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신생아 호흡기 질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기본 개념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 정의 및 특징

    • 폐의 구조적, 기능적 미성숙으로 인해 폐표면활성제(surfactant)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진행성의 호흡곤란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 주로 미숙아에서 발생하며, 재태주수가 짧을수록 발생 빈도와 중증도가 증가

    • 과거에는 병리학적 소견에 근거하여 유리질막병(Hyaline Membrane Disease, HMD)이라고도 불렸음. 이는 폐포 내벽에 호산성의 유리질막이 형성되는 특징적인 소견 때문

  • 병태생리

    • Surfactant는 제2형 폐포세포(Type II pneumocyte)에서 합성 및 분비되며, 주요 기능은 폐포 내 공기-액체 경계면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호기 말에 폐포가 쪼그라드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

  • 진단: 임상증상, 경과, 흉부 방사선사진, ABGA검사 소견을 기초로 하여 진단

    • 임상양상

      • 호흡곤란 및 청색증: 출생 직후 또는 수 시간 내에 시작되어 48-72시간에 걸쳐 점차 악화되는 양상

      • 빈호흡, 호기 시 신음 nasal flaring, 함몰호흡 (보조근 사용)

    • CXR 상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소견을 확인


      • 미만성 망상 과립상 음영 (Diffuse reticulogranular pattern)

      • 공기 기관지 조영상 (Air-bronchogram)

      • 전체적인 폐 용적 감소 (Low lung volume): 폐가 충분히 팽창하지 못해 전반적으로 하얗고 작아 보임 (저팽창, hypoaeration)

      • 심하게 진행된 경우 폐 전체가 완전히 하얗게 보이는 white out 소견을 보일 수 있음

    • 검사 소견: 초기 호흡 산증 → 호흡 및 대사성 산증

  • 치료: 폐표면활성제 투여 + 호흡보조요법

    • 폐표면활성제 보충 요법 (Surfactant Replacement Therapy)

      • 기관내관을 통해 폐에 직접 surfactant를 투여

      • 투여 시기: 진단 후 가능한 한 빨리 투여

    • 호흡보조요법

      • 비강 지속 기도 양압 (nasal CPAP)

        1) PaO2 50~70mmHg (SpO2 91~95%) 유지를 목표로 가온가습된 40~70% 산소를 비강 캐뉼라로 투여하기 시작

        2) SaO2가 90% 유지가 안되면 5~10cmH2O 의 nasal CPAP 시작

      • 기계환기보조

        : 호흡부전이 발생하거나 지속적인 무호흡이 있는 경우 필요

        1) 동맥혈 pH <7.2
        2) PaCO2 >60mmHg
        3) SpO2 <90% (산소농도 40~70%, 5~10cmH2O CPAP에서)

        4) 지속적이거나 심한 무호흡증 등의 호흡부전 증상이 있는 경우

  • 예방

    •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RDS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1] 홍창의 12e, pg. 306-326

RDS의 합병증

  • 급성 합병증

    • 공기 누출 증후군 (Air Leak Syndromes)
      : 기흉(pneumothorax), 종격동 기종, 폐간질 기종(PIE) 등.
      특히 양압 환기 치료 시 발생 위험이 증가하나 자발호흡을 하는 동안에도 발생할 수 있음

    • 폐출혈

    • 동맥관 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 저산소증, 산혈증, 폐동맥압 상승, 조산 등의 이유로 동맥관에서 prostaglandin이 분비되어 PDA가 지속 (양방향 또는 RtoL shunt) → RDS가 호전되면서 폐혈관 저항이 감소하면 좌우 단락이 되어 좌심실의 과부하 및 폐출혈을 유발하고 호흡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음

    • 뇌실내 출혈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미숙아의 뇌혈관은 매우 취약하여 혈압, 혈류량, PaCO₂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출혈이 발생하기 쉬움.

    • 감염: 중심정맥관, 기관내관 등 침습적 처치로 인한 병원 내 감염 위험이 높음.

  • 만성 합병증

    • 기관지폐 이형성증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가장 중요한 만성 합병증. 산소 치료 및 기계 환기로 인한 폐 손상이 주된 원인

    • 미숙아 망막병증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미숙아의 미성숙한 망막 혈관이 고농도 산소 등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

1개의 글


by

파도도파

·

2025년 9월 30일

ncpap도 기계환기 보조의 일종이라고 생각했는데, 기계환기보조의 적응증이 따로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