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호흡기 질환

하부 호흡기 감염

기본 개념

급성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 임상양상

    • 바이러스 상기도 감염 후 시작

    • 콧물, 마른기침 → 가래섞인 기침이 1~3주간 지속

    • 폐렴과의 감별 필요

  • 치료: 대부분 저절로 호전, 항생제 사용이 병의 경과를 단축시키지 않음

급성 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 원인: 바이러스성, RSV (50%), parainfluenza virus, adenovirus 등

  • 발병 기전

    • 감염에 의한 기도 점막의 부종, 점액, 세포 탈락물의 축적 → 세기관지의 폐쇄로 인해 check valve와 같은 기도폐쇄가 발생 (폐의 과팽창 및 무기폐, V/Q mismatch 등 발생)

  • 임상양상

    •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 겨울 및 초봄에 유행

    • 맑은 콧물, 재채기, 미열 → 기침 악화, 호흡관란, 심한 보챔, 천명음 → 청색증, 호흡부전 진행

    • 진찰소견: 60~80회의 빈호흡, 폐의 과팽창을 동반한 호흡곤란, 산소포화도 저하, 코 벌렁임, 호흡보조근 사용 (늑간 및 늑간 하부 함몰). 아주 심한경우 호흡음 소실

  • 진단

    • 유행시기, 임상증상으로 진단. 필요시 PCR 시행

    • 천식과의 감별진단 중요 (나이, 이전 천명증상, 선행 감염 동반여부, 아토피/알레르기 질환 동반, 천식의 가족력 등)

  • 치료

    • 보존요법: 시원하고 습도를 높인 산소 + 적절한 수액요법

  • 예방: nirsevimab, palivizumab



[1] 홍창의 12e, pg. 754-760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