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위, 십이지장 질환

위의 생리학

기본 개념

해부학

  • 위샘의 종류 및 위치

    • 분문선 (Cardiac glands): 위샘의 <5% 차지, 점액세포와 내분비세포로 구성.


    • 위저선 (Oxyntic glands): 위샘의 75% 차지, 위 몸통(corpus)에 위치

      • 구성 세포: 점액경부세포, 벽세포(parietal cells), 주세포(chief cells), 내분비세포, 장크롬친화성 유사세포(ECL cells) 등


    • 유문선 (Pyloric glands): 위 전정부(antrum)에 위치, 점액세포와 내분비세포(가스트린 분비 G세포 포함)로 구성


  • 벽세포 (Parietal/Oxyntic Cell)



    • 위산(HCl)과 내인자(intrinsic factor) 분비

    • 비활성 상태: 세포질 내에 세관소포(tubulovesicles)가 풍부

    • 활성 상태: 자극 시 세관소포가 세포막과 융합하여 미세융모가 있는 분비세관(secretory canaliculi) 형성 → 표면적 극대화

    • H⁺,K⁺-ATPase (양성자 펌프)가 분비세관막에 위치하여 위산 분비 담당

점막 방어기전 3단계

  • 1단계: 상피전(Pre-epithelial) 방어

    • 점액-중탄산염-인지질 층: H⁺의 역확산을 막는 물리화학적 장벽.

    • 점액은 표면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며, 비유동 수분층(unstirred water layer) 역할

    • 중탄산염(HCO₃⁻)은 점액 내로 분비되어 pH 구배 형성 (내강 pH 1-2 → 세포 표면 pH 6-7).


  • 2단계: 상피(Epithelial) 방어

    • 세포 간 tight junctions

    • 손상 시 주변 상피세포가 이동하여 결손 부위를 메움 (재생, restitution)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PG)과 성장인자(EGF, TGF-α)가 세포 증식 및 재생 조절.


  • 3단계: 상피하(Sub-epithelial) 방어

    • 점막하 미세혈관망: 충분한 산소와 영양분 공급, 독성 대사물질 제거

    • 벽세포에서 생성된 산을 중화하기 위한 HCO₃⁻ 공급

    • 프로스타글란딘, 산화질소(NO) 등은 혈관을 확장시켜 점막 혈류 유지에 중요

위산분비

  • 촉진 인자

    •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 M₃ 수용체

    • 가스트린 (Gastrin): CCK-2 수용체

    • 히스타민 (Histamine): H₂ 수용체. 가장 중요한 최종 공통 경로

  • 억제 인자

    • 소마토스타틴 (Somatostatin): D세포에서 분비, 위산에 의해 분비 촉진. G세포와 ECL세포를 억제하여 가스트린과 히스타민 분비 감소


[1] Harrison 22e, pg. 2514-2522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