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 대장 질환
장중첩증 (Intussusception)
정의: 장의 한 부분이 장의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는 질환으로, 영유아에서 가장 흔한 장폐색의 원인
특징
95%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이며, 대부분 회장-맹장(ileocecal) 부위에서 발생함.
생후 5~11개월에 호발하며, 60% 이상이 1세 미만, 80% 이상이 2세 미만에서 발생함.
바이러스 감염 후 비대해진 파이어판(Peyer's patch)이 선두점(lead point)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
연장아에게서 나타나는 경우 meckel’s diverticulum, polyp, cyst, lymphoma 등의 leadpoint가 될 수 있는 질환 의심
임상양상
TRIAD : 주기적인 복통(colicky pain), 구토, 혈변
복통: 갑자기 심하게 보채며 다리를 배 위로 끌어당기는 양상을 보이다가, 통증이 없는 시기에는 평온해 보임
과일잼 양상 변(Currant jelly stool): 발병 후 5~15시간 내에 나타날 수 있으며, 약 60%의 환자에서 관찰됨
우상복부에서 소시지 모양의 종괴(sausage-shaped mass)가 약 70%에서 촉진
진단
복부 초음파: 가장 유용한 진단 도구로, '과녁 모양(Target sign)' 또는 '도넛 모양(Doughnut sign)'이 특징적 소견
복부 엑스레이: crescent sign
공기 또는 바륨 관장: 진단과 동시에 치료 목적으로 시행될 수 있음. 장이 말려 들어간 부위가 '나선형 용수철(coil spring)' 모양으로 보이면서 filling defect 확인
치료 및 합병증
비수술적 정복술: 공기 또는 바륨 관장을 통해 80-95%에서 성공적으로 정복 가능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정복술 실패, 장 천공, 복막염, 쇼크 소견이 있을 경우, leading point 존재가 의심되는 다중 재발시 시행
합병증: 장 폐색, 교액(strangulation), 장 괴사(intestinal gangrene), 천공 등이 발생할 수 있음
**성인에서 발생하는 장중첩증의 경우 기질적 병변이 lead point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1차치료로 수술이 필요
선천성 거대결장증 (Congenital megacolon, Hirschsprung Disease)
정의 및 특징
장벽 내 신경절 세포(ganglion cell)가 선천적으로 없어 장의 이완이 불가능하여 기능적 장폐색을 유발하는 질환
신경절 세포의 부재는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근위부로 연속적으로 이어짐
임상양상
신생아기: 태변 배출 지연 (24-48시간 이내 배출 실패)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임.
복부 팽만, 담즙성 구토, 수유 곤란 등
영아기 및 소아기: 만성 변비, 성장 부진, 복부 팽만
진단
직장수지검사: 직장이 좁고 비어있음. 손가락을 넣었다 뺄때 대변과 가스가 갑자기 밀려나옴 (gush-out sign)
바륨 대장조영술: 신경절이 없는 좁아진 부위(narrow segment)와 그 위로 확장된 부위(dilated segment)가 관찰됨. (transition zone 확인)
항문 직장 압력 검사: 직장 확장 시 항문내괄약근 이완 반사(recto-anal inhibitory reflex, RAIR)가 소실된 소견을 보임. 영아에서는 검사하기 힘듦
직장 흡인 생검(Suction rectal biopsy): Gold standard, 점막하 조직에서 신경절 세포의 부재를 확인하고, AChE 염색 시 비대해진 신경 섬유를 관찰
치료
수술적 치료: 장염이나 합병증이 없으면 복강경 하 단일 단계 직장내 견인술 (single stage endorectal pull-through procedure) 시행
상장간막 동맥 증후군 (SMA syndrome)
정의: 십이지장 3rd portion이 대동맥과 SMA 사이에 눌려서 발생
원인
영양결핍 등으로 장간막 지방소실이 심해지면서 발생
복부압박, 과도한 신전, 급속한 체중감소 등
임상 양상
반복적 상복부 통증, 구역, 구토
바로 누울때 증상 악화
진단
상부 위장관 조영검사
영상 소견
치료
압박 감소, 영양재활, 수분 및 전해질 교정
초기 수분이나 음식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nasojejunal tube feeding 시행
위의 방법으로 교정이 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우회로 형성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소화기내과 > 염증성 장 질환 (IBD) 및 기타 결장염 단원 참고
정의: 크론병(Crohn Disease, CD)과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으로 나뉘며, 만성적인 장관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질환군
검사실 검사
혈액검사: CRP, ESR증가, Hb 감소, 백혈구증가, 알부민 감소
대변 lactoferrin: 장 염증 진단에 매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사
대변 calprotectin: 조직학적 염증반응을 반영, 재발 예측 평가에 용이
