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및 기타 하지 질환
발달성 고관절 형성 이상증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DDH)
정의: 특별한 기저 질환 없이 고관절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관절이 불안정하거나, 아탈구/탈구에 이르는 일련의 질병 스펙트럼
임상양상 및 조기진단
고관절의 외전 제한: 아기를 눕히고 고관절을 90 굴곡한 상태에서 외전 → 양측 외전 정도를 비교
피부 주름 비대칭: 사타구니의 피부 주름 비대칭 확인
Galeazzi sign: 편평한 면에 아기를 눕히고 무릎을 구부려서 세우면 무릎의 높이가 다름 (완전 탈구 시에만 관찰)
Ortolani-Barlow sign:
아기를 눕히고 고관절을 90도 굴곡한 상태에서 외전하면서 greater trochanter를 밀어올릴 때 ‘뚝’ 하며 고관절이 정복되는 느낌이 촉지
고관절을 90도 굴곡하고 내전하면서 엄지손가락으로 lesser trochanter를 아래쪽 외측 방향으로 밀어낼 때 ‘뚝’하며 고관절이 탈구되는 느낌이 촉지
진단
초음파: ilium과 acetabulum의 bony roof 가 이루는 각도를 측정 → 60도 이상이 정상
고관절 엑스레이 (생후 5~6개월 후부터 가능)
→ 대퇴 골두가 Hilgenreiner선보다 상방으로, Perkins 선보다 외측으로 전위
치료
6개월 이전: 비수술적 치료 - pavlik 보장구 or 외전 보조기
6개월~2세: closed reduction
2세 이상: open reduction
합병증: 골간단의 무혈성 괴사
[1] 홍창의 12e, pg. 1294-1297
[2] Nelson pediatrics 22e, pg. 4231-4236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 (Transient synovitis of the hip)
임상양상 (Clinical Presentation)
정의: 소아에서 가장 흔한 고관절 통증의 원인, 양성(benign), 자가 회복성(self-limiting) 염증
호발 연령: 3-8세, 남아 호발
병력: 종종 상기도 감염(URI) 또는 경미한 외상 선행
증상: 급성 발현(acute onset)의 고관절 통증, 파행(limping), 또는 보행 거부
신체 검진: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 (특히 내회전 및 외전), 미열(low-grade fever) 가능, 전신 상태 양호
진단 및 검사 (Diagnosis & Tests)
진단: 배제 진단 (Diagnosis of exclusion) - 패혈성 고관절염 (Septic arthritis) 감별이 핵심
혈액 검사: WBC, ESR, CRP 정상 또는 경도 상승
참고: Kocher's criteria (패혈성 관절염 감별: 1. 체온 > 38.5°C, 2. 보행 불능, 3. ESR > 40 mm/hr, 4. WBC > 12,000/μL), TSH는 0-1개 해당
영상 검사:
X-ray: 정상 소견, (LCPD, SCFE 등 타 질환 배제 목적)
초음파 (US): 관절 삼출액(joint effusion) 확인 (필수)
치료 (Treatment)
원칙: 보존적 치료
방법: 안정(bed rest), 체중 부하 제한 (증상 호전 시까지)
약물: NSAIDs (통증 및 염증 조절)
경과: 1-2주 이내 증상 완전 소실
유년기 특발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Legg-Calve-Perthes)
임상양상 (Clinical Presentation)
정의: 성장기 아동의 대퇴골두 골단(epiphysis)으로 가는 혈류 장애로 인한 특발성 무혈성 괴사(Idiopathic AVN)
호발 연령: 4-10세, 남아 호발 (4:1)
증상: 만성적, 간헐적 파행 (통증 없음 또는 경미함)
통증: 고관절, 서혜부, 또는 무릎(referred pain) 통증 호소
신체 검진: 고관절 내회전(internal rotation) 및 외전(abduction) 제한이 특징적
진단 및 검사 (Diagnosis & Tests)
X-ray (AP & Frog-leg view):
초기 (Initial): 정상 또는 관절 간격 확장 (medial joint space widening)
괴사기 (Fragmentation): 골두 분절화, 편평화 (Coxa plana), 골두 경화 (Sclerosis)
재형성기 (Re-ossification): 새로운 골 형성
MRI: X-ray상 변화 나타나기 전 조기 진단, 괴사 범위 평가에 유용
치료 (Treatment)
