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 질환
선천성 비루관 폐쇄 (Congenital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임상양상: 신생아의 약 20%에서 발생. 눈물이 계속 고이거나 흐르고, 눈곱이 자주 낌.
치료: 대부분 생후 1년 내 자연 호전됨. 눈물주머니 마사지가 도움이 될 수 있음. 1세 이후에도 지속 시 probing 시술을 고려
목 부위 덩이
[pediatric neck mass 의 감별진단]
midline location
Thyroglossal duct cyst
Dermoid cyst
thyroid mass
lateral mass
branchial cleft cyst
cystic hygroma
기타 감별을 요하는 질환들
lymphadenitis: 발열, 압통, 선행 호흡기 감염 등
congenital cervical teratoma
lymphoma: hard, irregular, firm, immobile / supraclavicular location
아가미틈 낭종 (Branchial Cleft Cyst)
임상양상: 1st ~ 4th branchial cleft에서 기원한 낭종. 귓바퀴앞, 목의 측면, 흉쇄유돌근 앞쪽 하부 1/3에 부드러운 낭종으로 발견됨. 감염 시 통증과 함께 커질 수 있음.
치료: 수술적 절제
갑상설관 낭종 (Thyroglossal Duct Cyst)
임상양상: 발생과정 중 갑상샘이 발생, 이동하는 구조물인 thyroglossal duct 의 remnant로, 목의 정중앙선에 위치하며, 혀를 내밀거나 침을 삼킬 때 위로 움직이는 특징적인 소견을 보임.
치료: 설골(hyoid bone)의 일부를 포함하여 낭종과 관을 완전히 제거하는 Sistrunk 수술을 시행
Cystic hygroma
정의 및 임상양상: Lymphangioma의 한 형태로, 경부 측면 부위에 발생하는 선천성 림프관 기형. 벽이 얇고 투명한 다방성 낭성 병변으로 림프액으로 차있음. 양측/편측 가능
연관 질환: 터너, 다운,누난, 에드워드 증후군 등의 염색체 이상, 태아 수종 (hydrops fetalis)
치료: 무증상이면서 병변이 작고 크기가 감소한다면 경과관찰, 증상이 있거나 진행성인 경우 수술적 절제 또는 경화요법. 기도압박시 기도확보 필요.
엡스타인 진주 및 점액종 (Epstein pearl and mucocele)
엡스타인 진주(좌): 상피세포의 일시적 축적으로 인해 발생, 1-2mm크기의 흰색 작은 낭종이 입천장이나 잇몸에 발생. 수주 이내 자연 소실됨
점액종 (우): 수 mm 크기의 푸르고 투명한 낭종으로 작은 침샘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 주로 아랫입술에 나타나지만, 윗입술, 혀, 연구개 등에서도 발생 가능
하마종 (ranula): 큰 침샘관의 폐쇄로 발생한 큰 점액낭종
구순열 및 구개열 (Cleft Lip and Palate)
정의: 얼굴 형성 과정에서 입술 및 입천장이 제대로 융합되지 않아 발생
임상양상: 구순열(입술갈림증)은 약 1/750, 구개열(입천장갈림증)은 약 1/2500 빈도. 수유 곤란, 중이염 재발, 발음 문제 등을 유발함.
치료: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함. 생후 3개월 경 구순성형술, 1세 경 구개성형술을 시행하며, 이후 언어 치료, 치과 교정 등이 필요
[1] 홍창의 12e, pg. 362-371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