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감염질환

그람 음성균 감염

기본 개념

그람음성균 개요

  • H. influenza: gram (-), coccobacilli, facultative anaerobe

  • N. meningitidis: gram (-), diplococci

  • N. gonorrhea: gram (-), diplococci

  • B. Pertussis: gram (-), coccobacilli

  • Salmonella: gram (-) bacilli, motile

  • Shigella: gram (-) bacilli

  • Cholera: gram (-), curved

  • Campylobacter: gram (-) bacilli, curved

  • Yersinia: gram (-), coccobacilli

  • Pseudomonas: gram (-) bacilli

  • E.coli: gram (-) bacilli

  • Legionella: gram (-) bacilli

H. influenza 감염

  • 비피막형: 중이염, 부비동염, 만성 기관지염 등

  • 피막형: b형 인플루엔자균 (m/c), 중증감염은 2개월에서 59개월 사이의 소아에서 흔히 발병

  • 질환

    • 수막염: 신경학적 후유증 발생 가능

    • 연조직염: 두경부, 뺨, 안구 주변

    • 급성 후두개염: 응급질환 (갑작스런 호흡폐쇄 가능)

    • 폐렴

    • 심막염

  • 치료

    • 초기 치료제: ceftriaxone

    • ampicillin 감수성: ampicillin, amoxicillin

    • ampicillin내성: 3세대 cephalosporin, amoxicillin-clavulanate

    • 수막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 직전/동시에 dexamethasone 투여시 청각장애 빈도 감소

  • 예방

    • 백신접종

    • 중증 Hib질환 환자 접촉자에 대한 rifampin 예방요법

      • 다음 모든 상황에서 모든 가족 내 접촉자 (성인을 포함한 전 가족이 rifampicin 4일간 투여)

        • 4세 미만의 Hib 백신 미접종 또는 불완전 접종 소아가 1명이라도 있는 가정

        • 기초접종을 받지 않은 12개월 미만의 소아가 있는 가정

        • Hib예방접종력에 관계없이 면역기능이 억제된 소아가 있는 가정

      • 주간보육시설에서 60일 이내의 2명 이상 Hib침습질환이 발생했을 때 시설 내 접족자

Meningococcal infection

  • 질환

    • 잠재 균혈증

    • 급성 수막알균혈증

      • 인두염, 발열, 근육통 등 → 저혈압, DIC, 산증, 부신출혈, 심부전, 신부전, 혼수 등

      • 점상출혈 또는 자반 피부 병변이 특징적

    • 뇌수막염

    • 폐렴, 심내막염, 화농 심낭염, 화농 관절염, 안구염, 골수염 등

  • 치료

    • 쇼크의 치료, 뇌압 저하 치료를 우선순위로

    • 경험적 항균제: cefotaxime / ceftriaxone

    • 균 동정시: penicillin G, ampicillin, cefotaxime / ceftriaxone

  • 예방

    • 백신: 고위험군 대상으로 백신 접종 (MCV4 or MenB)

      **보체결핍질환, 무비증, HIV감염증, 직업적 노출, 유행지역 여행/거주, 군대신병, 기숙사생활을 하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신입생 등

    • 감염 환자와 접촉한 경우 (증상 발생 7일전~항생제치료 후 24시간까지의 노출)
      : 항생제 예방요법 (rifampicin, ceftriaxone or ciprofloxacin)

Gonococcal infection

  • 질환

    • 무증상 임질

    • 생식기 임질: 배뇨통, 요도의 화농분비물 등 (부고환염, 전립샘염, 골반염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

    • 임균 안염: 한쪽/양쪽 눈 침범, 생후 1-4일에 시작

    • 파종 임균 감염: 모든 임균 감염의 1-3%에서 발생, 감염 후 7-30일 후 시작.

      • 초기 증상: 열을 동반한 다발관절통

      • 건초염 피부염 증후군: 발열, 피부병변(적색 반점, 구진, 수포, 농포, 출혈반점), 다발 관절통

      • 화농 관절염 증후군: 무릎을 침범하는 단관절염 발생

      • 신생아: 다관절 화농 관절염

  • 진단

    • 분비물 gram stain: WBC 내 그람음성 쌍알균 관찰

    • PCR, culture

  • 치료

    • 요도염, 외음질염: ceftriaxone IM (소아), ceftriaxone + azithromycin/doxycline (청소년)

