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양성균 감염
그람양성균 감염 개요

Staphylococcus: gram (+) cocci, cluster
Streptococcus: gram (+) cocci, chain
Pneumococcus: gram (+) diplococci
Diphteria: gram (+) bacilli, club shaped
Listeria: gram (+) bacilli, anaerobic
Actinomyces: gram (+) bacilli, filamentous/branching, Acid Fast (-)
Nocardia: gram (+) bacilli, filamentous/branching, Acid Fast weak (+)
Staphylococcal infection
S.aureus 감염
피부 및 연조직: impetigo, 모낭염, 종기, cellulitis
호흡기 (매우 드묾): 화농 귀밑샘염, 막성 기관염, 괴사폐렴 (농흉,기흉, pneumatocele 등)
패혈증: 1차 감염으로부터 2차 패혈증 발생 (심장판막, 폐, 관절, 뼈, 근육, 심부연조직), 감염된 정맥 혈전 등의 혈관 내 병소에 의해 파종 감염 발생
근육: pyomyositis
독소 매개형 증후군
식중독(섭취 후 2-7시간 이내 구토, 설사)
화상 피부 증후군: exfoliative toxin이 혈중유입되며 발생. 동통과 발적, Nikolsky sign +
독성 쇼크 증후군
체내 이물질 감염, 복막투석환자의 복막염, 골수염, 화농관절염, 심내막염, 신농양
치료: 항생제 + 감염원제거 (배농, 감염 물질 제거 등)
** 포도알균의 90% 이상이 penicillinase 를 생성 → nafcillin, oxacillin, 1세대 cephalosporin, B-lactam/B-lactamase
CoNS 감염
30여가지 종류, S, epidermis, S. haemolyticus 등
체내 삽입 장치의 감염, 균혈증, 심내막염, 카테터 감염, 요로감염
치료: 대부분의 CoNS는 methicillin 내성 → vancomycin TOC (± rifampicin), 체내 장치 제거
Toxic shock syndrome
정의: 고열, 저혈압, 구토, 설사, 근육통, 신경학적 이상, 결막충혈, Strawberry tongue, 손발의 홍반 발진 후 탈피 등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다발 질환
진단기준
치료: (nafcillin or cefazolin) + clindamycin (독소생성저해)
Streptococcal infection
GAS
호흡기 감염: 급성 인두편도염, 폐렴
성홍열: 인두염, strawberry tongue, 미만성 발진 (goose pimple appearance), pastia line
피부, 연조직 감염, 항문주위피부염
진단
신속항원검사/균 배양검사 (급성 감염기 진단)
항체가 측정 (후향적 진단): ASO, anti-DNase B
합병증: 림프절염, 농양,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 / 비화농성 합병증 (급성 사구체 신염, 류마티스열)
치료: penicillin, amoxicillin, 1세대 cephalosporin
예방: 치료시작후부터 24시간동안 격리, 급성 류마티스열 및 심질환 발생시 장기간 항생제 예방요법 (4주마다 penicillin 투여)
GBS
신생아 GBS 질환
치료: penicillin / ampicillin
Pneumococcal infection
균혈증, 수막염, 폐렴, 중이염, 부비동염의 주요 원인균
치료
수막염: 1개월 이상의 초기 경험적항생제 (vancomycin + cefotaxime/ceftriaxone) → 감수성 결과에 따라 penicillin/cefotaxime/ceftriaxone 단독 치료
중추신경계 이외의 감염(폐렴, 균혈증): 고용량 cefotaxime / ceftraxone
중이염: 고용량 amoxicillin
예방
저위험군: 국가 기본 예방접종 (PCV13, PCV15 / PCV20 도입예정)
고위험군 (PPSV23)
무비증, 낫적혈구빈혈: 예방접종외에도 penicillin 또는 amoxicillin 예방요법 5세까지 시행
비장절제: 최소 2년간 또는 5세까지 항생제 예방요법 시행
Diphteria infection
호흡기 감염: 코, 인두, 편도 등에 pseudomembrane 형성,
피부 감염: 회갈색 피부 궤양
합병증: 심근염 (빈맥, PR prolongation, ST-T change), 신경계 합병증 (연구개 감각과민, 마비, 두개신경병증, 다발 신경병증), 신증상
치료: 디프테리아 항독소 + 항생제 (erythromycin or penicillin G)
예방
국가 예방접종
환자와 접촉한경우: 예방접종력과 관계없이 erythromycin / penicillin 투여, 5년이내 디프테리아 추가접종 없었다면 연령에 맞게 추가 접종
무증상 보균자: 동일하게 항생제 투여, 1년 이내 추가접종 없으면 추가 접종
Listeriosis
감염원: 흙, 먼지, 동물성 식품, 오염된 육류/우유 등
주요 위험군: 신생아, 임산부, 고령자, 면역약화자
증상
임신 중 리스테리아: 유산, 감기증상 및 태아감염/조산
신생아 리스테리아증: 패혈증, 수막염
치료: ampicillin ± aminoglycoside (심내막염, 수막염의 경우 병용요법)
Actinomycosis
경부 안면 감염증
아래턱의 통증 없는 파동성 청색 종창, 턱밑샘/귀밑샘/목부위의 통증 동반한 화농 병변
발치 수주 후, 구강점막 외상 후 발생
흉부 감염증
기저 폐질환(기관지염, COPD, 기관지확장증), 치근막염/치조 농양 동반한 경우
사이질 폐렴 → 흉막염, 농흉, 종격동 침범 등
복부골반감염증
충수염, IBD의 수술후, 장천공, 담낭절제술 후 / 여성의 PID
치료: 장기간의 penicillin 치료 (2-6개월 정맥주사 → 3-12개월 경구항생제 치료), 배농 및 감염원 조절
Nocardiasis
기회감염
폐렴(화농성 초록색 가래, 혈담, 사이질폐렴 → 조직괴사, 농양), 균혈증, 뇌농양, 컨택트렌즈 사용 후 각막염
치료: TMP-SMX, 필요시 배농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