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소화기 질환 (위장관)

위장질환

기본 개념

비후성 유문 협착증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 정의: 유문 근육의 비후로 인해 위 내용물 배출이 폐쇄되는 질환임.

  • 역학: 1,000명당 약 3명꼴로 발생

  • 임상양상

    • 생후 3주~1개월 경 구토 시작

    • 수유 후 바로 나타나는 사출성 비담즙성 구토 (분수토)

    • 토한 뒤 다시 먹으려고 함

    • 계속되는 구토로 인한 수분, 위산, 염소소실 → hypochloremic metabolic alkalosis 유발

  • 진단

    • 신체진찰(가장중요): 우측 늑골연 하부 2-3cm 크기의 도토리 모양의 종괴 촉진

    • 먹인 후 복부에서 위의 연동운동 확인 (Lt→Rt)

    • 초음파 검사: 날문부 근육충 두께 4mm 이상 or 날문부 길이 15mm 이상

    • 상부위장관 조영술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illustrations showing USG measurements and  barium study signs. Save to refer them before you see your next case. #art  #rad #radiology #procreate #ipad #neet #neetpg #anatomy #usg #barium  #radiotech #
      • String sign (선상 조영 음영): 좁아진 유문관을 조영제가 가늘게 통과하는 모습

      • Shoulder sign (어깨 징후): 비후된 유문 근육이 antrum 쪽으로 돌출된 모습.

      • Double track sign (이중 선로 징후): 유문 점막 주름 사이로 조영제가 들어가 두 줄로 보이는 모습

  • 치료

    • 탈수 및 전해질 교정 우선: 0.45~0.9% NS + 5~10% DW + KCL

    • pyloromyotomy

    • 보호자가 원하거나 수술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PO/IV atropine

Helicobacter pylori 위염

  • 진단 및 검사

    • 내시경 생검 진단 (표준 진단법)

      • 신속 요소분해효소 검사 (Rapid urease test, CLO test)

      • 조직 검사: Warthin-Starry, Giemsa 염색 등으로 균을 직접 확인.

    • 비침습적 검사

      • ¹³C-요소호기검사 (¹³C-Urea Breath Test, UBT): 정확도가 높아 치료 후 박멸 여부 판정에 유용함

      • 대변 항원 검사 (H. pylori stool antigen test, HpSA):

      • 혈청 항체 검사 (IgG serology)

  • 치료

    • 소아에서 균 검출시 무증상이어도 박멸 치료 권고

    • 3제 요법: PPI + clarithromycin + amoxicillin(또는 metronidazole)

    • 항생제 내성으로 박멸 실패한 경우 순차치료 또는 구제치료 시행

      **순차치료: PPI + amoxicillin 을 첫 5일간 투여 → 나머지 5일간 PPI+clarithromycin+metronidazole 병합투여


  • 관련 질환

    • 결절성 위염 (Nodular gastritis): H. pylori 감염 소아의 약 50%에서 관찰

    •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MALT 림프종 등과 관련

위 십이지장 궤양 (Gastroduodenal Ulcer)

  • 원인

    • H. pylori 감염: 가장 흔한 원인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s)

    • 스트레스: 중증 질환 상태(Cushing 궤양, Curling 궤양)

    • 기타: 바이러스 감염(CMV, EBV, HSV), Zollinger-Ellison 증후군 등

  • 진단: 상부위장관내시경 및 조직 생검

  • 치료

    • 급성 출혈: 초기 소생술, 안정화 되면 내시경적 지혈술, IV PPI

    • 궤양치료: PPI, H2 receptor antagonist + 위점막보호제 (sucralfate, magnesium)


[1] 홍창의 12e, pg. 584-590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