 진단: 임상적 진단 후 병변에서 얻은 검체로 PCR 등을 시행

    • 치료: Acyclovir, Valacyclovir, Famciclovir 등 항바이러스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 (Varicella-Zoster Virus, VZV)

수두 (Varicella, Chickenpox)

  • 정의: VZV의 원발 감염.

  • 잠복기: 10~21일.

  • 임상양상: 가려움증을 동반한 전신적인 발진. 발진은 반점, 구진, 수포, 농포, 가피 순으로 빠르게 변화하며, 여러 단계의 발진이 동시에 관찰되는 것이 특징적임

  • 진단: 전형적인 임상양상으로 진단.

  • 치료

    • 건강한 소아: 대증치료

    • 경구 acyclovir 적응증: 접종력이 없는 13세 이상 소아, 만성 피부/폐질환자, salycilate 장기간 복용자, 스테로이드 복용자 (단기간, 간헐적사용, 흡입치료 포함), 가족 내 전파된 경우

    • IV acyclovir 적응증: 파종 수두 (폐렴, 심한 간염, 혈소판감소증, 뇌염 등), 면역약화자

  • 주의사항: Reye syndrome의 위험이 높아 aspirin 투여는 금기

    **Reye syndrome 이란?


  • 예방

    • 국가기본예방접종

    • 접종력이 없는 건강한 소아가 노출된 경우: 노출로부터 최대한 빨리 백신접종 (3-5일이내)

    • 백신접종이 어려운 고위험군 (수두에 면역이 없는 면역약화자/임산부, 분만전 5일부터 분만 후 2일 이내 수두에 걸린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 수두에 대한 면역이 없는 임산부에서 태어난 조산아, 임신나이 28주 미만& 출생체중 1000g이하의 입원중인 조산아) : 되도록 빨리 VZIG 투여

      • 증상이 나타난 후 투여는 병의 경과에 도움을 주지 못함

      • 면역결핍환자가 수두에 노출되기 2-3주 전 고용량 IG를 투여받은 경우 수두항체가 있다고 간주


대상포진 (Herpes Zoster, Shingles)

  • 정의: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VZV의 재활성화.

  • 임상양상

    • 하나의 피부분절(dermatome)을 따라 편측성으로 수포성 발진과 심한 통증이 나타남

    • 대개 45세 이후에 발생하며 건강한 소아에서는 드묾

  • 합병증

    • 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

    • ramsay-hunt syndrome: 외이도의 통증, 수포 + 안면신경마비 발생 (CN V, IX, X 침범 가능)



[1] 홍창의 12e, pg. 487-502

2개의 글


by

doctoract

·

2일 전

각 주요 바이러스별 격리시기 추가 요청드립니다.

이전 각론에서는 수두 격리기간 등 격리 시기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누락된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주요 질병에 대한 격리 시기도 추가 부탁드립니다.


by

doctoract

·

2일 전

VZV 설명 중 reye syn 설명 누락입니다.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