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감염질환

혐기균 감염

기본 개념

Botulism

  • 원인균

    • Clostridium botulinum. 토양에 존재하는 혐기성 그람양성간균

    • 신경독소(A-G형)를 생성하며, 이 독소는 열에 약해 85℃에서 5분간 가열 시 파괴됨

    • 1세 미만 영아의 꿀 섭취가 원인이 될 수 있음

  • 임상양상

    • 식품 매개 보툴리즘 (식중독)

      • 잠복기: 12-36시간 (수 시간 ~ 수 주까지 다양).

      • 초기 증상: 피로감, 쇠약감, 구역, 구토, 설사

      • 신경학적 증상: 하행성, 대칭성 이완성 마비가 특징적임.

      • 안구 증상: 복시(diplopia), 시야 흐림(blurred vision), 동공 확장, 광선 공포증(photophobia).

      • 기타: 연하곤란, 구음장애, 호흡곤란, 변비. 의식은 명료하게 유지

    • 유아 보툴리즘

      • 2-4개월 영아 호발

      • 잠복기 3~30일

      • 변비 (첫증상), 젖빨기/우는 힘 약해짐, 전신적 근긴장 저하, 젖 삼킴 곤란

      • 뇌신경증상(구역반사저하, 빨기반사 저하, 각막 반사 저하), 대칭적 이완성 하행마비, 기도폐쇄, 호흡근 마비

    • 상처에 의한 보툴리즘

      • 식중독과 유사하며 경미하고 오래 지속됨

      • 잠복기: 외상 후 4~14일

  • 진단

    • 특징적인 임상 양상에 근거하여 진단. 대변에서 독소나 균 검출 (1-4일 소요)

  • 치료

    • 호흡 보조 등 보존적 치료가 가장 중요

      • 호흡 마비시 기관삽관 및 인공호흡 필요

      • 구역반사나 기침반사가 없어진 경우, 분비물의 증가로 호흡곤란이 진행중인 경우 예방적 기관삽관

    • 식중독, 유아 보툴리즘: 보툴리눔 인간 면역글로불린 (BIG-IV)을 조기에 투여함.
      (항생제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Aminoglycoside 계열 항생제는 신경근 차단을 악화시킬 수 있어 사용을 피해야 함)

    • 상처에 의한 보툴리즘: BIG-IV + 항생제 투여


[1] 홍창의 12e, pg. 443-444

파상풍 (Tetanus)

  • 원인균

    • Clostridium tetani: 흙이나 동물 분변에 존재하고 강력한 신경독소 (tetanospasmin)을 생성

  • 임상양상

    • 깊은 관통상이나 조직괴사를 일으킨 상처, 비위생적인 탯줄절단/배꼽처치

    • 잠복기: 1-2주

    • 특징적 증상

      • 개구불능(Trismus): 초기에 발생, 목과 턱의 근육이 경직, 입을 열지못하고 삼키지 못함.

      • 조소(Risus sardonicus): 비웃는 듯한 얼굴 표정

      • 후궁반장(Opisthotonus): 등이 활처럼 휘는 전신성 강직

      • 과민, 두통, 미열, 경련, 호흡곤란, 배뇨곤란

    • 자율신경계 이상: 빈맥, 고혈압, 발한 등

  • 치료

    • 파상풍 인간 면역글로불린 (TIG): 250U 근주 (소아, 성인 동일). 없는 경우엔 정맥용 면역글로불린(IVIG) 고려 가능

    • 항생제: metronidazole 을 투여하여 균을 제거함.

    • 근경련 조절: 조용하고 어두운, 외부자극이 없는 곳에서 치료, Diazepam (TOC), midazolam, Magnesium sulfate, vecuronium 등 진정제 및 근이완제 사용.

    • 필요시 상처 부위 배농/절제

    • 회복된 후에도 반드시 능동면역을 받아야함

  • 예방

    • 기본 예방 접종

    • 상처 발생 후 예방 (TIG가 없는 경우 IVIG 사용 가능)



[1] 홍창의, 12e. pg 444~446

Clostridioides difficile infection (CDI)

  • 기전: 독소 A(장독소)와 독소 B(세포독소)를 생성하여 위막성 대장염 등을 유발

  • 임상양상

    • 주요 증상: 설사, 복통, 발열.

    • 중증 시: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독성 거대결장, 장천공 등 합병증 발생 가능

  • 위험요인

    • 광범위 항생제 사용력

    •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H2 수용체 길항제 사용

    • 장기 입원, 면역 저하 상태

  • 진단: 2 step approach - 독소 유전자 핵산증폭검사 (NAAT), 효소면역분석법 (EIA)

  • 치료**

    • Non severe CDI: 경구 vancomycin or metronidazole

    • severe CDI : 경구/직장 vancomycin ± IV metronidazole

    • recurrent infection

      • 1st recurrence: PO vancomycin or metronidazole

      • 2nd or subsequent recurrence: PO vancomycin, FMT

    **경구 metronidazole은 오랜 기간 소아 CDI 치료로 사용되어왔으나, 2021년도부터 성인 CDI 치료에 우선 권고되기 시작한 fidaxomicin, 경구 Vancomycin의 효과와 안전성이 소아에서도 입증되며 사용이 늘고 있다. 국제 소아 암 및 HSCT 환자 CDI 가이드라인에서는 중증 CDI 에 대해서 fidaxomicin 치료를 도입한 상태며, 추후 가이드라인이 업데이트됨에 따라 변경될 여지가 있다.


[1] 홍창의 12e. pg. 446~447

[2] Clostridioides difficile Infection in Children: Recent Updates on Epidemiology, Diagnosis, Therapy, 2023 , AAP vol 152,Issue 3

[3]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Clostridioides difficile infec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cancer and hematopoietic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2024 update

기타 혐기 세균 감염

  • 특징

    • 인체 내에는 호기 세균보다 혐기 세균이 300-1000배 더 많음 (대장, 구강, 질내)

    • 균혈증, 중추신경계 감염 (뇌농양), 상기도감염(구강/상기도 세균), 하기도감염 (흡인 시 폐렴, 폐농양 등 발생), 복강내 감염 (복강내 농양, 장천공시), 요로감염, 피부/연조직감염

  • 혐기 세균 감염을 진단할 수 있는 단서

    • 구강점막, 장관, 비뇨기계 점막과 근접한 곳의 감염

    • 심한 조직괴사, 농양, 괴저, 근막염

    • 조직내의 가스생성

  • 치료

    • 적절한 항생제 선택 및 필요시 배농

    • 혐기균 커버력을 갖는 항생제: metronidazole, beta-lactam/beta-lactamase inhibitor, carbapenem, clindamycin, tigecycline, linezolid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