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 예방접종

주요 백신

기본 개념

2024년도 대한소아감염학회 주요 변경 내용

2024년도 대한 소아감염학회에서 새롭게 소아예방접종 지침을 발간하였고, 다음과 같은 주요 변경사항들이 존재한다. 각 사항들은 각론에서 더 자세히 다뤄질 예정이다.

  • 6가 혼합백신 (DTaP-IPV-Hib-HepB) 사용규정 상세화

  • 인플루엔자

    • 계란 알레르기의 경우 아나필락시스 병력이 없는 한 안전하게 접종 가능

    • Baloxavir가 소아 적응증을 획득하여 치료 옵션에 추가 → 호흡기내과 단원 참고

  • RSV 예방

    • 모체 RSV 백신: 임신 32~36주 사이의 임신부에게 접종하여 출생 후 6개월까지 영아의 RSV 질환을 예방

    • Nirsevimab (장기지속형 단클론항체) 도입

      • 권고 대상: 첫 RSV 유행 계절을 맞는 모든 생후 8개월 미만 영아 및 고위험군 소아(미숙아, 만성 폐질환, 심장질환 등).

      • 접종 시기: RSV 유행 시작 전 1회 근주

  • 임산부

    • 임신 중 어느시기든 COVID mRNA 백신 접종이 권고됨

  • 자궁 내 TNF-a 억제제 노출 신생아: 생후 12개월까지 BCG, 로타바이러스와 같은 생백신 접종을 피해야 함

HepB

  • 1차: 출생시 → 2차: 1개월 → 3차: 6개월 (0,1,6)

  • HBsAg 양성인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는 분만 직후 12시간 이내 HBIG 및 1차 백신을 동시에 접종하고, 2차와 3차 접종은 동일하게 실시

  • 6가 혼합백신 (DTaP-IPV-Hib-HepB): 사용시 출생 시 단독백신을 접종하고, 생후 2,4,6개월에 6가 혼합백신으로 접종 (0,2,4,6)

  • 출생 체중 < 2kg 인 신생아

    • 모체 HBsAg 양성인 경우: 출생 직후 B형간염 백신 및 HBIG를 각각 다른 부위에 접종하며, 이는 기본접종 3회에 포함시키지 않음. 이후 1개월, 2개월, 6-7개월에 접종 (총 4회)

    • 모체의 HBsAg 음성인 경우: 생후 1개월경과 또는 퇴원시까지 1차 접종 연기, 1차 접종 1개월 후 2차 접종, 1차 접종 6개월 후에 3차 접종


BCG

  • 약독화 생백신

  • 생후 4주 이내 1회 피내주사로 접종

  • 접종이 지연되는 경우

    • 생후 3개월 미만까지 TST없이 접종

    • 3개월- 만 5세 미만까지는 TST 음성 확인 후 접종
      (TST 경결이 5mm 이상인 경우 접종을 하지 않고 결핵환자 접촉력, 임상증상, 가슴 X선 검사 등 확인)

    • 5세 이상부터는 접종 권고되지 않음

    ** BCG 접종은 파종 결핵의 예방을 위한 것으로, 따라잡기 접종은 파종 결핵의 고위험 나이대로 알려져 있는 5세 미만의 소아까지 권장함


DTaP

  • 1차: 2개월 → 2차: 4개월 → 3차: 6개월 → 4차: 15-18개월 → 5차: 4-6세

  • 기초 접종 3회는 동일 제조사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원칙이며,
    DTaP-IPV / DTaP-IPV-Hib / DTaP-IPV-Hib-HepB 혼합백신 가능


Tdap

  • 11-12에 TdaP 백신으로 접종 이후 10년마다 TdaP 또는 Td 백신 추가접종 실시



IPV

  • 1차: 2개월 → 2차: 4개월 → 3차: 6-18개월 → 4차: 4-6세 (IPV단독)

  • 1~3차는 DTaP-IPV / DTaP-IPV-Hib / DTaP-IPV-Hib-HepB 혼합백신 가능

*우리나라에서는 경구용 폴리오 생백신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음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Hib)

