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중추신경계 질환

신경학적 평가와 진단

기본 개념

신경학적 진찰

  • 소아: 다음 범주에 따라 계통적으로 평가

    • 정신상태 및 정신운동발달

    • 뇌신경

    • 운동계

    • 감각계

    • 반사

    • 소뇌기능, 보행 및 운동조화

  • 영유아: 소아의 평가와 유사하지만, 다음 소견을 유의해서 확인

    • 이상 국소 증상

    •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반응이 없는 경우 (ex. 9개월 이후의 parachute reflex)

    • 정상 반응의 좌우 비대칭

    • 성장하면서 소실되어야 할 생리적 반응이 어느 범위를 지나서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 (ex. babinski reflexsms 는 생후 1-2개월에 정상적으로 존재)

    • 발달지연

  • 신생아: 몇번이고 되풀이해야함

    • flexor m. dominance 자세를 취하나, 분만에 의한 쇼크로 첫 24-60시간은 늘어질 수 있음 (scarf sign 양성)

    • 반사 및 소실시기

    • 머리둘레, 시각검사, 청각검사


[1] 홍창의 12e, pg. 1172-1178

진단적 특수검사

  • 요추천자 및 뇌척수액 검사

    • 목적: 수막염, 뇌염, SAH 진단에 필수. demyelinating disease나 대사질환의 진단, 종양세포의 유무를 확인하는데 도움

    • 금기

      • 두개내압의 상승, 경천막뇌 탈출의 임박증상

        → 반드시 시행 전 뇌영상검사나 안저검사를 하여 유두부종이 있지 않은지 확인

      • 요추천자 부위의 세균감염

      • 심한 혈소판감소증 (<20000)

      • 대뇌제거경직자세 / 겉질제거 경직자세, 동공크기나 동공반사의 좌우 차이, 인형 눈검사에서 눈운동의 장애, 혼수와 관련된 비정상적 호흡을 보이는 경우 → 항생제, 뇌압하강치료를 우선 시행하며 CT 시행후 요추천자 시행 여부를 결정

    • 정상 범위

      • 개방 압력: 60~180mmH2O

      • 육안: 맑은 물 (혼탁은 백혈구나 적혈구 증가에 의해 발생)

      • 정상세포: 림프구 5/uL까지 정상 (신생아는 15/uL까지 정상)

      • 다형핵백혈구: 존재시 비정상 (신생아는 1-2/uL까지도 정상)

      • 적혈구: 존재시 비정상 (있을 경우 천자중 외상 또는 SAH를 시사)

      • 단백질: 10~40mg/dL (신생아는 120mg/dL까지 정상, 3개월 정도이면 정상 수준으로 됨)

      • IgG: 총단백의 10% (SSPE, 감염 후 뇌척수염, 다발 경화증에서 상승)

      • glucose: 혈당의 약 60% (당의 감소는 세균 수막염, 결핵 수막염, 악성종양의 수막 침범, SAH, 등에서 발생)

      • 미생물학적 항원/항체검사, lactate, pyruvate, 아미노산 등의 대사물질 검사 가능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