    • 신생아 안염: 입원하여 파종감염 있는지 반드시 평가, 없다면 ceftriazone IM + 생리식염수 안구세척

    • 파종 임균 감염: ceftriaxone (소아), ceftriaxone/cefotaxome + azithromycin/doxycycline (청소년)

  • 예방

    • 신생아 분만 직후: 1% 질산은용액 또는 0.5% erythromycin 또는 1% tetracycline 안연고

백일해 (Pertussis, whooping cough)

  • 특징

    • 호흡기감염, 감염력 강함, 직접접촉/비말전파

  • 증상

    • 잠복기(평균 7일)6-8주에 걸쳐 3단계의 임상 경과

    • 카타르기 (catarrhal stage) : 1-2주 지속되는 가벼운 상기도염 증상 - 콧물, 결막염, 경미한 기침, 낮은 발열 (가장 전염력 강함)

    • 경해기 (Spasmodic/paroxysmal stage): 특징적인 발작기침 (짧은 날숨기침 연발, 끝에 길게 숨을 들이쉴 때 whoop 소리를 들을 수 있음), 얼굴이 빨개지고 눈 충혈, 기침 끝에 구토 동반

    • 회복기 (convalescent stage): 기침, 구토 등이 점차 감소하며 1-2주 지속

  • 진단

    • 접촉한 병력

    • 특징적인 기침양상: whooping, 발작, 구토등의 증상이 동반된 기침이 7-14일 이상 지속

    • 검사소견: 백혈구증가 (15,000-100,000) 절대림프구 증가 소견, CXR perihilar infiltrate

    • 균 배양 검사(코인두 검체), PCR 등

  • 치료

    • 3개월 미만 영아, 심폐질환/신경근육질환: 입원치료를 원칙으로 함

    • 환자 격리 (항생제 치료 시작 후 5일간)

    • 항생제치료: erythromycin, (4주 미만의 신생아의 경우 HPS위험증가, azithromycin 권장)

  • 예방

    • 백신접종

    • 가족 내 환자와 밀접한 접촉: 연령, 예방접종력, 증상 여부와 관계없이 항생제 투여


살모넬라 감염

  • 비장티푸스 살모넬라증 (S. enteritis, S. typhimurium)

    • 위장관염, 4세 미만 호발, 식품매개성 (감염된 가금, 육류제품)

    • 임상양상: 6-72시간의 잠복기를 지나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구역, 구토, 위장관 경련, 복통, 물설사/점액/혈액 설사, 발열 등

    • 합병증: 급성 탈수, 골수염(Sickle cell ds), 반응성 관절염 (HLA B27+), 독성거대결장(IBD)

    • 진단: 대변배양검사

    • 치료

      • 탈수, 전해질 교정 및 대증치료 (지사제 사용 금지)

      • 항생제는 균 배설 기간을 연장시키고 정상집락균총을 억제함 → 3개월이하의 영아 및 면역약화가 있는 고위험군 환자에서만 사용 (ceftriaxone, cefotaxime, ampicillin)

  • 장티푸스 (Typhoid fever, S. typhi)

    • 원인: 오염된 물, 음식

    • 임상양상

      • 잠복기: 7-14일

      • 초기 증상: 미열, 약한 기침, 복통, 설사 → 변비, 코피, 기침, 고열

      • 발병 2주째: 간비장비대, 복부 확장, 하흉부/복부의 1-5mm크기의 피부발진 (rose spot)

      • 성인에서 보이는 relative bradycardia, 신경계증상, 위장관 출혈은 소아에서 드묾

    • 진단: 혈액, 소변, 배양검사, serology, PCR

    • 치료: 3세대 cephalosporin, quinolone, azithromycin (quinolone 내성의 경우)

이질(Shigellosis)

  • 특징: 2-3세 호발, 오염된 음식/식수를 통해 전파, 적은 균으로도 이질을 일으킬 수 있음

  • 임상양상

    • 12시간-수일의 잠복기 → 심한 복통, 고열, 구토, 다량의 물설사 → 점액 및 혈액 설사

    • 신경계 증상 (40%): 경련, 두통, 기면, 경부강직 등이 설사 전후로 발생

    •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이질/반복설사로 이행

  • 진단

    • 대변내 백혈구, 혈변, 말초혈액 내 심한 Left shift (band neutrophil 증가)

    • 대변 배양, 혈액배양, PCR

  • 치료

    • 수분 및 전해질 교정, 지사제 금지

    • ceftriaxone (TOC), nalidixic acid, azithromycin

콜레라 (Cholera)

