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빈혈
기본 개념
신생아 생리적 빈혈 (Neonatal physiologic Anemia)
정의: 생후 첫 수 주 동안 말초혈액의 헤모글로빈 또는 헤마토크릿 농도가 해당 주수 및 연령의 정상치보다 2 표준편차 이상 감소한 상태
원인
신생아 적혈구 (HbF)는 일반 적혈구보다 수명이 짧고, 성인형 적혈구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발생
출생 후 환경의 산소 농도가 증가하면 적혈구 생성이 감소되어 Hct 및 Hb 이 서서히 감소
(만삭아는 생후 6-10주에 9~11g/dL, 조산아는 생후 4-8주에 7~9g/dL 로 최저점)
감별진단
혈액 소실: 산과적 출혈(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제대혈관 손상, 태아-모체 수혈(FMH), 쌍태아간 수혈 등
용혈성 질환: Rh/ABO 혈액형 부적합(HDFN),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등 적혈구막 결함, G6PD 결핍증 등 효소 결함
적혈구 생산 감소: Diamond-Blackfan 빈혈, Fanconi 빈혈 등 선천성 골수부전 증후군, TORCH /parvovirus B19 등 감염 등
진단
전혈구검사(CBC)
용혈이 의심될 경우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DAT, Coombs test) 시행
치료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회복
증상이 있는 빈혈의 경우 농축 적혈구 수혈을 시행
[1] 홍창의 12e, pg. 335-346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