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직장부터 근위부 대장의 점막을 침범하는 염증성 장질환
호발연령: double peak → 10-30대 & 60-70대
임상양상
만성 설사, 복통, 점액성 혈변, 체중감소, 뒷무직 등
전신 증상: 발열, 빈맥, 체중감소 (중증시)
장외 증상: 크론병과 유사하나 PSC발생 빈도 더 높음
특징
거의 항상 직장을 침범, 대장의 근위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진행되는 병변, 항문 침범은 드묾
직장염 (Proctitis): 직장에 국한
좌측 대장염 (Left-sided colitis): 비장 만곡부까지 침범
광범위 대장염 (Extensive colitis/Pancolitis): 비장 만곡부 너머까지 침범
점막층과 얕은 점막하층만 침범
검사실 검사
혈액검사: CRP, ESR증가, Hb 감소, 백혈구증가, 알부민 감소
대변 lactoferrin: 장 염증 진단에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사
대변 calprotectin: 조직학적 염증반응을 반영, 재발 예측 평가에 용이
→ fecal lactoferrin 과 calprotectin은 IBD와 다른 질환 (IBS 등)의 감별에 유용
p-ANCA (+) 60-70%
중증도 : 증상 (배변횟수, 혈변), 발열/빈맥/빈혈/ESR, 내시경 소견을 종합하여 평가
내시경 검사 (진단 및 질환 평가에 가장 중요)
sigmoidoscopy: 점막 병변 확인 및 질환 활성도 평가
대장내시경: acute flare가 아닌 상황에서 질환의 범위와 활성도를 평가
조직검사: crypt distortion, abscess, lymphoidal aggregate 등 확인
내시경 소견
: 직장부터 시작되는 연속적인 점막 염증. 혈관상 소실, 발적, 부종, 미란, 출혈, 궤양.
만성기에는 위축된 점막과 염증성 용종(pseudopolyp) 관찰
경도: Erythema, 혈관 감소, fine granularity
중등도: Marked erythema, coarse granularity, 혈관 소실, erosion, contact bleeding, 궤양 없음
중증: spontaneous bleeding, 궤양
A 정상 직장, B 경도, C 중등도, D 중증: spontaneous bleeding, Deep ulcerations, E 중증: Extensive superficial ulcerations, exudate
[1] Harrsion 22e, pg.2551-2571
대장조영술
acute stage: fine mucosal granularity, button shape ulcers, pseudopolyps
chronic stage
lead pipe colon: 만성 염증으로 인해 대장의 haustral marking이 소실되어 바륨조영술 상 매끈하게 보이는 소견
backwash ileitis: 전대장이 침범된 UC에서 patulous IC valve (열린 회맹판)이 발생하면 colonic material이 말단회장으로 유입되면서 backwash ileitis가 발생
CT
acute stage: Rectum부터 근위부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acute colitis 소견 (bowel wall thickening, mucosal hyperenhancement, submucosal edema 등)
subacute/chronic stage:
submucosal fat halo (만성 염증으로 인해 직장의 점막하층이 지방조직으로 대체되면서 target sign으로 나타나는 소견)
직장 주위의 fibrofatty proliferation
해리슨 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 새로운 생물학적 제제 및 소분자 약물 추가:
JAK 억제제(JAK inhibitors): Upadacitinib이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모두에서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명시
» 치료 전략의 변화
"Treat-to-Target" 개념 강조: 단순히 증상을 조절하는 것을 넘어, 대변 칼프로텍틴 정상화 및 내시경적 점막 치유를 치료 목표로 설정
생물학적 제제의 조기 사용 (Early intervention): 중등증-중증 환자에서 예후가 나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스테로이드나 면역조절제보다 생물학적 제제를 조기에 사용하는 'Top-down' 접근법의 유용성이 부각
» 진단 및 모니터링
대변 칼프로텍틴(Fecal Calprotectin)의 임상적 유용성 강조: 질병 활성도를 비침습적으로 평가하고, 치료 반응을 모니터링하며, 재발을 예측하는 데 있어 칼프로텍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기술
약물치료
1) 관해 유도 치료
경도~중등도 치료 : 5-ASA
Oral/rectal 5-ASA = 5-아미노살리실산 (경구 Sulfasalazine, Mesalamine 좌약)
oral/rectal budesonide, rectal hydrocortisone
중등도~중증 치료 : PO steroid (단 acute severe UC는 IV로 투여)
반응 불충분시 생물학적 제제 (anti-TNF) 또는 JAK inhibitor (Tofacitinib, Upadacitinib)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초치료로 생물학적제제 사용 가능
Fulminant colitis: 입원, IV steroid
3~5일 내 반응 없으면 anti-TNF inhibitors or IV cyclosporine
약물 반응 없을 시 응급 전체대장절제술
