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S에서 기계환기 보조는 기관삽관 하는것을 의미하나요?
by
파도도파
·
2025년 9월 30일
ncpap도 기계환기 보조의 일종이라고 생각했는데, 기계환기보조의 적응증이 따로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9월 30일
RDS 치료에서 흔히 사용하는 ‘호흡보조요법(ventilatory support)’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비침습적 양압환기: 즉 nCPAP(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등 기관삽관 없이 비강(코)을 통해 양압을 주는 방법
- 침습적 기계환기: 기관삽관을 시행하고 인공호흡기를 연결하여 양압을 주는 ‘기계환기보조(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문헌이나 교과서에서 “기계환기보조”라고 할 때는 대개 기관삽관을 통한 침습적 인공호흡 치료를 의미합니다. 반면 nCPAP는 비침습적 방식으로, 기관삽관 없이 비강으로 양압을 제공하므로 보통 ‘비침습적 호흡보조요법’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 nCPAP는 환아가 비교적 자발호흡을 유지하면서도 저산소증을 교정해야 할 때 초기에 활용합니다.
- **침습적 기계환기(기관삽관 후 호흡기 연결)**는 nCPAP로 호전되지 않거나, 호흡부전(혈액 가스 교정이 되지 않는 경우, 지속적 무호흡 등)이 심해져 더 강력한 양압 지원이 필요한 경우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즉, 질문하신 “기계환기 보조”라는 용어는 보통 기관삽관을 포함한 침습적 환기치료를 지칭하며, nCPAP는 그보다 먼저 시도하는 비침습적 양압치료로 이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