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황달 개요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혈액 내 빌리루빈(Bilirubin) 수치가 증가하여 피부와 눈 흰자위 등이 노랗게 변하는 상태를 의미함.
신생아기에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
대부분은 생리적으로 나타났다가 호전되는 '생리적 황달'이지만, 일부는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병적 황달'일 수 있어 감별이 중요함
진단 및 평가
혈액 검사: 총 빌리루빈 및 직접/간접 빌리루빈 수치 측정, 혈액형 검사(산모 및 신생아),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DAT), 말초혈액도말검사, 망상적혈구 수치 확인.
병력 청취: 황달 발생 시기, 수유 종류, 가족력, 산모의 임신력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병적 황달 의심 소견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황달
총 빌리루빈 수치가 시간당 0.5mg/dL 이상 또는 하루 5mg/dL이상 빠르게 증가하는 경우
총 빌리루빈 수치가 만삭아에서 12-15mg/dL 이상인 경우
직접 빌리루빈 수치가 2mg/dL 이상인 경우
황달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빌리루빈 대사 과정
생성: 노화된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나온 혈색소(Heme)가 헴 산화효소(Heme oxygenase)에 의해 빌리베르딘(Biliverdin)으로 전환됨.
전환: 빌리베르딘은 빌리베르딘 환원효소(Biliverdin reductase)에 의해 간접 빌리루빈(Unconjugated, 지용성)으로 전환됨.
운반: 간접 빌리루빈은 혈중 알부민과 결합하여 간으로 운반됨.
대사 (Conjugation): 간세포 내에서 UDP-glucuronyl transferase(UGT) 효소에 의해 포도당과 결합하여 직접 빌리루빈(Conjugated, 수용성)으로 전환됨.
배설: 수용성이 된 직접 빌리루빈은 담즙을 통해 장으로 배설됨.
장간순환 (Enterohepatic Circulation): 장내에서 일부 직접 빌리루빈이 β-glucuronidase 효소에 의해 다시 간접 빌리루빈으로 전환되어 재흡수
황달의 출현시기에 따른 원인 및 감별진단
생후 24시간 이내 (병적 황달을 강력히 시사)
용혈성 질환(Rh, ABO 부적합)
패혈증, 간염, 선천성 감염(TORCH) 등
생후 2-3일
생리적 황달
크리글러-나자르 증후군(Crigler-Najjar syndrome)
생후 3일-1주
조기모유황달
내출혈/피하출혈(두혈종 등)
패혈증, 선천성 감염
생후 1주 이후
모유 황달
패혈증, 담도 폐쇄, 간염, 갈락토스혈증
약물용혈, 빈혈
생후 1개월 이상 지속
선천 갑상샘저하증
선천담도폐쇄
갈락토스혈증
TORCH infection, 간염
날문협착, TPN
[1] 홍창의 12e, pg. 326-332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