** 단, anti-TNF 사용 전 투여 전 잠복 결핵검사 (IGRA) 필요
2) 유지 치료
5-ASA: 경증~중등증의 관해 유도 및 유지치료로 효과적
Thiopurine (AZA, 6-MP): 스테로이드 의존성 IBD 의 관해 유지에 효과적
**TMPT, NUDT15 genotyping
TMPT 동형접합자의 경우 심한 골수억제 부작용이 발생
NUDT15 동형접합자의 경우 조기 중증 백혈구 감소증이 100%에서 발생하며, 완전 탈모가 불가피
→ Thiopurine 약물 사용을 시작하기 전, 또는 사용 중 심각한 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 유전형검사를 시행하고, TMPT 혹은 NUDT15 유전자형변이가 확인된 경우 thiopurine 치료를 피하는 것이 권장됨
anti-TNF 제제로 관해유도시 anti-TNF로 유지치료 시행
3) 식이요법
장관영양을 통한 고칼로리 식사 (low fat, low carb, high protein)
Acute flare UC일 경우 bowel rest + TPN 시행
수술적 치료 적응증
① 내과적 치료에 반응 없는 중증 UC (약물 치료 실패)
② 내과적 치료에 반응 없는 독성 거대결장
③ 대장천공
④ 조절되지 않는 출혈
⑤ 이형성 또는 악성종양
수술법
전대장직장절제술 및 회장낭-항문문합술 (Proctocolectomy + ileal pouch anal anastomosis, IPAA)
pouch failure가 발생하는 경우 ileostomy 시행
[1] Harrsion 22e, pg.2551-2571
출혈: 가장 흔한 합병증, 내과적 치료를 시행하면 대부분 출혈이 멎음
독성 거대결장 (Toxic megacolon)
진단기준
Diameter of T colon on plain Radiograph > 5cm 이면서 다음 중 3개 이상을 만족
→ tachcardia >100
→ Leukocytosis > 12000
→ hypoalbuminemia < 3g/dL
→ Temp >38.0
유발요인: Hypokalemia, antimotility agent, opiates, anticholinergics 등
처치
천공의 증거가 없는 경우: 2-3일의 보존적/내과적 치료로 50%가량은 호전
→ 금식, 비위관, 정맥 스테로이드제, Infliximab, 광범위 항생제
24-48시간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천공이 임박했거나, 천공의 증거가 있는 경우: 응급 수술
→ 전통적으로는 IV corticosteroid를 24-48시간 시행한 후에도 증상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steroid 3일 사용 후 호전이 없을 경우 Infliximab (또는 cyclosporine)을 2nd line therapy로 고려하고 infliximab 3일 사용 후에도 호전이 없다면 수술을 시행한다.
폐색/협착: 대장내시경이 통과하지 못하는 수준의 협착은 암의 가능성 높음→ 수술의 적응증
회장낭염 (Pouchitis): Proctocolectomy 및 IPAA를 받은 UC 환자에서 ileal pouch에 발생한 급성 염증 → 항생제 (ciprofloxacin and/or metronidazole) 투여
[1] Sabiston 21th pg. 1350
[2] Harrsion 21e, pg.2469-2490
스테로이드와 면역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중증의 IBD는 CMV 감염 여부를 반드시 확인
임상 양상: 혈변, 설사, 복통, 열감,피로감, 식욕감소 → Acute flare와 유사
내시경 소견: 발적, 미란, 상피하 출혈 또는 궤양
(A) Diffuse erythematous mucosal change with erosion.
(B) Multiple small erosions with exudate.
(C) Diffuse subepithelial hemorrhage with edema.
(D) Punched-out ulcer with clear demarcation from surrounding tissues.
(E) Diffuse geographic ulcer.
**CMV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 크론병은 대장내시경을, 궤양성 대장염은 구불결장경을 우선 고려
진단: 혈액검사만으로는 급성 감염을 진단하는 데 한계, 반드시 조직검사를 시행
→ 조직 채취 후 H&E염색, 면역조직화학 염색 검사, 조직 DNA-PCR 검사를 시행
치료
IV ganciclovir (1st line) 및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제 투여 감량/중단 고려
foscarnet (2nd line) : ganciclovir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1]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Korean J Gastroenterol, 2022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Erythema nodosum
Pyoderma gangrenosum
Peripheral arthritis
Ankylosing spondylitis
PSC
by
뽀잉이뽀식
·
2024년 8월 15일
<궤양성 대장염 Acute flare/중증시 검사>
대장내시경 X (합병증 발생 위험) - 상대적 금기
Lesion이 continuous하므로 중증일 경우 복부 Xray, 에스자결장경검사를 진행한다
이 부분을 읽다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mild severity 때 병원에 오면 대장내시경을 통해 진단 후 치료한다고 이해했습니다.
한국에서 그럴 일이 적겠지만 만...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