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위장관 출혈

하부위장관 출혈

기본 개념

하부위장관 출혈

해리슨 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 알고리즘의 변경: sigmoidoscopy 시행 기준 연령의 변경, 혈역학적 불안정을 보이는 환자에서 conventional angiography 이전 CTA을 우선 시행

  • 원인: ① 게실증 (Diverticulosis, m/c), ② 혈관확장증, ③ 허혈성 대장염, ④ 종양 등

  • 1단계 : 초기소생술 및 초기 검사

    • 혈액학적 불안정

      • 상부위장관 내시경: UGIB 우선 배제

      • UGI 음성 확인 후 혈역학적 불안정이 지속: CT angiography 시행 → extravasation이 보이면 angiographic embolisation시행

      • 지혈 실패 & 혈역학적 불안정 지속: 수술

    • 혈액학적 안정

      • 1차 검사: 대장내시경

      • 35세 미만 & 매우 적은 양의 출혈 & 정상 혈압/맥박 & 빈혈 없음 & 대장암 가족력 없음 : 굴곡 S상 결장 내시경


  • 2단계 : 대장 내시경 결과 확인

    • 출혈 부위 확인 + 지혈 성공

    • 출혈 부위 확인 + 출혈 지속 : 혈관조영술 → 그래도 출혈 지속 시 수술

    • 출혈부위 미확인 → 원인불명/소장출혈


  • 3단계: 원인불명/소장출혈

    • 대량 출혈이 소장 기원으로 의심되는 경우: 혈관조영술 or CTA/RBC scintigraphy 후 혈관조영술

    • Obscure bleeding workup

      • 1차 검사: 캡슐내시경

      • 2차 진단적 검사: CT enterography, 풍선 소장 내시경

      • 기타 검사: RBC scintigraphy, Tc-Pertechnetate scintigraphy등


  • 4단계: 모든 검사에서 출혈 부위 확인 불가

    • 수혈이 필요할 정도의 반복적/지속적 출혈 → 수술


[1] Harrison 22e, pg.319-315

2개의 글


by

·

2025년 4월 5일

해당개념 맨 위부분 도표에서 V/S unstable한 하부위장관 출혈에서 EGD확인 이후

상부GI의 문제가 아닌걸 알았을 때, 대장내시경을 시행한다고 되어있는데요,

바로 CT angio를 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기출들 보니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에서는 정상소견이였다’는 워딩이 있던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걸까요


by

9ooya

·

2024년 7월 24일

치료 필요/불필요 기준은 vital sign인가요?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