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양상
피로(m/c)
면역관용기/비활동기에서는 무증상이 흔함,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
간경변으로 진행하면서 황달 등이 나타날 수 있음
진단 : IgG anti-HBc (+), HBsAg (+)
자연 경과
면역관용기 : HBe Ag 양성, HBV DNA 매우 높음, ALT 정상
대부분 신생아 수직감염과 연관. 성인에서는 대개 바로 면역활동기로 시작
병리 소견: 간 염증 경미, 섬유화 진행 거의 없음
HBe Ag 양성 면역활동기 : HBe Ag 양성, HBV DNA 높음(≧20000IU/ml), ALT 상승
면역 반응 시작, 간손상 발생
면역비활동기 : HBe Ag 음성, HBV DNA 낮음(<2000IU/ml), ALT 정상
HBeAg 혈청 전환 (HBeAg 소실, anti-HBe 형성) 후 안정기
HBe Ag 음성 면역활동기 : HBe Ag 음성, HBV DNA 높음(≧2000IU/ml), ALT 상승
Precore/Core-promoter 변이로 HBeAg 없이 바이러스 증식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 위험 높음
치료
대상
HBe Ag 양성 면역활동기 : HBV DNA ≧ 20×103IU/ml + ALT 2배 이상 상승
HBe Ag 음성 면역활동기 : HBV DNA ≧ 2×103IU/ml + ALT 2배 이상 상승
간경변 O : ALT 값과 무관하게 HBV DNA 검출 시 치료
면역관용기, 면역비활동기 : 치료 X
회색 지대: ALT가 1-2x ULN인 경우, 40세 이상, 간암 가족력, 의미 있는 섬유화 소견 시 치료 고려
이 외에도 급성 악화나 면역 억제 치료 시작 전, HCC 환자 등에서도 치료
일차 치료 약제 : Tenofovir, Entecavir
TAF (tenofovir alafenamide) : TDF에 비해 신장 & 뼈 독성이 적어서 TDF보다 권장
TDF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 임산부 추천, 신독성
Entecavir : 신기능이 떨어진 환자에게 우선 사용 (위의 2가지보다 신독성이 적음)
치료 중단 시점
HBeAg 양성: HBeAg 혈청 전환 후 최소 12개월 추가 치료(공고 요법) 후 중단 고려
HBeAg 음성: 평생 치료가 원칙. HBsAg 소실 시 중단 가능 (매우 드묾)
[1] Harrison’s 22e. pg. 2673-2684
[2] 2022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핵심: HBsAg 양성 환자에서만 감염 가능 (결손 바이러스)
임상상: B형 간염 단독 감염보다 간질환이 더 심하고 빠르게 진행
진단: HBsAg 양성 환자에서 Anti-HDV, HDV RNA 검사
치료:
표준 치료: PEG-IFN을 최소 1년간 투여. 치료 반응률 낮음
신약: Bulevirtide (바이러스 진입 억제제)가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등장 (EMA 승인)
주의: B형 간염 경구 항바이러스제(ETV, TDF 등)는 HDV에 효과 없음
[1] Harrison’s 22e. pg. 2673-2684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