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감염질환

기생충 감염

기본 개념

요충증 (Enterobiasis)

  • 임상양상

    •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밤에 심해지는 항문 주위 및 회음부의 소양증

    • 소양증으로 인한 긁음으로 피부 손상 및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

    • 수면 장애, 신경 과민, 야뇨증 등을 유발

  • 진단 및 검사

    • 항문 주위 도말법(스카치테이프법)을 통해 충란을 확인하여 진단

    • 검사는 아침에 일어나서 배변이나 목욕 전에 시행하는 것이 가장 정확

  • 치료

    • Albendazole, Mebendazole, Pyrantel pamoate 등의 구충제를 사용함.

    • 재감염이 흔하므로 2주 후 추가 투약을 권장함.

    •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전체를 동시에 치료하는 것이 재발 방지에 중요

말라리아 (Malaria)

  • 원인

    • 주요 원충 종류: 삼일열원충(P. vivax), 열대열원충(P. falciparum) 등

    • 전파: anopheles 모기에 의해 전파

  • 임상양상

    • 오한, 고열, 발한이 3-4일 간격으로 반복되는 특징적인 발열 양상

    • 두통, 근육통, 피로감, 비장 비대, 황달 등이 동반

  • 진단 및 검사

    • 말초혈액 도말 검사(Giemsa 염색): 표준 진단법

      • thick smear: 말라리아 여부를 판별 (screening), 종의 구분은 어려움

      • thin smear: RBC 를 개별적으로 관찰하여 종을 감별

        * banana-shaped gametocyte : P. falciparum을 시사

    • 신속항원검사

    • 혈액검사: 용혈 빈혈, AST/ALT 증가, bilirubin 증가

  • 치료
    : 성인과 동일 약제, 용량 조절해서 사용, 해열 후 투여하는 것이 원칙

    • 삼일열원충: Chloroquine (혈중 원충 제거) + Primaquine (간의 휴면체 제거) 병용 요법

      **1세이하 영아 및 G6PD 결핍환자에서는 프리마퀸 투여 금기

    • 열대열원충 : artesunate 기반 병합치료


  • 예방적 화학요법 (말라리아 유행지역 여행시, 약제 내성 여부를 고려해서 선택)

    : 성인과 동일 약제, 용량 조절해서 사용

    • 클로로퀸: 여행전 1-2주~여행 후 4주까지 매주 1회 복용

    • 메플로퀸: 여행전 1-2주~여행 후 4주까지 매주 1회 복용

    •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여행전 1-2일~여행 후 7일까지 매일 복용

    • 독시사이클린: 여행전 1-2일~여행 후 4주까지 매일 복용

톡소플라스마증 (Toxoplasmosis)

  • 원인

    • Toxoplasma gondii 원충 감염

    • 주요 감염 경로는 덜 익힌 육류 섭취, 오염된 흙이나 고양이 배설물 접촉 등

  • 임상양상

    • 후천성 톡소플라스마증: 면역이 정상인 경우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림프절염, 반구진성 발진 등 경미한 증상을 보임. 면역저하자(AIDS, 장기이식 환자)에서는 뇌염, 맥락망막염, 폐렴 등 심각한 기회감염을 일으킴.

    • 선천성 톡소플라스마증: 임신 중 산모가 초감염될 경우 태아에게 수직 감염됨.

      • 전형적인 4대 징후: 맥락망막염(Retinochoroiditis), 뇌수종(Hydrocephalus), 뇌내 석회화(Cerebral calcification), 경련.

      • 정신운동 발달 지연, 시력 및 청력 장애 등 장기적인 후유증을 남길 수 있음

  • 진단 및 검사

    • 혈청학적 검사(ELISA, 간접형광항체법 등)를 통해 특이 IgG, IgM 항체를 검출

    • 선천성 감염 진단을 위해 양수나 신생아 혈액에서 PCR 검사를 시행할 수 있음

  • 치료

    • 면역 정상인의 경증 감염은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많음

    • 증상이 있거나 면역저하자, 임산부, 신생아는 치료가 필요

      • 표준 치료: Pyrimethamine - Sulfadiazine+ Leucovorin(엽산) 병용 요법

        ** 임신 첫 3개월은 pyrimethamine 투여 금기

      • 임신 중 감염 시 태아 전파를 막기 위해 Spiramycin을 사용

머릿니 감염증 (Pediculosis Capitis)

  • 임상양상

    • 두피의 심한 가려움증이 주된 증상이며, 특히 귀 뒤나 목덜미 부분에 심함

    • 주로 머리 대 머리 직접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빗, 모자 등을 통한 전파는 드묾

  • 진단 및 검사

    • 머리카락에서 살아있는 성충이나 부화 가능한 서캐(두피에서 0.6cm 이내)를 발견하여 진단

  • 치료: 국소용 살충제 (약용샴푸, 로션 등) + 물리적 제거

    • Permethrin (1%) TOC



[1] 홍창의 12e, pg. 532-538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