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학
분류: Deltavirus (불완전한 RNA 바이러스)
특징: 반드시 HBV의 HBsAg를 외피로 필요로 하므로, HBV 감염자에서만 발생
감염 형태:
동시 감염(Coinfection): HBV와 HDV에 동시에 감염. 급성 간염 증상 심할 수 있음.
중복 감염(Superinfection): 만성 HBV 보유자가 HDV에 추가로 감염. 전격성 간염, 급격한 간경변 진행 위험 높음.
진단
혈청학: Anti-HDV 검사
동시 감염: IgM anti-HBc(+) + Anti-HDV(+)
중복 감염: IgG anti-HBc(+) + Anti-HDV(+)
예방
HBV 예방접종을 통해 HDV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음
[1] Harrison’s 22e. pg. 2643-2663
바이러스학
분류: Hepevirus (RNA, Non-enveloped)
전파 경로: 분변-경구(Fecal-oral) (A형과 유사), 인수공통감염(Zoonosis) (덜 익힌 돼지고기, 사슴고기 등 - 유전자형 3, 4형)
잠복기: 평균 5-6주 (14-60일)
임상양상 및 진단
특징: 대부분 급성으로 회복
진단: IgM anti-HEV, HEV RNA
경과 및 합병증
특수 집단에서의 위험
임산부: 특히 3분기 감염 시 치사율 10-20%로 매우 높음 (전격성 간염)
면역저하자(장기이식 등): 만성 간염으로 진행 가능
기저 간질환자: 급성 악화("acute-on-chronic") 유발 가능
치료 및 예방
치료: 대부분 대증요법. 면역저하자의 만성 감염/중증 감염 시 리바비린(Ribavirin) 사용 고려
예방: 백신이 중국에서 개발되었으나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되지 않음
[1] Harrison’s 22e. pg. 2643-2663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