→ fecal lactoferrin 과 calprotectin은 IBD와 다른 질환 (IBS 등)의 감별에 유용
내시경, 영상검사: 병변의 침범 위치와 범위 평가
중증도 : 증상 (배변횟수, 혈변), 발열/빈맥/빈혈/ESR, 내시경 소견 등을 종합하여 평가
[크론병 (CD)]
정의: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를 침범할 수 있는 만성, 재발성, 전층성(transmural) 염증 질환
특징: 염증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가 번갈아 나타나는 '도약 병변(skip lesion)'이 특징적
임상양상: 복통, 설사, 혈변, 체중 감소, 항문 주위 병변(fistula, abscess)
내시경 소견: 종주형 궤양(longitudinal ulcer), 조약돌 모양(cobblestone appearance)
병리 소견: 비건락성 육아종(non-caseating granuloma)이 약 40%에서 발견됨. 전층성 염증
혈청학적 표지자: ASCA (Anti-Saccharomyces cerevisiae antibody) 양성률이 높음
치료
mild CD: 5-ASA (mesalamine), 경구 budesonide (회장/우측대장에 국한된 경우 효과적)
moderate-severe CD: prednisone으로 관해 유도
azathioprine: 스테로이드 불응성/의존적 환자에서 효과적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초기 백혈구 감소증 발생 위험 (치료 전 NUDT15유전자 검사 필요)
infliximab, adalimumab: TNF-a inhibitor, moderate-severe CD의 치료, 항문 누공의 치료에 효과적, 장 절제 후 재발 억제. (관해 유도 후 유지요법)
치료 전 반드시 흉부 방사선 검사 및 TST/IGRA 시행해서 활동성/잠복 결핵 여부 확인
수술적 치료: 침범 부위만 부분적으로 절제하며 특수한 경우에만 고려 (약물치료를 실패한 국소적 소장/대장 질환, 장천공, 장폐쇄를 동반한 비가역적 섬유화 협착, 난치성 출혈이 있는 경우)
항문 주위 누공: metronidazole, 배농 및 세톤술, 면역조절제/생물학적 제제 병행
[궤양성 대장염 (UC)]
정의: 주로 대장의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미만성 염증 질환임.
특징: 직장에서 시작하여 근위부로 연속적으로 염증이 이어짐.
임상양상: 혈변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 뒤무직(tenesmus), 점액변, 설사.
내시경 소견: 점막의 발적, 부종, 혈관상 소실, 쉽게 출혈되는 취약성(friability).
병리 소견: 선와 농양(crypt abscess), 점막층에 국한된 염증.
혈청학적 표지자: p-ANCA (perinuclear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양성률이 높음
치료
mild-moderate UC: mesalamine (경구/좌약), sulfasalazine, budesonide
moderate-severe UC
prednisone (관해 유도)
azathioprine, 6-mercaptopurine (관해 유지)
infilximab: 관해 유도, 유지에 효과적
수술적 치료
난치성 중증 UC, 치료에 의한 합병증 발생 (천공, 종양, 조절되지 않는 출혈), 전격 대장염이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전대장직장절제술 및 회장낭-항문문합술 (Proctocolectomy + ileal pouch anal anastomosis, IPAA)
수술 후 pouchitis: metronidazole or ciprofloxacin
호산구성 위장염
정의: 말초혈액 호산구 증가와 함께 위장관의 호산구가 침착되는 질환
특징: 주로 위와 소장에 침착
임상양상
점막 침범: 구토, 오심, 설사, 복통, 위장관 출혈, 흡수장애
근육층 침범: 침범된 근육 비후 (HPS와 유사한 증상)
장막침범: 복부팽만 및 호산구성 복수
영아 습진, 아토피 가족력 동반
진단: 내시경 (육안 소견 및 조직검사)
치료
식이요법 (항상 효과적이지는 않음)
스테로이드투여: 식이요법에 호전이 없거나 급성악화
생물학적 제제: anti-CCR3, anti-IL5, anti-IgE
IgE 비매개 음식 과민 위장관 질환
음식 단백 유발 알레르기 직결장염 (Food Protein-Induced Allergic Proctocolitis)
정의: 주로 모유 수유아에서 발생하는 비-IgE 매개성 질환
임상 양상: 생후 1주-3개월 내 건강해 보이는 영아에서 피가 실같이 묻어나오거나 점액 설사 동반, 60%는 모유 수유중
원인 식품: 모유를 통해 전달되는 우유, 계란, 콩 단백질이 주 원인임.
치료
모유 수유아: 수유모가 원인 식품을 제한
분유 수유아: 완전 단백 가수분해 우유 (이후 증상이 지속되면 아미노산 기초 분유)
음식 단백 유발 소장결장염 증후군 (Food Protein-Induced Enterocolitis Syndrome, FPIES)
정의: 특정 음식 섭취 후 1~4시간 뒤에 반복적인 구토가 발생하는 비-IgE 매개성 질환
임상양상
심한 구토, 창백, 기면, 저혈압, 저체온 등 쇼크 유사 증상
24시간 이내 물설사 또는 혈성설사 동반 가능
섭취 후 증상 발생이 지연되어 나타나고 피부와 호흡기 증상이 없음 (아나필락시스와의 구별)
만성형: 간헐적 구토, 만성 설사, 흡수장애, 성장 부진 등
원인 식품
생후 6개월 이전: 우유, 대두
후기 영아, 유아: 쌀, 귀리, 밀, 달걀, 땅콩, 고기, 생선 등
진단: 임상 증상과 음식 유발 검사를 통해 진단함.
