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부위장관 출혈
1단계 : V/S 확인 후 수액/적혈구 공급하며 초기 검사
혈액학적 불안정 : 상부위장관 내시경 → V/S이 계속 불안정 하면 혈관조영술 → 그래도 불안정하면 수술
혈액학적 안정
40세 이상 : 대장내시경
40세 미만 : 굴곡 S상 결장 내시경 (단, IDA, 대장암 가족력, 대량 출혈 시는 대장내시경)
2단계 : 대장 내시경 결과 확인
출혈 부위 확인 + 지혈 성공
출혈 부위 확인 + 출혈 지속 : 혈관조영술 → 그래도 출혈 지속 시 수술
출혈부위 미확인 : 출혈부위 확인을 위한 추가검사+ 시행 (단, 대량 출혈 시 혈관조영술)
+Obscure bleeding을 확인하기 위해서 캡슐내시경, push enteroscopy, CT enterography, RBC scintigraphy, Tc-Pertechnetate scintigraphy등을 고려할 수 있음
추가 검사 시행해도 출혈 부위 확인 불가
치료필요 X : 경과관찰
치료필요 O : 소장내시경, RBC scan, 혈관조영술 → 수술 중 내시경
[1] Harrison 21e, pg.311-315
2개의 글
by
·
2025년 4월 5일
해당개념 맨 위부분 도표에서 V/S unstable한 하부위장관 출혈에서 EGD확인 이후
상부GI의 문제가 아닌걸 알았을 때, 대장내시경을 시행한다고 되어있는데요,
바로 CT angio를 해야 하는것 아닌가요??
기출들 보니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에서는 정상소견이였다’는 워딩이 있던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걸까요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