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질환
식도 폐쇄 및 기관식도루 (Esophageal Atresia and Tracheoesophageal Fistula)
정의: 식도가 중간에 끊어져 위와 연결되지 않거나(폐쇄), 식도와 기관 사이에 비정상적인 연결(누공)이 있는 선천성 기형
분류 (Gross 분류)
Type C (87%): 근위부 식도 폐쇄 + 원위부 기관식도루가 가장 흔한 형태임.
Type A (8%): 누공이 없는 순수 식도 폐쇄.
Type E (H-type, 4%): 식도 폐쇄 없이 기관식도루만 존재
임상 양상
산모의 양수과다증 병력.
출생 후 침을 삼키지 못하고 계속 흘림, 구강 및 비강의 분비물 과다.
수유 시 기침, 청색증, 호흡곤란 발생.
위 내용물이 누공을 통해 기도로 역류하여 흡인성 폐렴 유발
진단
특징적인 병력과 증상
코를 통해 위관(nasogastric tube) 삽입 시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꼬이는 것을 X-ray로 확인.
흉부 및 복부 X-ray에서 위장 내 공기 음영 확인 (원위부 누공 존재 시사)
치료
수술적 교정이 원칙
수술 전 기도 유지 (엎드려 눕히기, 식도 자주 흡인), 폐렴에 대한 예방적 황생제
이완불능증 (Achalasia)
정의: 하부식도괄약근(LES)이 이완되지 않고 식도 체부의 연동운동이 소실되는 질환
원인: 식도 근육층 신경총(Auerbach's plexus)의 신경절 세포 소실이 원인으로 추정됨. Chagas 병에서도 유사한 소견이 나타날 수 있음.
임상 양상
고형식 및 유동식 모두에 대한 삼킴곤란, 음식물 역류, 체중 감소, 가슴 통증
평균 발병 연령 8.8세
진단
바륨 식도조영술: 식도 체부의 확장과 하부의 '새 부리 모양(bird's beak)' 협착 소견
식도내시경: 확장된 식도, 송기 시 하부 식도 괄약근이 열리지 않음 (hypertrophic LES)
식도내압검사: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검사. LES 이완 부전, 식도 연동운동 소실 확인
치료
약물 치료: Nifedipine, Sildenafil 등 (효과 제한적), 보툴리눔 독소(일부에서 1년간 증상 완화)
시술: 풍선확장술(Pneumatic dilatation),
수술: 식도근육절개술(Heller myotomy), 경구내시경근절개술(POEM)
→ 풍선확장술은 가장 흔하게 시행하는 초기 치료이고, Heller myotomy와 비교했을 때 5 year outcome이 유사
→ Type I, II achalasia의 경우 세가지 치료 옵션 모두 효과적이나, Type III achalasia의 경우 POEM을 우선적으로 고려
위식도 역류 (Gastroesophageal Reflux, GER)
정의: 위 내용물이 식도로 불수의적으로 통과하는 것
기전: 일과성 하부식도괄약근 이완(TLESR)이 가장 중요한 기전
특징
영아 역류: 생후 1-6개월 사이 매우 흔한 생리적 역류로 대부분 힘없이 일어나는 역류이며 구토가 동반되거나 동반될 수 있음. 체중 증가에 별다른 지장이 없고 건강함. (체중증가에 지장이 있다면 위식도역류질환의 가능성 고려)
임상 양상
역류(Regurgitation)
가슴쓰림(Heartburn)
Sandifer’s syndrome: 근긴장 이상처럼 목을 뒤로 젖히는 자세
비전형적 증상: 만성 기침, 쉰 목소리, 후두염, 치아 부식, 천식 악화.
진단: 전형적인 증상으로 진단 가능. 24시간 식도 pH 검사, 내시경 검사 등 시행.
치료
영아 역류: 보호자 안심 및 교육 (수유량 조절, 엎드려 누운 자세나 세운자세, 분유 점도 조절)
생활 습관 개선: 과식 피하기, 식후 바로 눕지 않기, 상체 올리고 자기.
