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위장관) (new) > 위, 십이지장 질환

소화성 궤양

기본 개념

소화성 궤양

  • 정의

    • 위산과 펩신에 의해 발생한 위 또는 십이지장의 점막 결손

    • 크기 >5mm, 깊이가 점막하층(submucosa)까지 도달


  • 종류 : 십이지장 궤양 / 위 궤양


  • 주요 원인: NSAID 사용 (m/c), H.pylori 감염

  • 병태생리: 점막 공격인자 (위산, 펩신, H.pylori, NSAID)와 방어인자 (점액, 중탄산염, 혈류, PG)의 불균형

    H. pylori:

    • 십이지장궤양(DU) 유발: 주로 위 전정부(antrum) 감염 → G세포 자극(가스트린↑), D세포 억제(소마토스타틴↓) → 위산 과다분비 → 십이지장 내 산도 증가 → 궤양 발생

    • 위궤양(GU) 유발: 감염이 위 몸통부(corpus)까지 확장(pangastritis) → 위 점막 위축, 위산 분비 감소 → 방어기전 약화 → 궤양 발생 (위암 위험 증가)

    NSAIDs:

    • 전신 효과 (핵심 기전): COX-1 억제 → 프로스타글란딘(PG) 합성 감소 → 점액/중탄산염 분비↓, 점막 혈류↓, 상피세포 재생 능력↓

    • 국소 효과: 약산성 약물이 위 내강의 산성 환경에서 비이온화 상태로 점막 상피세포를 직접 투과한 후, 중성인 세포질 내에서 이온화되어 세포 손상 유발


  • 증상 : 소화불량, 상복부 복통, 속쓰림

    • 십이지장 궤양: 식후 90분-3시간 사이 통증 발생, 제산제/음식 복용시 완화, 공복에 악화, 새벽 통증

    • 위궤양: 구역감, 체중감소가 더욱 흔함, 식후 통증이 악화


  • 진단 및 검사 : 상부 위장관 내시경 (Gold standard)

    • 위궤양은 악성 감별을 위해 반드시 조직검사 시행

    • 샘창자궤양 : 대부분 생검 필요 X (악성인 경우 매우 드묾)

      • 위궤양은 치료 8-12주 후 f/u 내시경 시행 (+궤양이 지속된다면 조직검사 재시행)

      • 십이지장 궤양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될때 내시경 시행

    • H.pylori 검사 ( CLO test/RUT, 조직 검사 )


  • 치료

    • H.pylori 제균 치료 (→ 해당 단원 참고)

      • CLR 내성률 < 15% & 과거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사용력 없음: 표준 3제 요법

        (PPI + amoxicillin + clairythromycin)

      • CLR 내성률 > 15% or 내성 여부 모를 때: 비스무스 4제 요법 (1차 권장)

        (PPI + bismuth + metronidazole + tetracycline)

      • P-CAB (vonoprazan) + amoxicillin ± clarithromycin : FDA fast track 승인


    • 제균 후 추적검사

      • 위궤양 : 위 내시경 ± 조직검사/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 (반드시 육안으로 ulcer 호전 확인)

      • 십이지장 궤양 : 치료 종료 4주 후 UBT 또는 대변 항원 검사 시행


    • 보조 약물 치료

      • 제산제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등)

      • 점막보호제 (sucralfate, bismuth 등)


    • NSAID 유발 궤양 (→ 해당 단원 참고)

      • NSAID 중단이 원칙. 중단 후 H2RA 또는 PPI로 치료

      • NSAID 지속 투여가 필요할 경우, 반드시 PPI로 치료

      • 예방: PPI 또는 Misoprostol 병용


    • 수술적 치료 : 내과적 치료 실패 or 천공, 폐쇄, 출혈 등의 합병증 존재시


[1] Harrsion 22e, pg.2514-2531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