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
설사
정의: 전 세계적으로 흔한 질환으로, 장 운동 및 분비 기전의 이상으로 발생
기전 및 특징
분비: 수양성, stool ion gap < 100mOsm/kg, 금식에도 설사 지속
(ex. 콜레라, ETEC, VIPoma, neuroblastoma)삼투: 수양성, 산성, 환원당 (+), stool ion gap > 100mOsm/kg, 금식하면 설사가 멈춤, 호기수소증가
(ex. 젖당 분해 효소 결핍, 포도당-갈락토스 흡수장애, 락툴로스, 변비약 과다복용)
장운동 증가: 무르거나 정상 변
(ex. IBS, hyperthyroidism, dumping syndrome)
장운동 감소: 무르거나 정상 변, 세균의 과증식과 연관
(ex. 거짓 장폐쇄, blind loo)
표면 감소: 기능면적감소에 의해 발생, 수양성 설사
(ex. short bowel syndrome, rotavirus infection)
점막 침범: stool blood (+), WBC (+)
(ex. 살모넬라, 세균 이질균 감염, 아메바 감염, EHEC, Yersinia, campylobacter)
설사의 분류
급성설사: 14일 이내 호전
지속 설사: 급성 설사가 14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만성설사: 4주 이상 지속
소아 급성설사
원인
흔한 원인: 위장관염(바이러스>세균), 식중독, 항생제사용, 과식
드문 원인: toxic megacolon, HUS, intussusception, hyperthyroidism, 급성 충수염 등
대변 검사
환원 당 (+): 탄수화물 흡수 장애 시사
대변 내 지방: Sudan 3 염색으로 관찰, 흡수장애 감별진단에 이용
ion gap: 분비설사 (<100mOsm/kg), 삼투설사 (>100mOsm/kg) 감별
** ion gap= Stool osmolarity - {(Stool Na + Stool K) x 2}
WBC: 5/HPF 이상 보이는 경우 대장점막의 세균성 침윤을 시사
대변 배양: 백혈구가 보이는 혈성설사, 용혈요독증후군이 의심, 면역결핍질환 소아의 설사에서는 초기에 실시
치료
경구수액 요법: 경구 섭취가 가능한 경증~중등증 탈수 소아
정맥 수액치료: 쇼크상태, 중증 탈수, 경구 수액을 먹지 못하는 경우 (장마비, 창자겹침증, 탄수화물 불내증, 구토/설사량이 많을때) , 6개월 미만, 조산아, 만성질환, 고열, 혈성 설사, 지속적 구토, 소변량 감소, 의식저하가 있는 경우
대부분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음 (세균장염이나 기생충 감염시는 필요, HUS 가 의심되는 경우엔 항생제 사용시 악화)
지속적인 경장영양이 설사로부터 회복하는데 도움이 됨
[1] 홍창의 12e. pg. 560-563
소아 만성 설사
원인 및 특징
장관감염
C.difficile, EAEC, virus infection
Post enteritis diarrhea syndrome: 감염에 의한 급성 장염 이후 설사가 지속
소장 세균 과증식 (SIBO)
면역학적/염증성
우유단백 알레르기, 호산구성 위장염
염증성 장질환
면역결핍질환, 자가면역 장병증, celiac disease
탄수화물 흡수장애
Lactase deficiency/intolerance: 선천성 결핍 또는 급성 장염 이후 이차성으로 발생. 호기 내 수소검사 양성, 젖당제거식이로 증상 호전
간담도계질환, 담즙산 흡수장애, 췌장 기능부전, 단백 소실 장증
장운동 이상: Hirschsprung disease, 만성 거짓 장폐쇄, 갑상샘기능항진증, scleroderma
짧은 창자 증후군: NEC, 크론병 등의 질환으로 광범위한 소장절제를 시행한 경우
IC valve가 보존되고 소장이 15cm이상 남아있는 경우, 또는 IC valve가 없고 소장이 20cm 이상 남아있는 경우 TPN 없이 생활할 수 있는 가능성 높음
초기 치료: 대량 수액, 전해질 교정, 중심정맥 TPN
수주 후: 중심정맥 PN을 유지하면서 장관영양을 점진적으로 도입
수술 후 5년 이내에 60%에서 PN을 끊을 수 있는 enteral autonomy 성취
intestinal failure 를 보이는 경우 GLP-2 (teduglutide) 치료 고려
만성 비특이 설사: 4세 미만에서의 기능성 설사 (Toddler’s diarrhea)와 5세 이상의 IBS 포함
정의: 통증 없이 하루 4회 이상의 무른 변이 1주에 4회 이상의 빈도로 존재, 야간설사 동반하지 않음, 성장장애 없음
원인: 과다한 수분 섭취, 흡수되지 않는 탄수화물 (사과, 배, 자두 등의 과일주스)
치료: 과당과 수분섭취 감소, 지방과 섬유질 섭취 증가.
신경 내분비질환
[1] 홍창의 12e. pg. 605-614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