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빌리루빈 증가 질환
패혈증
세균성 패혈증
AST, ALT, ALP 의 현저한 상승 없이 담즙 정체를 보이는 중환자에서는 반드시 패혈증 의심.
직접빌리루빈이 주로 증가하며, LFT도 상승할 수 있음
신생아 간염 (Neonatal hepatitis)
주요 원인
바이러스 감염 (m/c): TORCH infection, HBV 등
세균성, 대사성, 유전성 등
임상 양상
직접 빌리루빈(conjugated bilirubin) 증가 (출생 직후~수개월까지 다양)
AST/ALT/GGT 상승
진한 소변, 회백색 변 (acholic stool)
TORCH infection에 따른 여러 임상 소견: 저체중, 간비대/비장비대, 뇌내 석회화, 소두증, 난청, 혈소판 감소증, 특징적인 피부 발진(Blueberry muffin rash), 백내장, PDA
검사
복부초음파: 간/비장 크기 확인, 담도 구조 확인
HIDA scan : 담즙 배출 여부 확인, 담도폐쇄증과의 감별 (검사 초반 담즙배설이 지연되지만, 수시간이 지나면 장으로의 담즙 배설이 확인)
TORCH panel 검사 (serology,PCR): 원인 감별을 위해 필요
담도 폐쇄 (Biliary atresia)
정의: 선천적인 간외 담관의 진행성 섬유화 및 폐쇄로 인해 담즙 배출이 불가능해지는 질환
임상양상
생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생아 황달 (직접빌리루빈 증가)
진한 소변, 회백색 변 (acholic stool)
다비장증후군, 내장위치이상증 /회전이상, 좌심증, 복부 내 혈관기형 동반 가능
진단적 검사
초음파검사
담낭 내강이 보이지 않거나, 작은 담낭 ( <1.5 cm)
triangular cord sign: portal vein 의 anterior에서 보이는 echogenic fibrous tissue의 두께 ≥4mm 인 소견. 담관의 섬유화 잔재
HIDA: neonatal hepatitis와의 감별에 사용, 간에서의 uptake은 보이나, 시간이 지나도 담도로 담즙배설이 나타나지 않음.
왼쪽 : normal HIDA scan. 간 uptake → biliary excretion → 소장에서의 uptake 확인
가운데: biliary atresia. 간에서의 uptake은 보이나 시간이 지나도 담도/소장으로의 배출이 확인되지 않음
오른쪽: Neonatal hepatitis. 간에서 uptake이 보이고, 수시간이 지난 후 소장으로의 배출이 확인됨
MRCP: small GB, absence of bile duct
치료
Kasai operation (hepatoportoenterostomy)
수술 실패시 간이식 필요
> HIDA scan = 옛날 세대 이름
DISIDA scan = 최신 세대 이름 (동일한 검사, 다른 약물)
👉 요즘은 "Hepatobiliary scan" 혹은 “DISIDA scan”으로 통칭함
선천성 갑상샘기능저하증
정의: 선천적 갑상선 호르몬의 결핍으로 전신 대사 과정이 지연되는 상태
기전: 간의 빌리루빈 포합(conjugation) 과정이 지연되고 장운동이 감소하여 장간순환이 증가하면서 황달이 발생하고 오래 지속
증상
생후 1달 이상 지속되는 황달
변비, 넓은 대천문 (대천문 폐쇄 지연)
근긴장도 저하, 성장지연, 지적장애, 특징적인 얼굴 모양 (cretinism)
진단: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TSH 수치 증가, T4 수치 감소
치료: 갑상선 호르몬(L-thyroxine) 보충요법
대사성질환 (갈락토스혈증)
정의: 갈락토스 대사에 필요한 효소(GALT 등)의 결핍으로 발생하는 유전성 대사 이상 질환 (탄수화물 대사이상 단원 참고)
증상: 수유 시작 후 구토, 황달, 설사, 체중 증가 부진, 기면 등이 나타나며, 간종대, 백내장, 대장균성 패혈증의 위험이 증가함.
진단
신생아 선별검사
혈액 galactose / galactose -1 phosphate 증가, 소변 환원당 양성, 포도당 음성
효소 활성도 측정으로 확진
치료: 유당(lactose) 및 갈락토스 제거 식이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