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격계 선천 기형
두개골 조기 유합증 (Craniosynostosis)
정의: 두개골 봉합이 조기에 융합되면서 나타나는 두개골의 기형
특징: 두개골이 폐쇄된 봉합의 장축에 수직되는 방향으로의 성장이 제한, 다른 방향으로의 두개골의 대상성 과다성장이 발생
관상봉합(coronal suture)의 조기 유합 → 단두증 (brachycephaly)
시상 봉합(sagittal suture)의 조기 유합 → 장두증, 주상두증
모든 봉합의 조기 유합 → 첨두증, 탑상두
한쪽의 봉합만 유합 → 사두증 (plagiocephaly)
영상 검사: 뇌의 회선 위축, 얕은 안와 → 압박으로 인한 뇌손상, 실명 발생 가능
[1] 홍창의 12e, pg. 1292-1293
선천 근성 사경
정의: SCM m. 의 섬유성 구축에 의해 머리는 환측으로 기울고 얼굴은 반대측으로 향하게 회전된 변형
의의: 얼굴과 머리의 좌우 비대칭, DDH와 병발 가능
임상 양상
출생시 또는 2~3주 이내 변형 관찰
흉쇄유돌근 내 종괴 촉지 → 단단하고 압통 없음
종괴는 대부분 저절로 작아지나, 심한 구축 발생시 가동범위 제한에 따른 골격 비대칭 진행
감별진단: 안구 상사근 마비에 의한 사시, 선천 상부 경추 기형, atlantoaxial rotatory subluxation, CNS 이상 등
AP, lateral cervical spine Xray 필요
치료
영유아기: 수동적 신전 운동
1세 이후까지 치료받지 않거나, 치료에도 구축이 남아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 필요
[1] 홍창의 12e, pg 1293
[2] Nelson pediatrics, 22e, pg 4258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