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총론 > 신생아 신경 질환/분만손상

뇌실주위-뇌실 내 출혈

기본 개념

뇌실주위-뇌실내 출혈 (Periventricular-Intraventricular Hemorrhage, PV-IVH)

  • 정의: 뇌실 주변의 '배아기질(germinal matrix)'이라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
    ** 배아기질은 미성숙한 신경세포와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재태주수 34주 이전에만 존재하며 혈관벽이 매우 약해 혈압 변화에 취약

  • 위험 요인

    •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은 미숙아
      (특히 재태주수 32주 미만, 출생체중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

    • 저산소증, 산증, 급격한 혈압 변화, 인공호흡기 치료 등 불안정한 생리 상태가 출혈 위험을 높임

  • 진단

    •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아, 고위험군 미숙아에서는 선별 검사로 뇌 초음파를 주기적으로 시행

  • 중증도 분류

    • 출혈의 위치와 뇌실 확장 정도에 따라 Papile 등급 체계를 사용하여 중증도를 평가함.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



  • 예후 및 합병증

    • 주요 합병증은 출혈 후 수두증(post-hemorrhagic hydrocephalus)

    • Grade IV와 같이 뇌 실질 손상이 동반된 경우, 뇌성마비(특히 편마비), 인지 장애, 간질 등의 심각한 후유증 위험이 매우 높음



[1] 홍창의 12e, pg. 300-301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