  • 1차: 2개월 → 2차: 4개월 → 3차: 6개월 → 4차: 12-15개월

  • 생후 2개월-5세 미만 모든 소아를 대상으로 접종

  • 5세 이상 소아에서는 접종이 권고되지 않으나 고위험군이면서 미접종자는 반드시 접종 : 무비증, 면역결핍질환, 항암치료, HIV 감염, 보체결핍, 조혈모세포이식


폐렴구균 (PCV13,PCV15, PPSV23)

**PCV20 이 2025년도 10월부터 국가예방접종 도입된다.

  • 기본접종: PCV (13,15,20 / PCV 13과 20은 교차접종 가능, PCV 15는 동일 백신 유지)

    • 1차: 2개월 → 2차: 4개월 → 3차: 6개월 → 4차: 12-15개월

  • 고위험군: 2세이상의 연령에서 보강접종 시행

    • 기본 접종 내 PCV20 접종력이 있는 경우: 보강접종 불필요

    • 기본 접종 내 PCV20 접종력이 없는 경우: 마지막 단백결합 백신 접종 후 최소 8주 간격으로 PCV20 (1회) 또는 PPSV23 (1~2회) 접종

    -면역 저하 소아: HIV 감염, 만성 신부전/신증후군, 면역억제제 나 방사선 치료를 요하는 질환, 고형 장기 이식, 선천면역결핍질환

    -기능적/해부학적 무비증: 겸상구 빈혈, 헤모글로빈증, 무비증, 비장기능장애

    -다음 질환: 만성 심장/폐/간질환, 당뇨병,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상태


로타바이러스 (RV1, RV5 중 하나 선택)

  • 경구용 생백신

  • RV1: 1차 2개월 → 2차 4개월

  • RV5: 1차 2개월 → 2차 4개월 → 3차 6개월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풍진 (MMR)

  • 약독화 생백신

  • 1차: 12-15개월 → 2차 4-6세

  • 홍역 유행 시/유행지역 여행시

    • 생후 6-11개월 영아는 MMR 백신접종 권고, 이경우 접종 횟수에 불포함

    • 생후 12개월 이후 1차 접종만 한 소아는 여행을 떠나기 전에, 1차 접종과 최소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2차 접종


수두 (VAR)

  • 약독화 생백신

  • 1회 접종: 12-15개월 (면역의 증거가 없는 13세 미만 소아에서도 1회 접종)

  • 1세가 되기 전 접종한 경우는 접종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

  • 13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에게 면역의 증거가 없다면 4주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접종


HepA (A형 간염)

  • 1차: 12-23개월 → 2차: 6개월이상 간격, 4세이전


일본뇌염 (IJEV, LJEV 중 하나 선택)

  • IJEV (불활성화백신)

    • 1~2차: 12~23개월 → 3차: 24-35개월 → 4차: 6세 → 5차: 12세

  • LJEV (약독화 생백신)

    • 1차: 12-23개월 → 2차: 23-35개월


인유두종바이러스 (HPV4)

  • 11-12세 여아, 6-1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인플루엔자 백신

  • 생후 6개월 - 13세, 임산부, 65세 이상: 매년 1회

  • 생후 6개월 ~ 9세 미만 소아의 첫 접종: 최소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 필요, 이듬해부터는 1회 접종

  • 첫 접종을 1회만 받았다면 다음 해에 2회 접종해야함

RSV 의 예방

  • Palivizumab

    • 투여 대상

      • 제태기간 32주 미만의 조산아

      • 생후 24개월 미만이면서 BPD를 앓고 있는 영아

      • 선천성 심질환

      • 면역저하 영아

    • RSV 유행시작 전부터 한달에 1번씩 총 5회 투여

    2022 KMLE 2교시 68번 문항 참고


  • Nirsevimab (장기지속형 단클론항체): 2025년도 2월 국내 첫 도입

    • 권고 대상

      • 해당 RSV 시즌 (당해 10월~다음해 3월) 중에 출생한 모든 신생아

      • 해당 RSV시즌 시작 시점에 생후 6개월 미만인 모든 영아 (당해 4월 1일~9월 30일 사이 출생)