목표: 통증 조절, 관절 운동 범위 유지, 대퇴골두의 비구 내 위치 유지 (Containment) → 구형성(sphericity) 유지
보존적 치료 (Containment): NSAIDs, 관찰, 외전 보조기 (Abduction brace/cast)
수술적 치료 (Containment): 대퇴골 또는 골반 절골술 (Femoral/Pelvic osteotomy), (주로 8세 이상, Herring B/C type)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
임상양상 (Clinical Presentation)
정의: 대퇴골 경부(metaphysis)에 대해 골단(epiphysis)이 성장판(physis)을 따라 후내측(postero-inferior)으로 전위(slip)
호발 연령: 사춘기 성장 급등기 (10-16세)
위험 인자: 비만 (가장 중요), 남아, 내분비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성장호르몬 결핍 등)
증상: 고관절, 서혜부, 또는 무릎 통증 (가장 흔한 오진 원인), 파행
신체 검진: 고관절 굴곡 시 강제적 외회전 (obligatory external rotation), 내회전 제한
진단 및 검사 (Diagnosis & Tests)
X-ray (AP & Frog-leg lateral view):
AP view: Klein's line (대퇴 경부 상연선)이 골단을 통과하지 않거나 스침
Frog-leg lateral view: 후방 전위(posterior slip) 확인에 가장 민감함
분류 (Loder):
Stable (안정형): 목발 유무와 관계없이 보행 가능 (예후 양호)
Unstable (불안정형): 통증으로 인해 보행 절대 불가능 (AVN 위험 높음)
치료 (Treatment): 응급 수술 (Surgical emergency) → 추가 전위 방지
합병증 (Complications)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AVN): 가장 심각한 합병증 (불안정형에서 20-50%)
연골 용해 (Chondrolysis): 관절 연골의 급격한 소실
반대측 발생 (Contralateral slip): 20-40%에서 발생 (특히 내분비 문제 시)
Osgood-Schlatter 병
임상양상 (Clinical Presentation)
정의: 경골 결절(Tibial tuberosity)의 골단염 (Apophysitis)
원인: 슬개건(patellar tendon)이 경골 결절 부착부를 반복적으로 견인(traction)하여 발생
호발 연령: 성장기 청소년 (남 10-15세, 여 8-13세), 특히 점프 등 운동 많이 하는 경우
증상: 무릎 전방 통증 (운동, 계단 오르기, 무릎 꿇기 시 악화)
신체 검진: 경골 결절의 압통, 종창 (Bony prominence)
진단 및 검사 (Diagnosis & Tests)
진단: 특징적인 병력 및 신체 검진 (주로 임상적 진단)
X-ray (Lateral view): 진단에 필수적이진 않음, 경골 결절의 종창, 골편 형성(ossicle formation), 분절화 소견 가능
치료 (Treatment)
원칙: 보존적 치료 (Self-limiting disease, 성장 완료 시 호전)
방법:
활동 조절 (통증 유발 동작 회피)
RICE (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
NSAIDs
스트레칭 (Quadriceps, Hamstrings)
내반슬/외반슬
핵심 요약
대부분의 내반슬(~2세)과 외반슬(3-4세)은 성장에 따른 생리적(Physiologic) 현상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호전됨
치료는 병적인(Pathologic) 원인이 있거나, 나이에 맞는 정상 발달 범위를 벗어나 악화되는 경우에만 고려함
병적 원인 감별 (Red Flags) 🚩
연령: 2세 이후 악화되는 내반슬, 7-8세 이후에도 지속/악화되는 외반슬
비대칭성: 한쪽 다리에만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 (Unilateral)
키: 백분위수 5% 미만의 저신장 동반
기타: Blount 병 (경골 근위부 내반 변형), 구루병 (Rickets), 골절 후유증, 골격 이형성증 등
진단 및 치료
진단: 기본적으로 경과 관찰, 병적 원인 의심 시 X-ray (Standing scanogram)
치료 (병적일 경우):
기저 질환 치료 (ex. 구루병에 비타민 D 공급)
수술적 교정: 변형이 심할 경우 성장판 유도술 (Guided growth) 또는 절골술 (Osteotomy) 시행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