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소아 예방접종

특수상황에서의 예방접종

기본 개념

조산아

  • 조산아에서의 최적 예방 접종시기: 출생 후 연령에 따라 접종

  • 유의사항

    • B형간염 관련 접종

    • 생후 6개월부터 인플루엔자 접종 권고

      • RSV예방

모유수유

  • 아기나 임산부 모두에서 예방접종에 따르는 면역작용을 방해하지 않음

  • MMR 백신은 모유로 배출되지 않음

  • 수유부의 황열 백신 접종은 주의 필요

면역결핍질환/면역억제치료 소아

  • 대부분 모든 종류의 생백신 접종 금기

  •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 불활성화 백신 접종은 가능하나 예방효과 떨어짐

  • 스테로이드 치료 중

    • 저용량 스테로이드 (<2mg/kg/d 또는 10kg 이상 소아에서 <20mg/d) 사용시 생백신 접종 가능

    • 그 이상용량, 14일 이내 사용- 스테로이드 중단까지 접종 연기

    • 그 이상 용량, 14일 이상 사용: 적어도 1개월 이상 접종 연기

  • 무비증 소아

    • 인플루엔자 생백신 금기 (이외는 금기 x)

    • S.pneumoniae, H.influenza B, N. meningitides 감염 위험성이 높으므로 접종 필요

    • 외과적 비장적출 계획 시: 최소 수술 2주 전에 위 세가지 균에 대한 백신 접종

    • 응급 비장 적출: 수술 후 2주 이후부터 가능한 빨리 접종

    • 백신 접종여부와 관계없이 예방적 항균제 투여

신경계 질환

  • 진행 중인 신경계 질환: 모든 백신에 대해 금기

  • 최근 경련 경험: 백일해 접종 지연

    • 신경장애가 비진행성이고 정지된 상태라면 예방접종 시행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