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말초신경-근육질환

운동신경세포병

기본 개념

척수 근육 위축 (Spinal muscular atrophy, SMA)

  • 정의: 태아기에서 시작하여 영아기, 소아기 중에도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운동신경세포의 퇴행 질환

  • 분류

    • 1형: 중증 영아형

    • 2형: 후기 영햐영

    • 3형: 소아형

  • 원인: SMN 유전자 이상

  • 임상 양상

    • 1형 SMA

      • 출생부터 심한 근긴장 저하 (전신 근력저하, DTR소실, 혀/턱 근육 침범) → 수유 불가능

      • 전형적인 frog leg posture

      • 예후 불량 (2세~영아기 사망)

    • 2형 SMA

      • 정상 수유 가능, 호흡도 적절

      • 휠체어 필수 → 학령기까지 생존

    • 3형 SMA

      • 정상 영아기, 점진적인 근위부 근력저하 (shoulder girdle muscle 침범)

      • 보행 가능

  • 검사 소견

    • CK 정상~약간 상승

    • NCS : 운동신경전달검사 정상 → 말초신경질환과 구별하는 중요한 소견

    • EMG: fibrillation

    • 근생검: grouped atrophy

  • 치료

    • nusinersen sodium: 만 3세 이전 발병한 환자에서 승인

    • Onasemnogene abeparovovec


[1] 홍창의 12e, pg 1282-1283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