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황달의 치료
신생아 황달의 치료
치료 목표: 원인과 관계없이 핵황달의 위험이 있는 혈중 간접 빌리루빈 농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광선요법을 시행하고, 실패할 경우 교환수혈을 시행하여 핵황달을 예방하는 것
[광선치료]
원리: 특정 파장의 빛(주로 420-470nm의 청색광)을 50~70cm 거리를 두고 아기 피부에 쬐어 지용성인 빌리루빈을 수용성 형태로 변화시켜 소변과 담즙으로 쉽게 배설되도록 돕는 치료법
주의사항
탈수열: 치료 중에는 탈수 예방을 위해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 (2-3시간 간격으로 수유)
생식기와 눈을 가려 빛으로부터 보호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데에는 6~12시간이 필요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한 담즙 정체성 황달 환자에게 광선치료를 시행할 경우, 빌리루빈의 대사산물이 피부에 침착되어 청동아 증후군(Bronze baby syndrome)을 유발할 수 있음
교환수혈의 적응증이 되는 경우 광선치료로 교환수혈을 대신할 수 없음
[교환수혈]
원리: 신생아의 혈액을 점차적으로 제거하면서 건강한 공혈 혈액으로 대체하는 치료법으로, 혈중 빌리루빈 수치를 급격히 낮추고, 용혈의 원인이 되는 항체 및 손상된 적혈구를 제거
적응증
광선치료 실패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교환 수혈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
핵황달의 징후가 보이는 경우
[정맥 면역글로불린]
황달의 원인이 동종 면역에 의한 용혈 질환인 경우 광선치료에도 불구하고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하면 IVIG를 주사하고, 필요시 12시간 후에 재투여함으로써 교환 수혈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
황달 치료 시작 기준
**제태연령과 위험군을 분류하여 치료 시작 기준을 다르게 잡는다
제태연령 35주 이상의 신생아의 광선치료 적응증
제태연령 35주 이상 신생아의 교환수혈 적응증
저출생체중아(미숙아)에서의 고빌리루빈 혈증의 치료
**교과서에 실린 원본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1] 홍창의 12e, pg. 326-332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