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소화기 질환 (위장관)

외과적 질환

기본 개념

급성 충수염

  • 임상양상

    • 초기에 배꼽 주변의 모호한 통증에서 점차 RLQ로 국한, 식욕부진, 오심, 구토

    • McBurney's point tenderness : ASIS와 배꼽을 이은 선 상 lat. 1/3 지점의 압통

  • 진단

    • 복부 초음파 우선, 연장아에서는 CT 고려 가능

    • CT 소견: Appendiceal diameter > 7mm (진단적), 충수돌기 비후 및 주변 fat stranding, appendicolith, 충수돌기 내부의 fluid

    • 초음파 소견: tubular wall thickening - Appendiceal diameter > 6mm (진단적), noncompressible (배를 눌렀을 때 충수돌기가 눌리지 않음), 도플러 혈류 증가


      normal appendix의 초음파 소견

  • 치료

    •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복강경 충수돌기절제술 (Appendectomy) 및 항생제



**감별진단

급성 장간막 림프절염 (acute mesenteric lymphadenitis)

  • 정의: 바이러스나 세균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장간막 림프절의 염증

  • 증상: RLQ pain, Td, rTd → 임상증상만으로는 충수염과 감별이 어렵고, 동반될 수 있음

  • 진단: 영상 검사상 5mm 이상의 단축 직경을 가진 림프절이 3개 이상 모여있는 경우 진단.
    ( + normal appendix 확인)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 (Congenital Duodenal Obstruction)

  • 임상양상: 출생 첫날의 담즙성 구토 (80%에서 폐쇄부위는 팽대부보다 하부)

  • 진단: 단순 복부 X선 사진에서 특징적인 Double bubble sign 확인

  • 치료: 십이지장-십이지장 문합술

장회전 이상 및 중장염전 (Malrotation and Midgut Volvulus)

Image
  • Intestinal malrotation: 태생기 중장(midgut)이 SMA을 축으로 하는 270° 반시계 회전 및 고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발생

  • midgut volvulus: malrotation의 합병증으로 좁아진 장간막 기저부를 축으로 중장 전체가 회전해 꼬이는 응급 질환

  • 임상 양상

    • 신생아기에 간헐적인 담즙성 구토(bilious vomiting)를 보이는 아급성 폐쇄의 반복 발작

    • 연장아: 간헐적/주기적 담즙 구토, 성장 부진(failure to thrive), 반복적인 심한 복부 통증, 흡수장애 및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midgut volvulus: 교액성 장폐쇄로 인한 담즙 구토, 토혈, 복부팽만, 압통, 혈변, 쇼크 등 발생

  • 진단 및 검사 소견

    • intestinal malrotation

      • 복부 X선: 위장과 십이지장에는 가스가 있고, 나머지 창자에는 가스가 없음

      • 표준 진단: 상부위장관 조영술(UGI series)로 십이지장과 공장의 위치 확인


        → 십이지장, 공장 연결부가 중심선의 우측에 존재, 소장은 복강 우측에, 대장은 좌측에 존재

        → corkscrew appearance: 특징적 소견

      • 초음파: SMA/SMV 위치 역전


        좌: 정상 소견 (V우측, A좌측)

        우: malrotation 환아 (A우측, V좌측)

    • midgut volvulus

      • whirlpool sign (영상검사 상 sma 주변으로 장간막이 소용돌이 치는 모습)

  • 치료

    • 무증상 malrotation도 수술적 교정이 원칙: Ladd 술식 (ladd band를 절제하고, 염전된 장을 반시계 방향으로 정복 후 소장을 오른쪽 복강에, 대장은 왼쪽 복강에 배치)

    • midgut volvulus: 2시간 이내 초응급 수술이 필요

    • 중장이 완전히 괴사한 경우: 우선 염전만 정복한 후 배를 닫고, 24시간 후 다시 개복수술 시행

메켈 게실

  • 정의: omphalomesenteric duct의 잔존물이 회장 하부에 존재하는 기형

  • 특징

    • 전체 인구의 2-3%에서 발견

    • 회맹판(ileocecal valve) 상방 40-50cm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음

    • 게실 내 이소성 위점막/췌장조직이 존재 → 위산분비로 인한 출혈

  • 임상양상: 1-2세의 유아, 대량의 무통성 직장출혈

  • 진단: 99mTc-pertechnetate scan (위와 메켈게실에 동시 uptake)

    Incremental value of SPECT/CT in detection of Meckel's diverticulum in a  10-year-old child | SpringerPlus | Full Text
  • 치료: 증상 동반시 segmental resection / diverticulectomy 시행

항문직장 기형 (Anorectal Malformation)

  • 특징

    • 발생 빈도: 출생아 4,000-5,000명당 1명.

    • VACTERL 증후군과 연관
      동반된 기형에 대한 평가도 필요, 고위형일수록 빈도 높음. 심장초음파, CT, MRI 등 시행

  • 임상양상

    • 출생 후 태변 배출 지연

    • 신체검사에서 항문이 보이지 않는 경우 혹은 회음부 누공등을 확인하면 진단할 수 있으나, type을 확인하기 위해서 24시간 이상 충분히 샅부위를 관찰해야함

      (회음부 태변, 소변이나 질에서 태변이 나오는지 확인)


  • 분류 (Pena Classification)

    • 저위 기형 (Pubococcygeal line 하방)

      • Cutaneous fistula, anovestibular fistula

      • 회음부 누공, bucket handle deformity, epithelial pearls, 회음부 태변이 확인


    • 중간위 기형 (pubococcygeal line 주변)

      • rectobulbar urethral fistula, rectovestibular, rectovaginal fistula

      • urethral fistual의 경우 요도에서 태변 배출 및 소변에서 편평상피세포확인

      • vaginal fistula의 경우 질에서 태변 배출

    • 고위 기형 (pubococcygeal line 상방)

      • rectal atresia & [rectoprostatic urethral fistula, rectovaginal fistula]

      • urethral fistula의 경우 요도에서 태변 배출 및 소변에서 편평상피세포확인

      • vaginal fistula의 경우 질에서 태변 배출

  • 치료

    • 저위기형: single stage operation으로 cutback anoplasty(남아), jumpback anoplasty(여아)를 시행 (colostomy를 형성하지 않음)

    • 중위기형 및 고위기형: 3 stage operation을 시행, 모든 수술은 만 1세 전에 마치는 것이 좋음

      1. 우회성 Colostomy 형성
      2. 3~6개월 후 Penna procedure (PSARP, 후방 시상 항문성형술) or Pull-through operation
      3. 3개월 후 colostomy repair


[1] 홍창의 12e, pg. 622-628

1개의 글


by

김까까까

·

2025년 9월 26일

새로고침해도 사진 안뜨는건 왜 그럴까요?

알려주세요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