  • 특징: 토착병/대유행 형태로 발생, 오염된 식수와 음식물, 어패류, 집회의 오염된 음식 제공

  • 임상양상

    • 대부분 경미하거나 증상이 없음

    • 증상이 있는 경우 1-3일의 잠복기 후 구토 및 급성 물설사 (생선냄새가 나는 쌀뜨물 같은 설사)

  • 진단

    • 대변 배양 (대변의 백혈구 증가는 없음)

  • 치료

    • 탈수 교정이 가장 중요한 치료

    • 구토가 멈추는 대로 항생제 치료 시행 (Doxycycline, ciprofloxacin, azithromycin)

캄필로박터 (campylobacter)

  • 특징: 오염된 고기, 우유, 물 섭취, 감염된 애완동물/가축과의 접촉, 사람-사람 전파

  • 임상양상

    • 위장관염 (90-95%): 1-7일 잠복기 후 물설사, 피가 섞인 점액설사변, 발열, 구토, 근육통, 복통

    • 균혈증

    • 장관 외 감염 (신생아, 면역약화소아): 수막염, 췌장염, 담낭염, 요로감염, 관절염, 복막염

    • 장외 증상: 감염증상 회복 후 반응 관절염, Guillain-Barré syndrome, IgA 신병증, 사구체신염, HUS, 결절 홍반

  • 진단: 대변백혈구/혈액, 대변배양검사, PCR

  • 치료

    • 수액 및 전해질교정이 중요

    • 항생제: 혈변, 고열의 지속, 심한 경과, 면역 약화, 임산부, 침습감염(수막염,패혈증) 일 경우 사용

      • erythromycin/azithromycin

      • 패혈증시 meropenem/imipenem + aminoglycoside)

예르시니아 감염

  • Y. enterocolitica

    • 오염된 동물,음식, 식수, 수혈제제

    • 임상양상

      • 4-6일 잠복기 후 설사, 발열, 복통 (물설사 또는 혈액/점액성 설사)

      • 큰소아의 경우 장간막림프절염으로 발현 (발열, RLQ pain - pseudoappendicitis)

    • 치료

      • 건강한 소아의 소장결장염은 자연 회복됨

      • 전신감염/어린 영아 감염: TMP-SMX


  • Y. pseudotuberculosis

    • 임상양상

      • 장간막 림프절염 (고열, 복통, RLQ pain/Td)

      • 발열, strawberry tongue, 인두 발적, 성홍열양 발진, 결막염, 무균 농뇨, 손가락/발가락 낙설, 입술갈라짐 등 (가와사키, 성홍열과의 감별 필요)

      • Cr 상승, pyuria, glucosuria, 사이질신염 등

    • 치료

      • 장관감염증: 대부분 자연 회복

      • 균혈증: aminoglycoside, ampicillin, chloramphenicol, 3rd cephalosporin


  • Y.plague

    • 원인: 감염된 벼룩 물림/동물접촉, 체액 접촉, 비말 흡입

    • 임상 양상

      • 림프절 페스트

      • 패혈 페스트 (흑사병) : 패혈증, DIC, 피부병변

      • 폐 페스트

    • 치료: streptomycin,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등

녹농균 (pseudomonas)

  • 특징: 전형적인 기회감염균, 위험요인 (광범위 항생제, 긴 입원기간, 인공호흡기, 소변 카테터 등)

  • 임상양상

    • 피부 질환

      • 연조직염/농양: 청색 고름 분비

      • 고름궤양증 (ecthyma gangrenosum): 붉은 반점 → 출혈 결절 → 진홍의 경계로 둘러싸이고 가피형성 → 괴사성 궤양

      • 화상, 창상감염

    • 패혈증: 전신 혈관염, 모든 장기의 출혈 괴사

  • 진단

    • 혈액, 소변, CSF, 고름 등에서 균 배양

    • ecthyma gangrenosum: 병변 자체가 진단적 가치가 있음

  • 치료

    • 면역기능정상/요로감염증: ceftazidime, cefepime, ticarcilin-clavulanate, piperacillin-tazobactam 등의 단독요법

    • 패혈증/심한감염증: 위 약물 + gentamycin 병합요법

대장균 (E.coli)

  • 종류

    • ETEC: 여행자 설사, 영유아 설사 (물설사)

    • EPEC: 개발도상국 위주, 영유아 설사

    • EIEC: dysentery (발열, 혈액설사, 복통)

    • STEC/EHEC: shiga toxin 생성, HUS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

    • UPEC: UTI / E.coli K1: 신생아 meningitis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