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질환
출생 후 갑상샘 호르몬의 변화
출생 직후 TSH surge 발생 → 24시간 후 정상화
TFT는 24시간 후 시행할 것을 권고
선천 갑상샘 저하증 (Congenital Hypothyroidism)
정의
출생 시부터 갑상샘 호르몬이 결핍된 상태를 의미함.
신생아 대사 이상 선별 검사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과거 크레틴병(cretinism)으로 불리던 심각한 신경 발달 장애는 예방 가능해짐.
발생 빈도는 신생아 약 2,000 ~ 4,000명당 1명
원인
갑상샘 형성 이상 (Thyroid dysgenesis)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의 80-85%를 차지
이소성 갑상샘 (Ectopic thyroid): 가장 흔한 형태로, 갑상샘이 정상 위치(목 앞쪽)에 있지 않고 혀뿌리 등에 위치함.
무형성증 (Agenesis): 갑상샘이 아예 형성되지 않음.
형성 저하증 (Hypoplasia): 갑상샘이 비정상적으로 작게 형성됨
갑상샘 호르몬 합성 장애 (Dyshormonogenesis)가 원인의 10-15%를 차지함.
갑상샘은 정상 위치에 존재하나 호르몬 합성 과정의 특정 효소 결핍으로 인해 호르몬을 생성하지 못함 → 갑상샘 스캔에서 정상 uptake
대부분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
갑상샘종(goiter)을 동반할 수 있음
산모측 원인
산모의 자가면역 갑상샘 질환(그레이브스병 등)으로 인한 TSH 수용체 차단 항체가 태반을 통해 전달된 경우.
임신 중 산모가 복용한 항갑상샘제나 요오드의 영향
임상양상
대부분의 신생아는 출생 시 무증상이거나 비특이적인 증상만 보임. 이는 태반을 통해 모체의 갑상샘 호르몬이 일부 공급되기 때문
조기 증상 (생후 수 주 이내)
지연성 황달 (Prolonged jaundice)
수유 곤란 및 체중 증가 부진
기면 (Lethargy), 수면 시간 증가
변비
쉰 울음소리 (Hoarse cry)
근긴장도 저하 (Hypotonia)
찬 기운이 도는 얼룩덜룩한 피부
후기 증상 (치료 지연 시)
특징적인 얼굴 모양: 넓은 콧등, 부은 눈꺼풀, 큰 혀 (Macroglossia)
복부 팽만 및 제대 탈장 (Umbilical hernia)
대천문 및 소천문 개대 (Large fontanelles)
심각한 성장 장애 및 발달 지연
비가역적인 지능 저하
진단
신생아 선별검사: 생후 48-72시간 사이 발뒤꿈치 혈액검사
확진검사: free T4, TSH
원인 감별을 위한 검사: 갑상샘 스캔, 초음파, 혈청 Tg
치료 및 예후
L-T4: 진단 즉시 치료 시작 (TSH ≥ 10~20 or T4 <6.5), 공복복용, 단독 복용 원칙 (철분, 칼슘, 두유제제는 L-T4흡수를 방해함)
생후 2주 이내 갑상샘 기능을 신속히 정상화하는 것이 목표
갑상샘이 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 만 3세경에 L-thyroxine을 약 4주간 중단하여 영구성과 일과성을 감별하는 재평가를 시도할 수 있음
치료받지 않을 경우 영구적인 지능저하 및 성장장애, 운동발달지연, 청력장애 발생
일과성 선천 갑상샘 저하증
신생아기에 일시적으로 낮거나 정상인 T4, 증가된 TSH 농도를 보이는 갑상샘저하증 상태에 있다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경우
산모의 TRAb, iodine/amiodarone/antithyroid drug 등을 사용한 경우 등이 원인 → 갑상샘종을 동반하지 않음
약물에 의한 경우는 1-2주, 산모의 억제항채에 의한 경우는 1-4개월이 지나면 갑상샘 기능이 회복됨
갑상샘저하증이 1-2주 이상 지속되거나, 갑상샘기능이 정상이더라도 TSH ≥ 10 이라면 L-thyroixine을 계속 투여하면서 일과성의 경과를 취하는지 관찰
진단이 애매하거나 생후 초기에 확실한 원인을 알지 못한 채 치료를 시작한 때에는 3세 이후에 trial off 시도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