      • 생에 두번째 RSV 시즌을 맞는 만2세 미만 소아 중 고위험군

        (a) RSV 시즌 시작 시점 이전 6개월 이내에 기관지폐이형성증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
        (b) 혈류역학적으로 유의한 선천성 심장질환이 있으면서
        ① 울혈성 심부전 조절을 위해 약물 치료를 받고 있거나
        ② 중등~중증의 폐동맥 고혈압 동반되거나
        ③청색성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

        중 하나 이상 해당되는 경우
        (c) 면역저하자(일차 면역결핍증, 조혈모세포이식, 고형장기이식, 항암 또는 면역억제제 치료 등)
        (d) 호흡기 분비물 제거가 어려운 신경근육질환자 /선천기도이상 동반
        (f) 그 외 의료진이 중증 RSV 질환 고위험 환자로 판단(예: 낭성섬유증, 다운증후군 등)

    • 접종 시기: RSV 유행 시작 전 또는 시즌 중 1회 근주

  • 모체 RSV 백신: 임신 32~36주 사이의 임신부에게 1회 접종하여 출생 후 6개월까지 영아의 RSV 질환을 예방 (모체가 임신 중 백신 투여받은 경우 출생한 신생아에 대한 nirsevimab접종은 필요하지 않음)

    현재 FDA 승인, 국내 미도입→ pfizer Abrysvo 국내 승인 허가 대기중


palivizumab의 적응증에 해당하고 아직 접종을 시작하지 않았다면 nirsevimab으로 투여 가능.
이미 palivizumab 투여 완료 했다면 추가로 nirsevimab은 투여하지 않음

백신접종의 유의사항

공통 금기

  • 아나필락시스, 진행성 신경 질환, 급성 질환(발열, 전신증상 동반)


생백신 접종 금기

  • 임산부

  • 면역결핍질환 / 면역억제치료 진행 중

    • 중증 면역결핍이 아닌 HIV 감염자는 MMR 백신 접종을 권장

    • 백혈병의 관해 상태에서 최근 3개월간 항암제 등 면역억제제 투여를 받지 않은 경우 접종 가능

  • 자궁 내 TNF-a 억제제 노출 신생아: 생후 12개월까지 로타바이러스 등과 같은 생백신 접종 연기

  • 스테로이드 치료

    • 저용량 스테로이드 (<2mg/kg/d 또는 10kg 이상 소아에서 <20mg/d) 사용시 생백신 접종 가능

    • 그 이상용량, 14일 이내 사용- 스테로이드 중단까지 접종 연기

    • 그 이상 용량, 14일 이상 사용: 적어도 1개월 이상 접종 연기


BCG 금기 (생백신): 접종 부위 심한 피부질환/ 화상


백일해 금기

  • 아나필락시스 병력

  • 접종 후 7일 이내 급성 중증 뇌병증 or 최근 경련 경험

  • 신경장애가 비진행성이고 정지된 상태라면 예방접종 시행


MMR/수두 (생백신)

면역글로불린/수혈 치료 받은 경우 접종 시기 변경 필요

IVIG

  • 면역결핍증의 보충요법, 홍역예방 (임산부/면역저하자), 수두 예방, ITP의 치료: 8개월

  • 가와사키 병의 치료: 11개월

IMIG

  • A형간염 (노출 후 예방, 해외여행) : 6개월

  • 홍역예방: 6개월

specific IG

  • TIG, HBIG:3개월

  • RIG: 4개월

  • VIG: 5개월

  • CMV-IG, botulinum IG: 6개월

혈액제제

  • pRBC, 전혈: 6개월

  • 혈장/혈소판 제품: 7개월


인플루엔자 생백신 금기: 2세미만 소아, 50세 이상의 성인, 천식환자, 아스피린 복용자, 면역약화자, 임산부, 만성질환자


로타바이러스 금기: 중증 복합 면역결핍증, 장중첩증 과거력



[1] 홍창의 12e

[2] 대한 소아청소년과학회, 예방접종 지침서 제11판

1개의 글


by

파도도파

·

2025년 9월 30일

2121년 소아과 5번 해설에는 만 5세까지는 bcg 접종 권고, 6세부터는 접종 안한다고 되어있는데

개념서에는 만5세부터 안한다고 되어있네요. 어떤게 맞을까요?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