치료: 급성기 수액 공급 등 보존적 치료, 원인 식품 회피가 유일한 치료법
[1] 홍창의 12e, pg. 590-605
과오종 종양 (Hamartomatous tumor)
정의: 정상기관에서 발견되지만 체계화되지 않은 조직으로 구성된 양성 종양. 연소폴립, 염증 폴립이 대표적
특징: 2-5세 사이 발병, 위장관 어느 부위나 발생 가능
임상양상
출혈: 배변 후 통증 없는 선홍색 혈변 (양이 적고 간헐적임)
폴립이 커지면서 궤양이 발생하면서 출혈, 폴립의 자가절단이 발생하면서 출혈
진단 및 치료
대장 내시경검사 및 snare cautery로 폴립제거술 시행
[관련 증후군]
연소 폴립 증후군 (Juvenile polyposis syndrome)
정의: 과오종성 용종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유전성 질환
호발연령: 5-7세 소아
유전적 요인: 상염색체 우성 유전, 가족력 20-50% 동반
임상양상
다발성 용종, 무통성 위장관 출혈, 복통
영아기에는 흡수장애, 저단백혈증, 빈혈, 성장부전, intusussception 발생 가능
진단: 일생동안 결장에서 5개이상의 연소성 용종 발견 or 결장 밖 폴립 발견 or 연소 폴립 증후군 가족력이 있으면서 폴립이 발견되는 경우
치료: 정기적 추적관찰 (상부, 하부 위장관 내시경 및 상부 위장관 조영검사)
→ 폴립 제거술/생검 시 dysplasia or 악성 변화 발견: total colectomy 시행
Peutz-Jegher 증후군
정의: 과오종성 용종과 점막피부 색소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성 질환
유전적 요인: 상염색체 우성 유전
임상양상
위장관 용종 (주로 소장), 입술·구강·손가락 색소침착
출혈, 장폐쇄, 반복적인 장중첩증
진단: 자기공명 장조영술(MR enterography), 내시경 검사
합병증: 이형성증, 악성화 위험
치료
정기적 감시 (상부, 대장 내시경, 자기공명 소장조영술, 캡슐내시경 등)
용종 절제술 (1.5cm 이상의 폴립은 제거)
18세 이후 유방, 부인과, 고환암 선별검사 시행
Adenomatous tumors
가족성 폴립증 증후군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정의: APC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성 대장 용종증
유전적 요인: 상염색체 우성 유전, APC 유전자 돌연변이 (30%는 자발적 돌연변이)
임상양상
16세경 증상 발현 (직장출혈, 복통, 설사)
성인기에 수백개의 샘종 발생, 40대까지 결장암 100% 발생
동반질환: 간모세포종, 선천성 망막색소상피비대, 위/십이지장 종양, 장외종양 (데스모이드 종양, 표피낭종, 골종, 섬유종, 지방종)
치료
10-12세부터 매년 대장내시경 검사 + 상부위장관 내시경 시행 (십이지장 유두부까지 확인)
전직장대장절제 및 회장낭항문문합술 (total colectomy + IPAA): 폴립이 20-30개 이상 발생시 또는 10대 중반에 시행
기타 위장관 종양
림프종
소아에서 가장 흔한 위장관암
non-Hodgkin lymphoma 소아 환자의 약 30%에서 복부 종양 동반
위장관 어느 부위든 발생 가능 (원위부 소장, IC valve 주위 가장 흔함)
증상: 복통, 구토, 장폐쇄, 출혈, 종괴 촉지
3세 이상의 소아에서 intusussception 발생시 의심
치료: 수술적절제 및 항암화학요법
Carcinoid tumor
enterochromaffin cell 에서 기원한 신경 내분비 종양
소아의 경우 충수에서 전형적으로 발견
간에 전이된 경우 carcinoid syndrome 유발 가능 (복통, 설사, 홍조, 기관지수축, 우심부전)
치료
<1cm : 충수절제술로 치료
>2cm: right hemicolectomy 필요
octreotide: carcinoid syndrome 증상 완화
위와 장의 이물
위에 있는 이물은 95%가 대변으로 배출되는데 수일~1달까지 걸릴 수 있음
1개의 자석은 위험하지 않지만 2개 이상의 자석은 폐쇄, 천공, 샛길 유발 → 응급내시경 제거
날카로운 이물, 길이가 긴 이물 (큰 어린이-5cm, 영유아 3cm) → 내시경적 제거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 응급 수술
[1] 홍창의 12e, pg. 590-622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