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각론 > 소아 감염질환

뇌수막염

기본 개념

세균성 뇌수막염

  • 시기 별 흔한 원인균

    • < 1개월: GBS, listeria, E.coli, klebsiella

    • 1-3개월: transitional

    • 3-36개월: s. pneumonaie, neisseria meningitidis, Hib

    • 36개월 +: s. pneumoniae, n.meningitidis

  • 임상양상 및 증상

    • 급성 경과: 쇼크, 자반병, DIC, 의식저하, 24시간 이내 사망

    • 아급성 경과: 수일간 발열, 상기도 증상, 위장관 증상, 기면/과민성 후 비특이적 CNS 감염 증상

    • 수막자극증상: 경부강직, 요통, Kernig sign/ brudzinski sign (12-18개월 미만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 뇌압 상승 소견: 두통, 구토, 숫구멍 팽창, 봉합선 분리, oculomotor/abducens palsy, 느린맥 + 고혈압, 무호흡/과호흡, decorticate/decerebrate, 혼미/혼수, 뇌탈출 증상

  • 진단: 뇌척수액 검사 (CSF analysis/culture) 및 혈액배양검사

    요추천자의 금기 사항

    1) 의식저하를 동반한 제3 및 제6뇌신경마비나 호흡이상을 동반한 고혈압 및 느린맥을 보여 뇌압 상승이 의심되는 경우 (숫구멍 팽창은 예외)

    2) 즉각적인 소생술이 필요한 심폐 기능악화

    3) 뇌척수액 검사 시행 부위의 피부 감염


    → 뇌압상승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다면 요추천자 전 반드시 뇌영상검사를 시행하여 space occupying lesion 등을 감별


  • 치료: 빠른 의심, 검사, 적절한 항균제의 빠른 투여

    • 뇌압상승을 의심하게 하는 소견이 없음: 뇌척수액 채취 후 즉시 항생제 투여

    • 뇌압상승 소견이 보이거나 국소 신경 소견이 나타난 경우: 항생제투여 + 뇌압 하강 치료 → Brain CT → 뇌척수액 채취

    • 경험적 항생제 regimen

      • 신생아기 (≤3M): ampicillin + cefotaxime

      • 신생아기 이후 (>3M): vancomycin + 3세대 cephalosporin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 원인 바이러스: enterovirus (m/c), arbovirus, HSV, mumps, VZV, CMV 등

  • 진단: CSF study

    • lymphocyte dominant , WBC < 1000

    • 단백질 정상 또는 증가

    • 포도당 정상 또는 감소

    • PCR (HSV, enterovirus) 등

  • 치료

    • HSV encephalitis의 경우 acyclovir 치료,

    • 나머지는 대증요법 (안정, NSAID, 해열제 등)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