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아과 총론 > 소아 예방접종 > 주요 백신

결핵 bcg 접종 나이?

  • by

  • 파도도파

  • ·

  • 2025년 9월 30일

2121년 소아과 5번 해설에는 만 5세까지는 bcg 접종 권고, 6세부터는 접종 안한다고 되어있는데

개념서에는 만5세부터 안한다고 되어있네요. 어떤게 맞을까요?


2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9월 30일

BCG 접종은 원칙적으로 생후 4주 이내 1회 접종이 권장되며, 부득이하게 늦어지는 경우에도 **‘만 5세 미만’(즉 5세 생일 전)**까지는 따라잡기 접종이 가능합니다. 3개월 이상 지연된 경우는 BCG 접종 전에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ST) 음성을 확인해야 하며, 만 5세(5세 생일)가 된 이후부터는 BCG를 권고하지 않습니다.

  • 개념서에서 “5세 이상(=만 5세부터)은 접종하지 않는다.”는 표현과
  • 다른 교재에서 “만 5세까지 접종 권고, 6세부터는 접종 안 한다.”는 표현은
    결국 같은 의미입니다.

한국에서 ‘만 5세’는 아이가 생일을 맞아 실제로 다섯 돌이 된 시점(60개월)이므로, 그 직전까지(4세 11개월 29일 등)는 접종할 수 있지만 만 5세가 되는 날(즉 다섯 돌을 맞는 생일)부터는 권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두 표현이 동일한 원칙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임상에서는 **“5세 생일 전까지는 따라잡기 접종 가능, 5세 생일 이후로는 비권장”**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참고 개념 정리

  • BCG 접종 기본 권장 연령: 생후 4주 이내 1회(피내주사)
  • 지연 접종 시:
    • 3개월 미만: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 없이 접종
    • 3개월 ~ 만 5세 미만: TST 음성(경결 < 5mm) 확인 후 접종
    • (만)5세 이상: 접종 권고 없음

BCG는 주로 중증 결핵(파종결핵, 결핵성 뇌막염 등)의 위험이 높은 영유아 시기에 접종함으로써 합병증 예방 효과를 노리는 것이므로, 5세 이후에는 추가 접종 이득이 크지 않아 지침상 권고되지 않는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헤이즐쌤

·

2025년 10월 6일

개념서가 더 정확한 내용입니다. 해당 해설은 수정해두었습니다. 제보 감사합니다.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