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슨 22판의 주요 변경 사항
내시경 지혈술 옵션에 국소 지혈 분말 새롭게 추가
위식도정맥류의 활동성 출혈: IV octreotide과 함께 항생제 (ceftriaxone)의 투여 강조
조기 TIPS 시술 기준 구체화: 급성 정맥류 출혈 시 조기 TIPS 시술 고려 대상을 Child-Pugh B 등급 중에서도 '점수 8-9점이면서 내시경에서 활동성 출혈이 있는 경우'로 구체화
원인 : 소화성 궤양(Peptic ulcer, ~50%) > 식도 정맥류 > Mallory-Weiss tear > 미란성 질환(Erosive disease), 혈관이상
진단 : 상부위장관 내시경 (24시간 이내 시행이 원칙)
내시경 전 약물
Erythromycin (IV): 내시경 30-90분 전 투여 시 위 내 혈액 배출 촉진 → 시야 확보.
PPI (IV): 고위험 궤양 소견(active bleeding 등)을 줄여주나, 재출혈/사망률 등 최종 예후 개선 효과는 없음.
간경변 의심 시: 내원 즉시 Octreotide + 3세대 Cepha 투여
궤양 출혈의 치료
Forest Class Ia, Ib, IIa (Spurting, oozing, non-bleeding visible vessel)
: 내시경적 지혈술 필수 + 고용량 IV PPI
Forest class IIb (Adherent clot): 내시경적 지혈술 고려 가능 + 고용량 IV PPI
Forest class IIc, III (flat pigmented spot, clean base): 내시경 지혈 불필요, 경구 PPI
내시경적 지혈술: 에피네프린 주사, 클립결찰술, 전기응고술, 국소 지혈 분말
위식도 정맥류 출혈의 치료
식도 정맥류: 내시경 결찰술 (EVL) + 혈관수축제 투여 + ceftriaxone
위 정맥류: 내시경 경화요법 (EVO) + 혈관수축제 투여 + ceftriaxone
** 혈관수축제: octreotide, Terlipressin, somatostatin
TIPS: 약물/내시경 치료에 실패하거나, 고위험군 (Child-Puch C 이거나, B (8~9점) & active bleeding) 에서 조기 치료로 고려
S-B tube: 응급 처치, TIPS 전 가교요법
말로리 바이스 증후군
심한 구토/구역질 후 발생. 대부분 자연 지혈됨
활동성 출혈 시에만 내시경 치료
위장관출혈 수술 적응증 (최근에는 수술 보단 혈관조영색전술을 우선 고려해볼 수 있음)
내시경적 지혈에 반응 없는 출혈
재발한 출혈로 쇼크가 온 경우
노령 환자의 경우 6 unit 초과투여에도 v/s 불안정시
젊은 환자의 경우 8-10 unit 초과투여에도 v/s 불안정시
[1] Harrison 22e, pg.316-320
상부/하부위장관 모두 발생가능
우측 대장 (막창자, 오름잘록창자)에서 호발
나이에 따라 증가
증상 : 토혈/무증상 혈변, 빈혈
진단 : 내시경
치료 : 내시경적 지혈술 (아르곤플라즈마 응고술 등)
궤양 없이 점막하 혈관이 표피층으로 노출되어 있는 병변
내시경지혈술로 치료(에피네프린 주입, 클립지혈술 등)
유문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나온 확장된 혈관 조직이 줄무늬로 보이는 병변으로 수박위 (watermelon stomach)라고 불림
Systemic sclerosis에서 흔히 동반
줄무늬가 아니라 전정부의 불규칙한 미만성 발적으로 보이기도
내시경적 지혈술로 치료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