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조직형 : 편평상피암 (원인 : 흡연, 음주, 뜨거운음료) / 선암 (원인 : 바렛 식도, 흡연)
호발 부위
SCC: 상부 및 중부 식도
선암: 하부 식도 및 위식도접합부(GEJ)
증상 : 진행성 삼킴곤란 + 체중감소, 고칼슘혈증(paraneoplastic syndrome) 등
진단 및 평가
가슴 복부CT
확진: 식도위내시경 + 내시경초음파 (침범깊이 확인) + 생검
PET CT 등
유전자 변이
선암: HER2/ERBB2, PD-L1, MSI-H
편평상피암: PD-L1
[1] Harrison 22e, pg. 641-645
[2] Sabiston 21e, pg.1038-1052
[3]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and staging of esophageal cancer - uptodate
해리슨 22판 및 NCCN 2025의 주요 변경점
국소 진행성 선암의 표준치료 변경: ESOPEC 임상시험 결과를 인용하여, 수술 전 요법으로 기존의 항암화학방사선요법(chemoradiation, CROSS 요법)보다 FLOT 항암화학요법(fluorouracil, leucovorin, oxaliplatin, docetaxel) 단독이 생존율 개선에 더 효과적임을 명시
병기 (AJCC 8th)
Early Esophageal cancer (T1)
Tis~T1a : EMR / ESD
→ LVSI (-), submucosal invasion (-), 수직절제면 margin (-) : curative resection으로 판단, 추가수술 없이 경과관찰
→ LVSI (+), sm invasion (+), 수직 절제면 margin (+) 등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있고 불완전절제로 판단되는 경우 추가치료(Esophagectomy) 시행 필요
T1b : 식도절제술
Locally advanced, resectable cancer (T2+ or N+, M0)
Adenocarcinoma
T2N0 (<3cm, 분화도 좋음) : 식도 절제술
T2N0 (림프관 침범, 크기 3cm 이상, 분화도 나쁨) / T3-T4a / N+ : CTx (FLOT) → 수술
SCC
T2N0 (<3cm, 분화도 좋음) : 식도 절제술
T2N0 (림프관 침범, 크기 3cm 이상, 분화도 나쁨) / T3-T4a / N+ : CCRT** → 수술
**paclitaxel + carboplatin / 5-FU + oxaliplatin
Locally advanced, unresectable cancer / Metastatic cancer (T4b, Extraregional N, M1)
Criteria for unresectability :
- Distant Metastasis
- Extrareginal lymphnode spread (para-aortic, mesenteric lymphadenopathy)
EGJ & supraclavicular lymphnode involvement
Bulky, multi-station lymphatic involvement (relative contraindication for resection)
- T4b (aorta, trachea, heart, great vessels, liver, pancreas, lung, spleen invasion / TE fistula)
- Cervical esophageal tumors
전신상태 양호 (ECOG ≤ 2, Karnofsky ≥60%) : Systemic therapy + palliative care
전신상태 불량 (ECOG >3, Karnofsky <60%) : Palliative / Best supportive care
*Stage IVB병기에서 치료법이 잘 설계된 연구는 아직 없으며, 일부 보고에 따르면 전신 항암요법이 대증적 요법에 비해 생존률을 개선시키지 못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환자의 전신상태와 증상 등을 고려하여 항암치료의 시행여부를 결정하되, 적절한 대증치료가 필요하다.
*식도 폐쇄 증상에 의해 palliative therapy를 시행하는 경우 stent 삽입이 가장 간단하고 선호되는 치료이지만, curative surgery를 시행할 예정 환자에서는 stent 삽입을 시행하지 않는다. Stent related adverse event(ie. TE fistula)에 의해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1] Harrison 22e, pg. 641-645
[2] 2025 NCCN Esophageal cancer guideline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