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세포종(Retinoblastoma)
망막세포종(Retinoblastoma)
정의: 망막의 신경능선(neural crest)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으로, 소아에서 가장 흔한 원발성 안구 내 악성 종양
원인 및 특징
대부분 5세 이전 발병
유전적 원인: RB1 유전자의 비활성화 돌연변이가 핵심 원인
임상양상
백색동공 (Leukocoria): 가장 흔한 증상 (약 60%). 어두운 곳이나 사진 촬영 시 동공이 희게 보임 (정상적인 red reflex 소실)
사시 (Strabismus): 두 번째로 흔한 증상 (약 20%). 종양이 황반을 침범하여 시력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발생
기타: 시력 저하, 안구 통증, 충혈, 안구 돌출(proptosis), 신생혈관 녹내장으로 인한 안압 상승, 전방에 종양 세포가 보이는 가성 전방축농(pseudohypopyon)
진단
안저검사: 망막에 위치한 희거나 크림색의 융기된 종괴를 확인, 유리체 파종(vitreous seeding)이나 망막하 파종(subretinal seeding) 유무를 평가
안구 초음파, OCT, CT, MRI 등 : 안와, 시신경, 뇌침볌 여부 평가. 송과체에 발생하는 삼측성 망막모세포종(trilateral retinoblastoma)을 감별
유전자검사: RB1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조직생검 금기 (안구 밖 seeding 위험)
분류
A: 직경 3mm 이하의 망막에 국한된 작은 종양
B: 직경 3mm 초과의 망막 종양, 황반 또는 시신경유두 주변 종양, 망막하액이 5mm 미만
C: 국소적인 망막하 파종 또는 유리체 파종이 있는 경우
D: 미만성의 망막하 파종 또는 유리체 파종이 있는 경우
E: 안구 구조를 파괴하거나, 신생혈관 녹내장, 안구 내 심한 출혈, 안와 침범 등 안구 보존이 불가능한 경우
치료
일측종양
크기가 작을 경우: 레이저나 냉동치료 반복
크기가 큰 경우
전신 항암화학요법 (carbiplatin, vincristine, etoposide) → 국소요법
안동맥 내 항암화학요법
유리체 파종 동반시 intravitreal chemo 병행이 효과적
치료 후 시력 회복의 가능성이 없는 경우 (group E): 안구적출술 (enucleation)시행
양측 종양
전통적 치료: 심한쪽 안구 적출, 반대쪽 방사선 치료
최근에는 항암치료를 통해 양안 모두 시력을 보존하려는 시도
[1] 홍창의 12e, pg. 1005-1006
[2] Nelson’s pediatrics, 22e, pg. 3149-3150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