약물 치료: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 H2 수용체 길항제 (H2RA)
**K-CAB은 소아청소년에서 사용의 승인이 없으며, 안전성,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어있지 않음
호산구성 식도염 (Eosinophilic Esophagitis, EoE)
정의: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식도에 호산구가 침윤하여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
기전: Th2 세포 매개 면역반응 (IL-5, IL-13, eotaxin-3 등 관련)
임상 양상: 삼킴곤란, 음식 걸림, 가슴 통증, 구토. 영아에서는 수유 곤란, 성장 부진
진단 및 검사
내시경 소견: 부종(Edema), 고리(Rings), 삼출물(Exudates), 세로 주름(Furrows), 협착(Stricture)
조직 검사: 식도 상피 내 호산구 침윤 (≥15/HPF) 확인이 필수적.
치료
PPI (1st line therapy): 30-50%의 환자에서 치료 효과적 (PPI-REE)
Swallowed topical glucocorticoids: 흡입용 스테로이드를 삼켜서 복용, PPI 치료에도 호산구성 식도염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스테로이드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
(전신 스테로이드는 권고되지 않음)
식이 요법: 고항원성 음식을 제거한 식이 시도
내시경 풍선 확장술: 심한 협착이 있는 경우
감염성 식도염 (Infectious Esophagitis)
원인: 면역저하자에서 주로 발생. Candida, HSV, CMV가 흔한 원인균임.
칸디다 식도염
임상 양상: 연하통, 삼킴곤란.
내시경 소견: 백색의 치즈 같은 삼출물, 반점(plaque)
치료: Fluconazole, Voriconazole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식도염
임상 양상: 갑작스러운 연하통, 흉통, 발열, 구토, 토혈, 빈혈
내시경 소견: 작은 수포, 경계가 명확한 화산 모양의 궤양.
치료: Acyclovir, Valacyclovir.
거대세포 바이러스(CMV) 식도염
임상 양상: 면역저하자(장기이식 등)에서 발생.
내시경 소견: 경계가 불분명하고 큰 단일 궤양, 융기된 margin없음 (large serpiginous ulcer)
치료: Ganciclovir, Foscarnet
부식 식도염 (Corrosive esophagitis)
정의: 부식물질을 삼켜서 발생하는 식도 손상으로, 식도염, 괴사, 천공, 협착 등 발생할 수 있음
증상
구토, 침흘림, 마시기 거부, 구강화상, 연하장애, 호흡곤란, 복통, 토혈, 그렁거림
처치
초기 처치: 물이나 우유를 먹여 희석. 인위적 구토유발, L tube 삽입 및 위세척은 금기
12-48시간 이내에 응급 상부위장관 내시경 시행
협착이 발생하지 않는지 지속적 관찰, 발생한 경우 조기 확장술 시행
약제 유발 식도염
원인
취침 직전에 물없이 또는 소량의 물과 함께 약을 복용하는 경우
원인 약물: tetracycline, doxycycline, penicillin, rifampin, clindamycin, NSAID, alendronate
진단: 병력 + 내시경검사 (중부 식도에 국한된 점막 손상, kissing ulcer)
치료: 대증치료 (sucralfate, 제산제, 국소 마취제, 유동식 섭취)
식도 이물 (Esophageal Foreign Body)
개요: 소아에서 흔하며, 동전, 장난감, 건전지 등이 주된 물질
임상 양상
사래, 구역,과도한 침흘림, 삼킴곤란, 통증, 기침.
날카로운 이물은 식도 천공, 누공 등 심각한 합병증 유발 가능
수은 건전지는 부식성 손상, 전기화상, 압력손상 유발. 4시간 이내 식도 전층의 화상 유발 가능
진단: 병력 청취 및 X-ray
수은 건전지는 X-ray에서 이중테두리(double-halo) 징후를 보임
치료: 내시경 제거가 원칙
수은 건전지: 금식 여부와 관계 없이 2시간 이내에 응급 내시경을 통한 제거
날카로운 물체 또는 호흡기증상 있음: 12시간 이내 제거
동전, 뭉툭한 물체: 금식시간을 확보한 후 24시간 안에 제거
식도 정맥류 (Esophageal Varices)
정의: 간경화 등으로 문맥압이 항진되어 식도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된 상태.
기전: 문맥압이 10-12 mmHg 이상으로 상승 시 발생.
임상 양상: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파열 시 대량의 토혈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치료
활력징후 안정화: 수액소생, 수혈, 응고장애 교정
혈관수축제(Vasopressin, Octreotide),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EVL)
약제 및 내시경 치료에 효과가 없는 경우 TIPS시행
이차 예방: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반복적인 내시경 결찰술
[1] 홍창의 12e, pg. 574-584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