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감염질환

진균감염

기본 개념

칸디다증 (Candidiasis)

[신생아 칸디다 감염]

임상양상

  • 선천성 피부 칸디다증: 출생 시 또는 직후에 나타나는 전신적인 홍반성 발진, 미란, 농포가 특징임.

  • 침습성 칸디다증: 혈류 감염(칸디다혈증) 및 여러 장기(눈, 신장, 간, 뇌 등)로 파종될 수 있음.

  • 안구내염 (Endophthalmitis): 침습성 칸디다증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시력 소실을 유발할 수 있음


위험인자

  • 조산아 (면역학적 미성숙, 피부장벽 불완전), TPN, 광범위항생제투여, 중심정맥 카테터 등

  • 면역저하상태


진단 및 검사

  • KOH 검사: 병변 부위의 검체를 수산화칼륨(KOH) 용액으로 처리하여 현미경으로 위균사(pseudohyphae)나 효모 세포를 관찰

  • 배양 검사: 혈액 candidemia 가 증명된 영아는 머리 초음파/CT 를 시행하여 농양 여부 확인, 간/신장/비장 초음파, 심초음파, 안과적 검사, 요추천자, 소변배양 검사 시행


치료

  • 국소 감염: Nystatin, Clotrimazole, Miconazole 등 국소 항진균제 사용

    • 만삭아의 선천 피부 칸디다증의 경우 전신증상 없으면 국소 제제만 사용,

    • 조산아의 경우 전신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어 전신 항진균제 권고

  • 칸디다혈증/전신 칸디다증

    • 1차 치료제: Amphotericin B, fluconazole, Echinocandin 계열 약물.


[기타 칸디다 감염]

기저귀 피부염

  • 회음부 홍반성 발진과 주위 농포(satellite lesions)이 특징

  • 4일이상 지속되는 경우 nystatin, clotrimazole, miconazole 등의 항진균제 국소 도포

  • 심한경우 1-2일간 hydrocortisone 연고 추가

구강 칸디다증

  • 뺨 점막, 혀, 구개 등에 우유 찌꺼기 같은 흰색 반점이 나타남

  • 국소 nystatin (TOC)

외음부질염

  • 치즈 같은 질 분비물, 소양감, 작열감이 주 증상

  • clotrimazole, miconazole 국소요법, 경구 fluconazole

아스페르길루스증 (Aspergillosis)

  • Aspergillus fumigatus가 가장 흔한 원인균

  • 임상 양상

    • 알레르기성 기관지폐 아스페르길루스증 (ABPA): 천식, 기관지 확장증, 혈중 IgE 증가, 호산구 증가증이 특징임.

    • 아스페르길루스종 (Aspergilloma): 폐결핵 등으로 생긴 기존의 폐 공동에 진균 덩어리(fungal ball)가 형성됨.

    • 만성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CPA): 만성 공동성, 만성 섬유화성, 만성 괴사성 형태로 나타남.

    •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 (IA): 면역저하자에서 발생하며, 혈관 침범이 특징. 폐, 뇌, 부비동 등 침범 가능

  • 치료

    • ABPA: 경구 스테로이드, 필요시 voriconazole/Itraconazole 추가

    • 아스페르길루스종: 증상이 없는 경우 경과 관찰. 객혈 등 증상 시 그에 따른 처치

    • 침습성 아스페르길루스증

      • 1차 치료제: Voriconazole.

      • 대체/구제 요법: amphotericin B, Isavuconazole, Echinocandin계열 약물

크립토코쿠스증 (Cryptococcosis)

  • Cryptococcus neoformansC. gattii가 주요 원인균

  • 임상 양상

    • 폐 크립토코쿠스증: 무증상부터 폐렴까지 다양하게 나타남.

    • 크립토코쿠스 수막뇌염: 가장 흔하고 심각한 형태로, 두통, 발열, 경부 강직 등 증상 발현.

    • 파종성 질환: 피부, 뼈, 전립선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음.

  • 위험 요인: HIV 감염, 장기 이식, 스테로이드 사용 등 세포 매개 면역 저하 상태.

  • 진단 및 검사

    • 뇌척수액(CSF) 검사

      • India ink 염색: 효모의 협막을 관찰.

      • 크립토코쿠스 항원 검사: 민감도와 특이도가 매우 높은 확진 검사.

    • 배양 검사: CSF, 혈액, 객담 등에서 균을 배양.

  • 치료

    • 중추신경계 감염:

      • 유도 요법 (Induction): Amphotericin B + Flucytosine 병용 (최소 2주)

      • 유지 요법 (Maintenance): Fluconazole 저용량

    • 경증 폐 감염: Fluconazole 단독 요법

털곰팡이증 (Mucormycosis)

  • 특징

    • 털곰팡이목(Mucorales)에 속하는 진균에 의해 발생

    • 부패한 유기물, 토양 등에 존재하며 포자 흡입으로 감염

    • 기회감염 (당뇨, 혈액종양, 조혈모세포 이식, 지속적 산증, 스테로이드 치료 ,AIDS)


  • 임상 양상

    • rhinocerebral 털곰팡이증: 가장 흔한 형태로, 당뇨병 케톤산증 환자에서 호발. 부비동염, 안구침범, 뼈 침범, 해면정맥굴/내경동맥의 혈전 등 발생 가능. 코막힘, 혈성 비루, 안면 부종, 안구 돌출, 시력 소실 등.

    • 폐 털곰팡이증: 혈액암,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호발. 혈관 침범으로 인한 폐경색, 공동 형성, multiple nodules, reversed halo sign 등


  • 진단 및 검사

    • 조직 생검: 감염 조직에서 특징적인 넓고 비중격이 없는 균사를 확인 (직각으로 불규칙하게 분지)

    • 영상 검사 (CT/MRI): 부비동, 안와, 뇌 침범 범위 평가


  • 치료: 즉각적인 항진균제 및 광범위 절제

    • 항진균제 치료

      • 1차 치료제: amphotericin B

      • 대체/구제 요법: Posaconazole, Isavuconazole


[1] 홍창의 12e. pg. 476-486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