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신생아 혈액질환

비타민 K 결핍성 출혈

기본 개념

비타민 K 결핍성 출혈

  • 정의: 비타민 K 의존성 응고인자(II, VII, IX, X)의 부족으로 인해 신생아기에 발생하는 출혈성 질환

  • 위험인자

    • 출생 시 예방적 비타민 K를 투여받지 않은 경우

    • 모유 수유아 (모유는 비타민 K 함량이 낮음)

    • 산모가 항경련제, 항결핵제, 와파린 등을 복용한 경우

  • 임상양상

    • 조발형 (0-24시간): 산모의 약물 복용*과 관련이 깊으며, 두개 내 출혈/소화관/배꼽/복강내 등 심한 출혈이 발생함.

      *페노바비탈, 페니토인, 와파린, 리팜핀, 이소니아지드

    • 고전형 (2-7일): 예방적 비타민 K를 맞지 않은 모유 수유아에서 발생하며, 위장관, 피부/점막, 포경수술 부위 등이 흔함.

    • 후기형 (1-6개월): 담즙 정체, 흡수 장애, 모유 수유아 등에서 발생하며, 두개 내 출혈의 빈도가 높음

  • 진단

    • 프로트롬빈 시간(PT)의 현저한 연장,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의 연장 또는 정상.

    • 혈소판 수와 피브리노겐 수치는 정상임.

    • 비타민 K 투여 후 PT가 교정되는 것으로 확진

  • 치료 및 예방

    • 예방: 모든 신생아에게 출생 직후 비타민 K1(phytonadione) 1mg을 근육 주사

    • 치료: 급성 출혈 시 비타민 K1을 정맥 주사하고, 심한 경우 신선냉동혈장(FFP)을 투여



[1] 홍창의 12e, pg. 335-346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